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월 12일, 주요경제지표 및 금융모니터링
=======================================================================================
■ 시장 동향
ㅇ [주식] 미국및유럽증시상승(미국다우 0.6%, 유로stoxx 1.0%)
ㅇ [외환] 미국 달러화, 주요 통화 대비 강세
- 유로/달러: 1.1176→1.1137(-0.3%), 달러/엔: 101.29→101.96(0.7%)
ㅇ [채권]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상승(1.56%, 0.05%p)
ㅇ [원유] WTI 가격 상승(배럴당 43.49달러, 4.3%)
*주: ( )는 전일비 변화율
■ 주요국 경제동향 및 해외시각
ㅇ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은 윌리엄스 총재, 연내 금리인상 단행 주장
ㅇ [유럽] 영국 7월 주택시장, EU 이탈의 영향으로 부진
ㅇ [중국] 상반기 기업의 해외 M&A, 1225억달러로 사상 최고치
ㅇ [신흥국] 멕시코 중앙은행, 정책금리 4.25%로 동결
ㅇ [해외시각] S&P, 이탈리아의 은행 구제에도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 낮은 편
- 중국 민간기업 투자, 정부의 의지와 달리 은행권 대출심사 강화 등으로 부진
ㅇ Today Focus:
- 중국, 성장률 회복을 위해서는 부채축소가 관건
=======================================================================================
■ 일일 금융시장 동향
=======================================================================================
Ⅰ.국내 금융시장 동향
Ⅱ.국제 금융시장 동향
=======================================================================================
ㅁ 글로벌 주요경제지표
=======================================================================================
[Weekly Brief - 주간 국제금융 포커스]
=======================================================================================
[Fund Flow Weekly] 글로벌 주식자금, 미 고용지표 호조 등으로 순유입 전환
=======================================================================================
ㅁ 국제 금융 속보 및 금융시장 동향
=======================================================================================
[Today Focus] 중국, 성장률 회복을 위해서는 부채축소가 관건
■ 공공부채 문제가 단기적으로 금융시스템 위기를 유발할 가능성은 제한적(BofA-ML, 로이터 등)
○ 정부의 공공부채 규모는 감내가능한 수준이며, 자산규모가 충분하여 채무불이행 및 유동성 리스크
발생 가능성은 낮은 편
▶ 우발채무를 포함한 공공부채 수준은 여타국 대비 높지 않으며,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지방 정부의
부채구조도 질적·양적으로 개선
※ 부채-스왑(은행 대출→지방채) 프로그램 확대 등에 힘입어 지방 정부의 이자비용 부담이 경감되면서
증가 속도가 완화
▶ 선진국과 달리 정부부채의 대부분은 대차대조표상 자산계정에 해당하는 사회기반시설 등의 건설을 위한
투자 자금으로 유입되고 있어, 채무불이행 리스크 발생 여지는 경미
※ 2015년 중국 정부의 자산 규모(230조위안)는 부채(172조위안)를 큰 폭으로 상회하여,
순자산은 GDP 대비 84% 수준
▶ 중국 부채의 통화 미스매치 위험이 낮고 대형은행에 대한 자금조달이 소매금융을 통해 이뤄지고 있어,
외환, 은행, 신용 부문의 유동성 리스크 통제 여력은 충분
○ 다만 높은 공공부채 수준은 향후 경기부양책 구사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소지 상당
▶ 정부의 자본시장 규제 완화로 민간부문의 조달 여건이 개선 되었으나, 지방정부 자금 조달기구(LGFV)
및 국영기업 등을 통한 공공부문의 차입 확대는 정부의 성장률 회복을 위한 통화 및 재정정책
완화 여력을 제한
▶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국영기업을 통해 이뤄지고 있어, 높은 레버리지에도 구조조정이 지연되면서
경제 전반의 생산성이 저하
=======================================================================================
1. 미국의 주요경제동향, 정책 및 시각
◎ 주요 경제동향
○ 샌프란시스코 연은 윌리엄스 총재, 연내 금리인상 단행 주장(로이터)
ㅇ 노동시장 여건 개선과 물가 상승 가능성을 근거로 제시하면서, 경제가 정책 당국의 목표에 가까워지면
금리인상을 통해 연착륙(soft landing)을 할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
○ 8월 1주차 신규실업급여 신청건수, 전주대비 1000건 감소한 26만6000건(로이터, 블룸버그)
ㅇ 노동부의 발표에 따르면, 시장예상치(26만5000건)를 상회했지만, 75주 연속 30만건을 밑돌아
노동시장이 양호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
▶ 4주 이동평균은 전주대비 3000건 늘어난 26만2750건
ㅇ High Frequency Economics의 Jim O'sullivan, 고용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는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하면서, 노동시장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
ㅇ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노동시장이 완전고용에 도달함에 따라 신규실업급여 신청건수가 감소할 여지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
○ 7월 수입물가지수, 전월비 0.1% 오르며 시장예상치(-0.4%) 상회(로이터, 블룸버그)
ㅇ 노동부에 따르면, 유가는 하락했으나 여타 품목의 가격이 올라 전체 지수 상승을 견인.
