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락부자(富者)의유래(由來)☎
조실부모(早失父母)하고 친척(親戚)집을
전전(展轉)하던 순둥이는
부모(父母)가 남긴 논 서
마지기
문서(文書)를 들고
외삼촌(外三寸) 집으로 들어갔다.
변변치 못한 외삼촌이란
인간(人間)은
하구한 날
투전(投錢)판을 쏘다니더니
금쪽같은
순둥이의 논 서
마지기를 날려버렸다.
열일곱이 된 순둥이는
외삼촌 집을 나와 오씨(吳氏)네
머슴으로 들어갔다.
법
없이도 살아갈 착한
순둥이를
모진 세상(世上)은
끓임없이 등쳐먹었다.
머슴으로 죽어라 일을
해서
계약(契約)한 3년이 꽉
차자
오씨(吳氏)는 이런저런
핑계로
새경을 반으로 깎아버렸다.
사람들은 사또에게
고발(告發)하라고 했지만
순둥이는 관가(官家)로 가다가
발걸음을 돌려
주막(酒幕)집에서 술을
퍼마시고 분을 삭였다.
반밖에
못 받았지만 그
새경으로 나지막한
둔덕산(屯德山)을 하나 샀다.
골짜기에 한 칸짜리
초가집을 짓고 밤낮으로
둔덕을 일궜다.
‘흙은 나를 속이지
않겠지!’
그는 이를 악물고 잡목(雜木)을
베어 내고 바위를
굴려내고 돌을 캐냈다.
한 뼘 한 뼘 밭이
늘어나는 게 너무나 기뻐
어떤 날은 달밤에 혼자
덩실덩실
춤을 추기도했다.
남은 새경이
바닥날 때쯤 한 마지기
남짓 일궈 놓은 밭에
조와 메밀을
심어 양식(糧食)을
하고,겨울이면 읍내(邑內)에
가서
엽전(葉錢) 및 닢에 남의
집 통시를 퍼 주고 그
똥통을
메고 와서 밭에다 뿌렸다.
언 땅이 녹자마자
또다시
화전(火田)을 일구기를 5년...
둔덕산(屯德山)은
번듯한 밭으로
변했다.
그해 봄,
순둥이는 콩 세 가마를
장리로 들여와 밭에 심기
시작(始作)했다.
콩을 심는
데에만 꼬박 이레가 걸렸다. 콩을 다 심고
순둥이는 주막(酒幕)으로
내려가 술을 마셨다.
부엌에서 일하는 열아홉
살 주모
(酒母)의 질녀(姪女) 봉선이를
점찍어 두고 가을에 혼례(婚禮)를
올리겠다고 마음먹고
주모(酒母)의 귀띔도 받아냈다.
집으로 오는 길에
부슬부슬
밤비까지
내리기 시작(始作)했다.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천지신명(天地神明)님!
순둥이는 두 팔을 벌리고
비를 맞으며
하늘을 향해
절을 했다. 단비는 땅
깊숙이
스며들어 흙속의
생명(生命)들을 일깨웠다.
이튿난
언제 비가 왔냐는
듯이 하늘은 맑고 남풍(南風)은
불어
대지(大地)를 따뜻하게
했다.
며칠 후 노란
콩싹들이 올라와 떡잎을
활짝 펼쳤다.
콩은 쑥쑥 자라
한여름이
오기 전에 땅을 덮었다.
겨울마다
똥지게로 퍼
나른 인분(人糞) 거름을 먹고
콩잎은 싱싱하게 팔을
벌렸다.
가을이 되자
콩잎은 노랗게 물들어
떨어지고
포기마다
주렁주렁 콩만 남았다.
순둥이의 입이 귀에
걸렸다.
순둥이는
콩을 뽑아 둔덕
위에 쌓기 시작(始作)했다.
달을 보며 별을 보며
콩을 뽑아도 힘든 줄을
몰랐다.
’이모(姨母)가 이거 갖다주라고
합니다.
봉선이가 노란 저고리를
차려입고
한 손엔 막걸리
호리병,
또 한 손엔
부침개와 찐 고구마를
들고 왔다.
‘봉선아,
나는 부자(富者)여 이
콩이 마른 후 타작(打作)을
하면 스무 섬은 나올
거야!
호리병째로 벌컥벌컥
막걸리를 들이킨
순둥이는 와락 봉선이를
껴안았다.
