무와 배추를 심었습니다
폭염과 폭우로 인해 유난히 지루했던 여름이었습니다. 더위가 물러난다는 절기 처서(處暑)를 며칠 앞두고 아직도 늦더위가 꼬리를 길게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 멀리서 느릿느릿 다가오는 가을의 기척이 느껴집니다. 아침저녁으로 부는 선선한 바람 속에 계절은 어느덧 가을의 문턱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조선조 후기 실학자인 정학유 선생은 <농가월령가> 7월령(양력 8월)에서 이렇게 노래했습니다. ‘칠월이라 한여름 되니 입추 처서 절기로다/ ...늦더위 있다 해도 계절을 속일소냐. 빗줄기 가늘어지고 바람도 다르구나/ ...기름지고 연한 밭에 거름하고 깊게 갈아, 김장할 무 배추 남 먼저 심어 놓고, 가시울타리 미리 막아 잃지 않게 하여 두소’
농촌에서는 <농가월령가>에서 권장하고 있듯 처서를 전후하여 김장용 무와 배추를 파종합니다. 무와 배추의 생육기간은 70~90일 정도 됩니다. 따라서 첫서리가 내릴 즈음인 11월 중순에 뽑아 김장하기 위해서는 8월 하순께 심지 않으면 안 됩니다. 일반적으로 무는 씨앗을 뿌리고, 배추는 싹을 틔운 어린배추를 심습니다,
무와 배추는 서늘한 날씨에 잘 자라는 채소입니다. 특히 배추는 냉해에는 강하지만 병충해에 약합니다. 그래서 어린배추가 뿌리를 내리면 웃거름을 듬뿍 주고, 배추벌레가 나올 때쯤 애벌레를 잡아주어야 배추가 튼실하게 자랍니다. 앞으로 장마 때 배수만 잘 시킨다면 석 달 뒤 속이 꽉 찬 배추를 수확할 수 있을 것입니다.
8월 셋째 주 일요일인 8월 20일에는 법인의 임직원과 자원봉사자들이 탄현교육관에 모였습니다. 그래서 텃밭에 무, 배추, 쪽파 등 김장채소를 파종하고, 수확을 끝낸 강낭콩 지지대를 철거하는 한편 잎채소를 심었던 빈 이랑의 잡초를 뽑았습니다. 한낮의 무더위 속에 탄현교육관 뜨락에도 시나브로 가을이 찾아오고 있습니다.
첫댓글 벌써 무배추심는시기가왔네요
아ㅡ
엊그제가봄이었는데요
넘날씨가 더워서 얼마나
고생을 많이 하셨을까요
성회장은 진짜로대단합니다
일도 잘하지만 아는것도 많아요
그 긍정적이고 올바른 사고를 갖고있는 성회장
고생하셨읍니다
그러다보니 진짜로 주인은 놀았다 말입니까
ㅎㅎㅎㅎ
그건 아니고요
애쓰셨어 일도 일이지만 건강도 잘챙기시고요
머지않아 풍성한 배추를 보게 되겠읍니다
수고 하셨어요
벌써 김장 배추를 심나 봅니다.
더워도 너무 더운 여름 더위 이겨내고
심고 거두느라 고생 참으로 많이 했어요.
꽈리가 익었네요.
느려 터젹지구 ~
도와주고 싶어두
항상 마음만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