▶ 다만 달러화 강세와 유가 약세 지속으로 향후 수입물가지수는 낮아질 전망이 우세
ㅇ 석유를 제외한 수입물가지수는 전월비 0.5% 상승해 2011년 4월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
▶ 주요 품목별로는 식품은 전월비 3.3% 오른 반면, 석유(-3.6%), 자동차(-0.3%) 등은 하락
▶ 같은 기간 수출물가는 전월비 0.2% 상승
◎ 정책동향 및 해외시각
○ 추가 금리인상, 12월 FOMC에서 단행될 가능성이 우세(WSJ)
ㅇ WSJ 월간 조사에서 12월에 정책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응답이 71%로 나타나, 6월(7.8%), 7월(50%)
조사보다 상승.
▶ 조사에 응답한 62명의 시장 전문가 중 9월 금리인상을 전망한 응답자는 7명, 11월은 4명에 불과
ㅇ 12월 금리인상 예상이 늘어난 요인으로는 지난 몇 주간 경제 지표의 혼조세와 전세계 경제 불확실성 등이 지목.
▶ 아울러 별도로 실시된 조사에서 시장 전문가 60명 중 36명이 9월 금리인상이 불가능한 이유를
대선이라고 대답
ㅇ Economic Outlook Group의 Bernard Baumohl, 민주당과 공화당 대선 후보가 서로 다른 경제 정책 방안을
공약하는 등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연준은 12월까지 경제 상황을 관망할 것이라고 주장
ㅇ 전미제조업자협회(NAM)의 Chad Moutray, 경제 지표 호조로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고 지적한 가운데, 웰스파고의 John Silvia는 12월이 되어야 다양한 문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명확해질
것으로 예상
○ 골드만삭스,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를 위해 비용과 위험 부담 분산 필요(로이터)
ㅇ 최근 자동화와 외부 위탁 증가로 구직자가 원하는 직업과 선택 가능한 직업에 간극이 존재.
▶ 기존에 종사한 분야가 사양산업이 되는 경우, 다른 산업으로 이직을 해야 하지만, 비용과 불확실성
등으로 노동자들이 관망하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고 지적
ㅇ 이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하면서, 다수의 구직자들이 유망한 산업으로 이직하고자
노력한다면 높은 임금, 자본과 노동력의 효율적 분배 등으로 경제에 혜택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
ㅇ 구직자들이 다른 산업으로의 이직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부담해야하는 비용과 위험 부담을
분산할 수 있도록 정책 당국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
▶ 아울러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직업훈련 확대, 전직(career-transition) 계좌 개설 등을 제시
○ 시장 전문가들 , 향후 경제상황 개선에 4가지 긍정적 요소 제시(로이터)
1) 응답자의 30%가 소비 지출이 개선될 여지가 높다고 대답했으며, 더디지만 분명한 임금상승, 주택가격 회복,
주가 상승 등을 근거로 제시
2) 유가 하락 등으로 기업 투자가 감소했으나, 현재 유가는 금년 2월보다 30% 상승한 점을 지목하면서,
석유 관련 투자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
3) 영국의 EU 탈퇴 결정 등 불확실성 증대로 안전한 미국 자산 투자가 늘어나 저금리가 지속.
