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미국은 반도체에서 절대적인 강세를 자랑했다.미국은 반도체의 원조다.그런데 일본은 그 반도체가 가진 힘을 누구보다 빨리 깨달았다.일본 정부는 미국 기업을 따라잡기 위해 통상산업성 주도로 초LSI 기술연구조합이라는 민관 공동조직을 결성했다.설계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명목으로 일본 정부 예산의 0.1%에 해당하는 거액을 후지쓰 NEC 등 일본 반도체 기업에 집중 투입했다.거의 0% 가까운 금리로 자국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외국 반도체 기업에는 기술 이전을 요구했다.
그 결과 1980년대에는 일본 반도체가 세계 최강이 됐다.소니 창업자 모리타 아키오 씨와 극우 정치인 이시하라 신타로 씨가 NO라고 할 수 있는 일본에서 미국에 하고 싶은 말은 하자고 주장할 수 있었던 것도 일본이 반도체 파워를 쥐고 있었기 때문이다.매출액 기준 세계 10대 기업 중 6곳이 일본 기업이었다.이제 미국은 참을 수 없었다.슈퍼 301조를 사용해 일본 반도체 기업에 보복관세를 부과하고 일본 반도체 몰락의 계기가 된 미일반도체협정을 체결했다.
그러자 일본 정부의 반도체 지원 2탄이 나왔다.200억엔 규모의 차세대 기술 공동개발 등 대형 프로젝트를 수립해 정부 주도 구조조정을 진행했다.그런데 역효과를 냈다.기업 경영을 효율화하는 데 방해가 된 것이다.일본 정부가 출범시킨 엘피다메모리는 2012년 파산했고 도시바는 누적 적자를 이기지 못해 2017년 반도체 사업 부문을 SK를 포함한 해외 사모펀드 컨소시엄에 매각했다.
일본 정부는 과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반도체 지원 3탄을 단행했다.'일본 기업뿐'이라는 배타성을 버리고 미국 마이크론, 대만 적체전로제조(TSMC), 한국 삼성전자에 보조금을 지급해 일본에 유치했다.또, 일본의 강점인 소재·설비에 주력했다.정부가 반도체 소재 포토레지스트 세계 최대 기업을 인수해 육성해 전략물자로 활용하겠다는 것도 그 일환이다.
일본 정부의 세 번째 반도체 지원이 성공할지는 미지수다.원가 수율 공정 문제로 20년 전 포기한 반도체 양산을 이제 와서 정부가 지원한다고 가능하겠느냐는 시각도 있다.기술을 고집하는 일본의 문화가 반도체에는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시장이 급격히 변화하는 가운데 수십 년 고장나지 않는 반도체만으로는 버티기 어렵다.다만 미중 갈등이 일본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은 사실이다.반도체 소재·설비 부문에서 확고한 우위에 있다는 강점도 있다.한국은 일본 반도체 동향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