입이 입에
틀어막혀 말을 못하고
손으로 토닥토닥
순둥이
가슴을 치던 봉선이 손이
어느새
순둥이 목을 감싸
안았다. 순둥이의 치마를
올리고 고쟁이를 벗겨
내렸다.
순둥이는 윗옷을 벗어
콩더미 옆에 깔고
봉선이를 눕혔다. 달빛을
머금은 스물다섯
순둥이의 구릿빛 등짝과
엉덩이가 물결치자
봉선이는 가쁜 숨만 몰아
쉬었다.
순둥이는 마지막 큰 숨을
토해 내고 옆으로
쓰러지며 구수한
흙냄새를 맡았다.
어머니의 젖냄새 같기도
하고
아버지 등짝에
업혔을 때의 땀냄새
같기도 한
흙냄새! 흙을
한 움쿰 쥐고 소리쳤다.
’봉선아,
이건 황금(黃金)이여!‘
웃매무새를 고쳐 입은
봉선이는
부끄러운 듯 빈
호리병을 들고 휑하니 가
버렸다.
바닥에 깔았던
순둥이의 옷에 선명한
피자국이 비린내를
뿜었다.
순둥이가 콩을 뽑아 둔덕
위에 쌓아 올린
더미가
집채보다 커졌다.
가을볕에 콩을 말라
갔다.
콩깍지가 저절로
벌어질 때쯤 멍석을
대여섯 장 깔고 타작(打作)을
할 참이었다.
순둥이가 주막(酒幕)에서
점심을 먹을 때였다.
’우르릉
쾅~짜자자 짱!
하늘을 찢고 땅을 가를
듯이 마른
번개가 너댓 차례 쳤다.
‘순둥이 여기 있는가?
빨리 나와 봐...’
고함 소리에 뛰쳐나간
순둥이는
그만 그 자리에
얼어붙고 말았다. 멀리
둔덕에 쌓아 둔
콩더미에서 연기(煙氣)가
치솟는 것이다.
순둥이가 달려가고 동네
사람들이 뒤따랐지만
마른 콩더미의
불길은
아무도 잡을 수가
없었다. 새까만 숯덩이만
남은 둔덕에서
순둥이는
짐승처럼 울부짖었다.
‘하늘도
나를 속이고,
땅도 나를 속이는구나!
봉선이도 눈물을 펑펑
쏟아내고
동네 사람들도
눈시울을 붉혔다.
순둥이는 목을 매려다
봉선이가
입덧을 하는
통에 생각을 바꿨다.
그렇게 술로 나날을
보내던 어느 날,
검은
두건(頭巾)을 쓰고 긴 수염(鬚髥)을
늘어트린 채,옥색(玉色) 도포(道袍)
자락을 휘날리며 노인(老人) 한
분이
주막(酒幕)으로 찾아왔다.
’벼락 맞은 콩 주인장
계시오? 소문(所聞)을 듣고
찾아왔소이다!
순둥이가 나가자 범상(凡常)치
않은
그 노인(老人)은 새까맣게
탄 콩 한 자루를
쓸어담아 데리고 온
사동의 등에 얹었다.
준비(準備)해 온 돈이
이것뿐이오.
벼락 맞은
콩은 자고로 진귀(珍貴)한
명약(名藥)이요.
내 이것으로
시험(試驗)해 보고 다시
오리다.!
그가 떠난 후 받은
전대를 열어 본 순둥이는
깜짝 놀랐다.
콩 열 섬 값이 넘었다.
소문(所聞)을 듣고 팔도강산(八道江山)의
명의(名醫)들이
쉼 없이
찾아왔다. 순둥이는
새까맣게 탄 콩 가마니를
쌓아 두고 찾아온
의원(醫員)들에게 팔았다.
벼락
맞은 콩은 욕창(褥瘡),등창
문둥병
특효약(特效藥)이 었다.
동짓달 스무이레,
그날따라 봄날처럼
따뜻했다.
온 동네
잔치판이 벌어졌다.
순둥이의 배가 살짝 부른
봉선이의
혼례(婚禮)날이었다.
그 이후
순둥이가 벼락
맞은 콩을 팔아 갑자기
부자(富者)가 된 것에서
우래하여 ‘
벼락부자’라는
말이 생겼다는 이야가가
전해오고 있는 것이다...
기쁘고 행복(幸福)한
목요일(木曜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