▶ 이로 인해 모기지 금리를 비롯한 미국의 전반적인 이자율이 낮게 유지되고 있어 주택시장 호황을 예상
4) 대선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상존하지만, 양당 후보 모두 재정지출 확대를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어
경기 부양에는 긍정적일 가능성
○ 학계, 對中 무역 등으로 제조업 부문 경쟁력 저하 지적(로이터)
ㅇ 중국과의 무역으로 미국의 근로자들이 예상보다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수입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제조업 종사자 등이 경쟁력을 갖지 못한 이유를 분석
ㅇ Steven Davis·John Haltiwanger, 1980~90년대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이끌었던 첨단기술 창업 등이
2000년대에 감소한 점을 지적하면서, 직업면허제도 등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규제가 노동시장
유연성 저하를 초래했다고 비판
ㅇ Justin Pierce·Peter Schott, 2001년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협상 타결로 관세 등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에 따라, 기업들의 중국 투자가 증가한 것도 미국 제조업 부진의 원인으로 분석
2. 유럽의 주요경제동향, 정책 및 시각
◎ 주요 경제동향
○ 영국 7월 주택시장, EU 이탈의 영향으로 부진(로이터, 블룸버그)
ㅇ 같은 기간 영국 왕립감정평가사협회(RICS)가 조사한 주택가격지수는 전월비 10p 하락한 5를 나타내
2013년 4월 이후 최저치.
▶ 주택거래도 전월과 마찬가지로 저조한 수준
ㅇ 이는 EU 이탈 결정 이후 주택경기의 불확실성과 세제 변경 등이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최근에는
중앙은행의 금리인하 조치가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으로 이어져 주택시장이 점차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
○ 이탈리아, 새로운 경기부양책 준비(FT)
ㅇ 렌치 정부는 11월 헌법개정안 국민투표에서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 예산안에 연금 및 저소득 지원
확대뿐만 아니라 내년에 예정되어있던 소득세 인하 추진도 고려
ㅇ 이에 대해 정부관계자는 경기회복세 약화로 재정지출 확대와 세금감면을 추진할 여지가 부족하지만,
경제적 지원 제공과 회복세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이면서 공식적으로는 아직 아무것도 결정된 것이
없다고 주장
○ 프랑스 7월 소비자물가(수정치), 전월비 0.4% 하락(로이터)
ㅇ 통계청(INSEE)에 따르면, EU 기준 소비자물가는 에너지 및 의류 가격 등이 하락세를 주도했으며,
속보치와 시장예상치와 일치
○ 독일, 2/4분기 성장률은 전기보다 다소 둔화 예상(로이터)
ㅇ 경제부에 따르면, 개인소비와 건설경기 침체 등이 반영되면서, 1/4분기 성장률(0.7%)보다 저하될 전망.
▶ 시장에서는 2/4분기 성장률을 0.2%로 예상
○ IMF, ECB는 자산매입 비중을 더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로이터, 블룸버그)
ㅇ ECB의 금리인하 효과는 한계에 이르러 자산매입에 대한 의존도를 강화해야한다고 주장
ㅇ 마이너스 금리가 신용경색을 완화시켜 여신을 다소 확대시키는 효과가 존재하지만,
동시에 은행 수익성 악화도 초래하여 여신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지적
◎ 정책동향 및 해외시각
○ 영국, 브렉시트 이후 완만한 경기하강 국면에 진입(로이터)
ㅇ 시장에서는 브렉시트 이후 영국 PMI가 떨어지면서 완만한 속도의 경기하강(Mild recession)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하는 견해가 다수
ㅇ Pantheon Macroeconomics의 Samuel Tombs, 기업투자 급감이 경기침체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대부분의 기업은 영국이 단일시장에 남는 것이 명확하고, 여타 기업들이 브렉시트의 영향을 얼마나
받을지에 따라 투자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
○ 단일청산위원회 (SRB), 은행 채권자 손실부담제도에 예외는 없다고 강조(로이터)
ㅇ Elke Koenig 위원장, 채권자 손실부담을 통해 은행의 부채를 해소할 수 있다고 언급.
