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孟子)
✼ 맹자(孟子):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맹자의 제자가 맹자의 언행을 기록한 것으로,
<양혜왕(梁惠王)>, <공손추(公孫丑)>, <등문공(滕文公)>,
<이루(離婁)>, <만장(萬章)>, <고자(告子)>, <진심(盡心)>
의 7편으로 분류하였다. 14권 7책.
✼ 맹자(孟子): 중국 전국 시대의 사상가(B.C.372~B.C.289).
자는 자여(子輿)자거(子車). 공자의 인(仁) 사상을 발전시켜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였으며, 인의의 정치를 권하였다.
유학의 정통으로 숭앙되며, ‘아성(亞聖)’이라 불린다.
♛
何必曰利하필왈리?
亦有仁義而已義역유인의이이의.
하필이면 이익을 말하는가?
또한 인과 의가 있을 뿐이다.
-《맹자(孟子)》양혜왕 상 -
♛
仁者無敵인자무적.
어진 자에게는 적이 없다.
-《맹자(孟子)》양혜왕 상 -
♛
無恒産무항산, 因無恒心인무항심.
떳떳한 생업이 없으면,
따라서 떳떳한 마음이 없다.
-《맹자(孟子)》양혜왕 상 -
♛
出乎爾者출호이자, 反乎爾者也반호이자야.
너에게서 나온 것은 너에게로 돌아간다.
-《맹자(孟子)》양혜왕 하(증자) -
♛
鰥환: 늙었는데 아내가 없음(홀아비).
寡과: 늙었는데 남편이 없음(과부).
獨독: 늙었는데 자식이 없음(무자).
孤고: 어린데 아비가 없음(고아).
此四者차사자,
天下之窮民而無告者천하지궁민이무고자.
이 네 가지 사람은 천하의 곤궁한 백성
이면서 하소연 할 데가 없는 자들이다.
-《맹자(孟子)》양혜왕 하 -
♛
雖有知慧수유지혜, 不如乘勢불여승세.
비록 지혜가 있더라도
형세를 잘 이용하는 것만 못하다.
-《맹자(孟子)》공손추 상 -
♛
德之流行덕지유행,
速於置郵而傳命속어치우이전명.
덕이 흘러 퍼져 나가는 것이 파발마로
명령을 전달하는 것보다 빠르다.
-《맹자(孟子)》공손추 상 -
♛
四十不動心사십부동심.
마흔부터 마음에 동요가 없었다.
-《맹자(孟子)》공손추 상 -
♛
志지 氣之帥也기지수야,
氣기 體之充也체지충야.
의지는 기의 인솔자이고,
기는 몸에 채워진 것이다.
-《맹자(孟子)》공손추 상 -
♛
浩然之氣호연지기.
지극히 넓고 큰 기상.
-《맹자(孟子)》공손추 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