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에 대해 일가견이 있는 브루스 커밍스라는 유명한 학자가 쓴 "한국현대사"에 이런 대목이 있다.
<한국인이 일본에 협력한 훨씬 더 대표적인 예는 김동조(金東祚)의 경우로서, 그는 동족인 한국인을 감시하는 경(찰)관으로 인생의 첫발을 내디딘 후, 결코 주저하는 법이 없었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일본과 한국 사이를 빈번히 오가며 일본에 징용된 수많은 한국인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저항을 일본인들에게 밀고했다. 나중에 일본인들은 그를 승진시켜 한국인들에게 식량과 다른 지급품들을 배급하는 전시 책임자로 삼았다.
1945년 이후 그는 미군정을 위해 역시 한국인들에게 식량과 물품을 배급하는 일을 했다. 이승만이 대통령이 된 후 그는 신설 외무부에 들어가서 차관으로 승진을 했다가 퇴직했다. 그는 1961년 군사 쿠테타 이후 여당과 중앙정보부에 외교고문으로 복귀했다.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 협상에 기여한 후 그는 첫 주일 한국대사가 되었다. 대사로 재직하는 동안 “그는 일본 정치가들에게 뇌물을 준 매수꾼으로서 재일한국인 사이에서 악명을 떨쳤다.” 곧(1967) 그는 주미대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몇년 후 그가 미국의회 방문을 준비하면서 1백달러짜리 지폐가 가득 든 봉투들로 서류가방을 채우는 것을 본 고용인이 그 사실을 폭로하는 바람에 큰 물의를 빚었다.>..............
.......................
김동조가 수석대표로 나가서 체결한 한일회담의 성과라는 것은 참혹한 것이었다. 대한민국의 확인된 일제치하 징병, 징용피해자가 총 103만명이었다.
그 가운데 약 8만명이 사망자이고, 3만명이 부상자였다. 그 가운데 겨우 8천명의 사망자 유가족에게 쌀 15가마 살 정도의 돈인 30만원씩 나눠주는 정도로 끝났다. 그렇게 형편없는 보상을 해주고도 개인청구권 문제는 흐지부지 처리했다.
- 일본제국주의 침략의 명확한 사죄도 문서로서 전혀 받지 못했고,
- 독도 영유권도 확실하게 해 놓지 못했고,
- 피해자의 생사확인도 안 했고,
- 피해자 통계도 제대로 안 냈고,
- 사망자 유해발굴 문제도 논의하지 못했고,
- 위안부 및 원폭 피해자 문제는 거론조차 안했고,
- 징용 사할린 동포 처리문제도 꺼내지 않았다.
박정희, 그는 누구인가 ⑩ - ‘한일협정 뒷거래 6,600만 달러’
(서프라이즈 / 耽讀 / 2014-02-19)
|
▲ 1965년 '한일협정'에 서명하는 박정희 전 대통령. 왼쪽부터 정일권 총리, 박 대통령, 이동원 외무장관, 김동조 주일대사 |
http://surprise.or.kr/board/view.php?table=surprise_13&uid=3913&mode=search&field=nic2&s_que=%E8%80%BD%E8%AE%80&level_gubun=all
장인은 굴욕회담 수석대표 ........ 사위는 현제 대한민국 여당 대표.....
정몽준은 전직 외무장관으로 구성된 추모모임을 결성했고
그 내용과 사진이 기사로 실려있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7042010611
1943년 일본 규슈제국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1951년 외무부 정무국장을 거쳐 외무부 차관을 지냈다.
1960년 2월, 한국 정부는 동남아 각국과의 우호 증진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중화민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타이,남베트남 등 5개국에 김동조를 단장으로 하는 친선사절단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친선사절단은 단장 외에 차균희(車均禧) 부흥부 경제계획관, 최광수 외무부 삼등서기관으로 구성되었다. [2] 1960년 2월 23일, 친선사절단은 말레이시아와의 외교 관계 수립을 발표하였다. [3]
1965년 6월, 재일거류민단, 상공인연합회, 부인회는 공동명의로 김동원 대사를 경질해달라고 국회에 진정서를 보냈다.