▶ 이탈리아의 몬테데이파스키 디시에나 은행은 은행 회생정리 지침(BRRD)의 구제금융(Bail-Out)
이전에 해당은행 채권자들이 먼저 손실을 부담해야 하므로, 공적자금 투입 계획이 없다고 강조
○ HSBC, 잉글랜드은행 국채매입으로 전세계 국채금리 하락 전망(FT)
ㅇ HSBC의 Steven Major, 향후 잉글랜드은행이 정책금리를 추가로 인하하고 양적완화 규모를 늘릴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면서, 이로 인해 ECB의 추가 양적완화 조치와 미국 정책금리 인상 보류를 예상
ㅇ 현재스페인과 아일랜드의 10년물 국채금리는 0.9%, 0.33%로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중국의
벤치마크 채권수익률은 2.7%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
▶ 아울러 시장에서는 미국국채 수요 강세가 지속되는 등 전반적인 국채금리가 더욱 하락할 가능성을
높게 평가
○ S&P, 이탈리아의 은행 구제에도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 낮은 편(로이터)
ㅇ S&P의 Kraemer에 따르면, 몬테 데이 파스키 디 시에나를 포함한 이탈리아의 부실은행 구제비용은
이탈리아 정부가 대응 가능한 수준
ㅇ 중앙정부가 2조유로 규모의 부채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2000억유로의 구제비용이 추가로
늘어나는 것은 국가신용등급 변동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설명
ㅇ 또한 헌법개정안에 대한 국민투표는 영국의 EU 이탈만큼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최악의 경우에도 현 상황이 유지되는 수준이라고 지적
○ 독일 은행권, 대규모 예금자에게 수수료 부과(FT)
ㅇ 독일 은행권은 순이자마진이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통적인 은행 수익모델을 가지고 있어
ECB의 마이너스 금리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예금자에게 0.4% 수수료를 부과하는 사례가 증가
ㅇ 협동조합은행의 바이에른협회 대변인, 예금에 대해서는 수수료를 부과에 있으나 대출에 대해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지적
○ 유로존, 안정적 성장 유지 전망(로이터)
ㅇ 설문조사에 따르면, 유로존 경제는 경기회복 모멘텀 상실 등으로 인해 내년 초까지 분기 평균
0.3% 성장하나, 2017년 말에는 0.4%로 성장세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
ㅇ 물가상승률 전망은 2016년과 2017년에 각각 0.3%, 1.3% 상승하겠으나, ECB의 물가상승 목표치에는
2019년에나 도달할 것으로 예측
ㅇ 또한 영국의 EU 탈퇴는 금년 유로존 성장의 일시적 둔화요인에 불과하며 그에 따른 위험은 영국에
국한될 것이라고 분석
3. 중국의 주요경제동향, 정책 및 시각
◎ 주요 경제동향
○ 상반기 기업의 해외 M&A, 1225억달러로 사상 최고치(닛케이)
ㅇ 이는 이전 최고치였던 2015년 연간 규모를 상회한 것으로, 전세계 해외 M&A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를 넘고 미국과 유럽 기업보다 높은 위상을 차지.
▶ 미국과 독일에서는 대규모 자금을 배경으로 적극적인 M&A에 나서는 중국기업에 경계감을 강화
ㅇ 인수대상도 이전에는 자원·에너지 분야와 제조업이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첨단기술과 의료,
소매업으로 확대.
▶ 해외투자의 확대 배경으로는 가전 등 많은 제품에서 국내시장의 성장 둔화 등이 주요 요인
ㅇ 아울러 인건비의 상승으로 저가판매가 어려워지거나 선진 기업의 기술과 브랜드, 판매망 확보 의지 등이 반영
○ 부동산 가격, 추가 상승 억제 규제를 강화할 방침(로이터, 블룸버그)
ㅇ 상하이와 인접한 장쑤성의 난징과 쑤저우, 하이페이는 부동산 수요 급증.
▶ 이에 따라 이미 주택담보대출이 있는 2차 구매자의 부담 계약금을 기존보다 높은 50%로 모두
상향조정 예정
ㅇ China Real Estate Information에 따르면, 6월 쑤저우와 난징의 주택가격은 전년동월비 각각
64%, 29.7% 치솟은 상황.
