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러시아 소프트 드링크 시장, 한국 음료 점유율 확대 | |||||||||||||||||||||||||||||||||||||||||||||||||
---|---|---|---|---|---|---|---|---|---|---|---|---|---|---|---|---|---|---|---|---|---|---|---|---|---|---|---|---|---|---|---|---|---|---|---|---|---|---|---|---|---|---|---|---|---|---|---|---|---|---|
게시일 | 2016-03-18 | 국가 | 러시아 | 작성자 | 채승완(모스크바무역관) | |||||||||||||||||||||||||||||||||||||||||||||
러시아 소프트 드링크 시장, 한국 음료 점유율 확대 - 시장구조 변화, 웰빙 트렌드 확산 등으로 당분간 점유율 상승 지속 전망 -
□ 러시아 소프트음료 시장 현황
○ 러시아 시장조사기관인 Credinform Information Agency에 따르면, 러시아 소프트음료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약 1900억~2100억 루블(26억~29억 달러, US$1=73루블(2015.3 기준))에 달하며, Non-alcohol 소프트음료 중에서는 Soda Water가 가장 높은 전체의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러시아 소프트음료 카테고리별 시장 점유율 현황(2011~2015년 1분기) (단위: %) 자료원: Credinform Information Agency
○ 러시아 내 음료시장의 제품 카테고리별 시장 점유율은 크게 변동이 없는 가운데, 전통음료인 크바스(Kvass)의 소비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크바스는 호밀빵을 원료로 슬라브 문화권에서 마시는 전통 청량음료로, 약간의 알코올 성분이 포함되기도 함.
러시아 Nonalcohol 소프트 드링크 품목별 점유율 현황(2011~2015년 1분기) (단위: %) 자료원: Credinform Information Agency
□ 시장특성 및 주요 진출기업
○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웰빙에 대한 관심으로 건강음료의 선호현상이 확대돼 왔으나, 러시아는 최근에 들어서야 건강음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 일반적으로 알려진 보드카 등 알코올 도수가 높은 주류 소비는 지속 감소세를 보이는 반면, 포도주 및 맥주 수요는 증가하는 등 러시아인들의 음주문화도 변화를 보이고 있음.
○ 이러한 소비 트렌드는 음료시장에도 나타나고 있는데, 최근 들어 비타민 음료와 오가닉 음료, 저칼로리 콜라, 카페인 함량이 낮은 커피 등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한편, 러시아의 소프트음료 시장은 현지 생산체제를 갖추거나 현지 업체를 인수하는 다국적 기업이 증가하면서 현지 생산제품이 전체 시장의 83%를 점유하고 있음.
러시아 내 주요 음료 제조업체 현황
자료원: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 최근 한국 음료의 수요가 증가해 한국 음료의 러시아 수출이 2014년 말 기준 2580만ℓ(2010년 기준 110만ℓ)로 크게 확대된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한국 음료제품은 초기에 블라디보스톡 등 주로 극동지역을 중심으로 수출됐으며, 점차 우랄 산맥 서쪽 유럽지역으로 수요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 특히, 최근 러시아와 서방국가간 경제재제로 인해 유럽, 미국 등지로부터 러시아로 들어오는 일반 소비재 및 공산품이 크게 감소해 시장에 구조조정이 이루어지고 있음. 여기에 한국 식품이 건강식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한국산 제품의 현지 시장점유율 증가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현지에서 판매되고 있는 주요 한국산 음료제품은 아래 표와 같음.
자료원: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 러시아에 법인 또는 직접투자 형태로 진출한 한국 기업은 롯데칠성(www.lottedrinks.ru), 도시락루스(www.doshirak.com), 하이트진로(www.hitejinro.com) 등이 있음.
□ 시사점
○ 불경기와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러시아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이 실속형 소비와 웰빙 소비로 변화하는 양상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음.
○ 최근 한국 음료제품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위와 같은 시장구조 변화와 러시아 소비자들의 소비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됨. 경쟁업체에 비해 시장 진출이 늦은 한국 기업에는 이러한 변화가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하고 있음.
○ 특히, 러시아에 k-pop 등 한국 문화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으며, 한국 식품은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화적인 친밀도와 소비성향을 시장 진출의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또한, 현지 진출기업과 경쟁을 위해서는 현지에 생산체제 구축이 필요하며 장기적인 시장 진출전략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Credinform Information Agency(리서치 기관), Vedomosti 등 현지 주요 경제지 및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