1965년 10월 26일, 외무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김동조는 그 후 재일교포들이 그와 같은 진정서를 제출한 것은 교포와 재일교포 사이의 오해에 기인했던 것이고, 그 후 그 오해는 풀렸다고 설명했다. 또 이동원 외무부장관은 김대사가 본부 훈령에 충실치 아니한 점은 없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같은 날 국회 외무분과위원회는 위원장 김동환을 비롯하여 공화당의 변종봉, 민병기, 박현숙, 박준규, 이만섭 의원, 야당의 나용균, 유진산, 강문봉 의원은 위 진정서를 검토한 결과, 김대사가
(1) 교포보호에 소흘하고
(2) 본부의 훈령에 충실치 못하며
(3)특정 재벌(대표적 기업으로 삼성)을 편애하므로 ("일본기업이 1965년까지 5년 동안 민주공화당 예산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6,600만 달러를 지원했다는 내용이 있다"
지난 2004년 8월 12일 민족문제연구소가 밝힌 내용 'NARA(미 국립문서보관소)'가 소장한 문건를 찾았는데 이 같은 내용이 있었음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한일관계의 미래' 제목 1966년 3월 18일 자 미 중앙정보국 특별보고서에는 "일본 기업들이 1961-1965년 사이 당시 민주공화당 총 예산의 2/3를 제공한 바, 각 개별 기업의 지원 금액이 각각 1백만$에서 2천만$에 이르며 6개의 기업이 총 6천6백만$을 지원했다.…민주공화당은 또한 일본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한국기업으로부터도 지불을 받았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정부방출미 60,000톤을 일본에 수출하는 과정에 개입한 금성방직 대한제분 삼성물산 등 8개의 한국회사가 민주공화당에 115,000$을 지불했다"는 내용) http://blog.hani.co.kr/letitbe337/8785
정부가 김대사를 될수록 조속한 시일 안에 해임할 것을 만장일치로 정부에 건의하였다.[4]
1965년 12월 18일 상오 10시반 중앙청 제1회의실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일본 양국의 국교정상화를 최종적으로 매듭짓는 기본조약 및 협정에 의한 비준서 교환에 김동조는 한일회담수석대표로서 참석했다.[5]
1965년 12월 말, 한국 정부가 주일 대사에 김동조를 내정하자,
12월 23일, 민중당의 김대중 의원은 국회 본회의에서 "국회 외무위가 만장일치로 그 해임을 건의했으며 재일교포단체에서도 소환을 건의한 바 있는 김동조 대사를 재임명할 수 있는가"를 추궁했다.[6][7]
그러나, 12월 24일 한국정부는 일본정부에 대해 정식으로 김대사에 대한 아그레망을 요청했다.[8] 1966년 1월 14일, 주한 초대 대사 김동조는 일본 천황에 신임장을 제정하였다.[9] 1965년~1967년 주 일본 대사를 지냈다.
1967년 9월 16일, 대한민국 정부는 김동조를 주미 대사에 임명하여,[10] 김동조는 1967년 11월 9일, 백악관에서 존슨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하였다.[11]
1967년부터 1973년까지 주 미국 대사,
1973년부터 1975년까지 외무부장관,
석유개발공사장을 역임하고 1981년 변호사를 개업하였다. 외무부장관으로서 김동조는 1975년 3월 초,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여 압둘 라작 후세인 총리와 아마드 리라우덴 외무장관을 만났다.[12]
2004년 12월 9일, 숙환으로 향년 87세로 별세했다.
브루스 커밍스는 《한국현대사》라는 그의 책에서, 김동조를 일제 강점기 때 일본에 협력한 한국인의 사례로 기술하였다.[13]
일본 후생성 보험국과 일본 내무성 산하 교토 부 부청 내무국 지방과 및 경찰국에 근무한 경력으로 인해,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1977.11.07년 일본 마이니치 신문이 보도한 바에 의하면 1967년부터 73년까지 주미대사를 역임한 김동조가 미국의원을 고액의 현금으로 매수한 코리안게이트 박동선 사건을 미국 의원 윤리위원회 조사에서 답변했다.
http://archives.kdemo.or.kr/View?pRegNo=00488101
가족 관 계[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