▶ 이에 쑤저우는 비거주자가 주택구매할 경우 1년치 지방세와 사회보험료를 지불해야 자격을 주는
방안을 도입
○ 선강퉁, 연내 출범 가능성이 증대(로이터)
ㅇ 증권감독관리위원회는 심천과 홍콩증시를 연결하는 선강퉁(深港通)이 기술적인 면에서 준비되어 있으며,
규제 승인만이 남겨둔 상황이라고 언급.
▶ 이에 다양한 부문에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
ㅇ 선강퉁을 통해 심천과 홍콩 증시 간 교차매매가 가능하고, 중국의 신성장산업 등 다수의 신생기업이
포함되어 있어 투자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
◎ 정책동향 및 해외시각
○ 민간기업 투자, 정부의 의지와 달리 은행권 대출심사 강화 등으로 부진(WSJ)
ㅇ 민간투자가 저조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는 이유는 세계경제의 성장 여력 저하, 4년에 걸친 중국경제의 부진,
디플레이션 우려, 모순되는 정책 신호 등에 기인.
▶ 이는 정부가 모색하는 민간기업 중심의 첨단산업 이행을 저해하는 요소
ㅇ 자본재에 대한 민간투자는 2015년까지 10년간 평균 30%에 근접한 고성장세를 보였지만,
2016년 상반기에는 2.8% 증가에서 정체.
▶ 아울러 6월에는 2004년 통계작성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
ㅇ 정부는 민간 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절차 간소화와 규제장벽을 낮추는 한편 신용확대에 주력했으나,
국영은행의 민간 기업대출 금리는 국영기업보다 6%p가 넘는데다 일부 국영은행은 소규모 민간 기업
대출에는 신중한 태도
ㅇ 또한 민간기업은 비은행 등 비공식적인 경로에서도 대출이 곤란한 상황이며, 부실채권 증가로
금융회사의 경계감이 커지고 있는 편.
▶ 정부는 국영기업 투자 증가를 유도했지만, 이는 경제의 60%, 노동력의 80%를 차지하는
민간기업에는 역풍으로 작용
ㅇ 이로 인해 민간기업은 투자를 위한 대출보다는 부채상환을 위한 대출에 주력.
▶ 그리고 부채상환 기한을 늘려 놓은 기업들도 은행이 재무건전성을 위해 상환을 독촉하여
투자에는 어려움에 직면
4. 기타 세계경제 동향, 정책 및 시각
◎ 주요 경제동향
○ 2/4분기 전세계 금 수요, 전년동기비 15% 증가(WSJ, 닛케이)
ㅇ 세계금위원회(World Gold Council)에 따르면, 같은 기간 세계 금 수요는 1050톤이었으며,
이는 영국의 EU 이탈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로부터 금융시장이 동요하고,
안전자산인 금으로 자금유입이 지속되었기 때문
ㅇ 또한 투자수요는 448톤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141%로 늘어나 1/4분기에 이어 전체 증가세를 주도.
▶ 금 시세에 연동하는 ETF가 많은 주목을 받고, 금의 수요가 높은 수준으로 증가
▶ 동전 등의 수요는 212톤으로 1% 늘어났다고 발표
○ 러시아 2/4분기 경제성장률, 전년동기비 –0.6%로 하락폭 축소(블룸버그)
ㅇ 연방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이는 시장예상치(-0.8%)보다 호조를 보인 것이며, 1/4분기(-1.2%)에 비해
성장률 둔화가 완화
ㅇ 시장에서는 러시아가 성장세를 플러스로 전환하기 위해 자본집약적 산업 육성을 통해 저유가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
▶ Toronto Dominion의 Cristian Maggio, 러시아 경제는 단기간 내 회복된 이후 장기적으로는 다시
부진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
○ 캐나다 6월 신규주택가격지수, 전월비 0.1% 상승해 시장예상치(0.3%) 하회(로이터, 블룸버그)
ㅇ 통계청에 따르면, 같은 기간 신규주택가격지수는 5월(0.7%)에 이어 오름세를 보였으며 전년동월비 2.5% 상승
○ 필리핀 중앙은행, 정책금리 3%로 동결(닛케이, 블룸버그)
ㅇ 필리핀 경제는 개인소비 회복에 힘입어 성장세를 유지하겠지만, 선진국의 성장과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 증대로 금리결정에 신중함이 필요하다고 강조
ㅇ 두테르테 대통령이 규제완화와 세금인하 등을 통해 경기를 활성화시킬 것이라고 발표한 가운데
중앙은행은 정부의 재정정책 이후 통화정책을 변경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
ㅇ ING Group의 Tim Condon, 필리핀 경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내년 1/4분기 물가상승률이 4%에
가까워질 것으로 분석.
▶ 이에 따라 정책금리 인상 압력이 커질 것으로 전망
○ 멕시코 중앙은행, 정책금리 4.25%로 동결(로이터)
ㅇ 경기부진과 미국 대선에 따른 페소화 가치 하락 등의 리스크로 금리동결을 결정.
▶ 전반적인 산업활동 저조로 경제전망이 악화되었고, 저유가 장기화와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등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설명
○ 싱가포르, 세계경제 부진으로 2016년 성장률 상한을 하향 조정(블룸버그)
ㅇ 무역산업부는 2/4분기 성장률 잠정치를 전기비연율 0.3%로 제시하여 7월의 속보치(0.8%)보다 하향 조정.
▶ 이는 시장예상치인 0.8%보다 낮은 수치
▶ 2016년 연간 성장률도 1~2%로 예상하여 이전(3%)보다 전망치를 낮추었는데, 이는 세계경제 부진에
따른 리스크 등을 반영
○ 뉴질랜드 중앙은행, 정책금리 0.25%p 인하·향후 1차례 추가 인하 시사(로이터, 블룸버그)
ㅇ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정책금리를 0.25%p 내려 과거 최저수준인 2.0%로 결정하는 동시에 향후 1차례 더
금리인하의 필요성을 시사.
▶ Graeme Wheeler 총재는 물가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 통화정책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
ㅇ 중앙은행은 물가상승률의 1―3% 범위 내 유지가 책무이며, 현 수준은 0.4%. Graeme Wheeler 총재는
세계경제의 1/4에 해당하는 각국에서 금리가 마이너스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여건 속에서
통화정책 완화가 불가피하다고 강조
ㅇ Commonwealth 은행의 Jarrod Kerr, 중앙은행은 금리수준 하락에 따라 추가 금리인하에 소극적이나
뉴질랜드 달러화 가치가 높은 편이어서 인플레이션 기대가 오르기 않아 금리인하 압력이 높아졌다고 평가
◎ 정책동향 및 해외시각
○ 식량가격, 신흥국 물가하락을 가속화시킬 가능성(FT)
ㅇ 시티, 식량가격 하락으로 인해 신흥국 물가가 폭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
▶ 이에 따라 향후 신흥국 정책금리 인하 기조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
ㅇ 신흥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하락하기 시작했으며(올해 초 4.5%→6월 3.6%), 이는 신흥국 통화가치의
반등에 따른 수입품 가격하락과 유가하락에 기인한다고 설명
ㅇ 6월 이전 식량물가는 상승해 물가하락을 둔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
▶ 그러나 6월 이후 곡물가격 등이 15~20% 하락하는 등 가격추세가 급변
▶ 식량가격이 현 상황을 유지하면, 물가하락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확대
ㅇ Brown Brothers Harriman의 Win Thin, 식량가격 하락은 현 통화정책 완화 기조를 강화하여,
브라질, 칠레, 페루 등이 1년 내 정책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측
○ 원유시장 수급, 하반기에 완만한 속도로 개선될 전망(로이터)
ㅇ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월간 보고서를 통해 원유시장의 수급이 개선될 것이지만 속도는 더딜 것으로 예측.
▶ 이는 전세계적인 원유수요 부진과 OPEC 비회원국의 원유공급 반등이 예상되기 때문
ㅇ 구체적으로 원유수요 증가폭이 올해 일일 140만배럴에서 내년 120만배럴로 둔화되고,
OPEC 비회원국의 원유생산은 일평균 30만배럴 증가할 것으로 분석
○ 캐나다, 미국의 투자 감소로 비에너지 부문 수출 부진(로이터)
ㅇ 캐나다는 저유가에 따른 수출액 감소와 부동산시장 과열을 해결하기 위해 소비재와 산업장비 분야 등의
수출 증가가 필요한 상황.
▶ 그러나 미국의 에너지기업의 수익 감소 등으로 인해 자본지출이 감소하여, 캐나다 수출품에 대한
수요가 감소
ㅇ 토론토도미니언은행의 Michael Dolega는 기계, 철도, 운송장비 등 기업의 설비투자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분야에서 수출 약세가 두드러진다고 평가
ㅇ CIBC의 Nick Exarhos, 최근 캐나다달러의 평가절하에도 수출이 확대되지 않는 이유는 경합품목이 많은
멕시코 페소화 통화가치 절하에 따른 경쟁력 저하와 부족한 제조업 생산능력(capacity) 등에 기인한다고 평가
○ 아르헨티나 , 농업부문 수요 확대 등으로 경기회복 조짐(로이터)
ㅇ 정부는 페소화 평가절하와 가격통제 완화 등에도 물가와 빈곤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
▶ 다만 최근에는 농업과 부동산 시장의 수요 증가가 경기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
ㅇ 정부발표에 따르면, 상반기 농업기계 판매가 3004건으로 전년동기비 7% 증가.
▶ 또한 고급 상업용 및 주거용 부동산을 중심으로 건축허가가 증가하는 등 관련 수요가 확대
ㅇ Mauricio Macri 대통령, 농업과 부동산의 수요확대는 투자 활성화로 이어져 경기회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
▶ JM Morgan의 Facundo Gomez Minujin은 정부의 경기활성화 대책에도 실효성은 단기간 내
가시화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
5. 마이너스 금리 확대에 따른 금융시장 대응
ㅁ [이슈]
6월 브렉시트 현실화, 7월 미국 2분기 GDP 부진 등으로 저성장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국 국채금리는 추가 통화정책 완화 기대를 배경 으로 사상최저 수준으로 하락
ㅇ 만기수익률이 0%를 하회하는 채권의 규모가 전세계적으로 12조달러에 달하는 등 마이너스 금리 채권이
빠른 속도로 확대(Fitch, 6월말 11.7조달러 추정)
ㅁ [시장 대응]
마이너스 금리 확대에 따라
▲ 수익률 추구(search for yield) 심화
▲ 대체자산으로의 다변화
▲ 실질금리의 환율영향 확대 등이 뚜렷
ㅇ 수익률 추구: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미 달러화 자산에 대한 선호가 증대
(비거주자들의 미국 채권매입 규모, `14년 하반기부터 반기당 1,000억달러 지속 상회)
▶ 선진국 국채 중 약 40%의 만기수익률이 0%를 하회하게 된 데 따른 반작용 으로 신흥국으로도
대규모 포트폴리오 자금 유입이 지속(`16.3월부터 순유입 전환)
ㅇ 자산 다변화:
회사채 등 금융자산뿐만 아니라 금ㆍ부동산 등 실물자산 수요도 증가
▶ 회사채: 국채보다 수익률이 높은 투자등급 회사채에 대한 수요가 증가
(BoA-ML, 마이너스 금리 회사채 규모를 연초 대비 11배 증가한 5,120억달러로 집계)
▶ 금: `15년 하반기 전세계 중앙은행들은 327톤의 금을 매입(단위기간 중 사상최대),
`16년 들어서는 금 ETF에 대한 견조한 수요가 지속(7월까지 630톤)
▶ 부동산: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국가들의 최근 1년간 실질 주택가격 상승률은
4.3%로 전체 평균(64개국, +2.3%)을 상회(IMF)
ㅇ 실질금리의 환율영향 확대:
글로벌 금리 동반 하락시, 명목금리 및 물가상승률이 0% 내외인 유로화ㆍ엔화는 실질금리 낙폭이
제한되면서 절상여건 조성(Morgan Stanley)
ㅁ [시사점]
앞으로도 수익률 추구 및 자산 다변화 현상이 지속되면서
▲ 미 통화 정책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 자산가격 버블
▲ 디플레이션 압력 가중 등의 시장 불안요인이 나타날 수 있음에 유의
ㅇ 미 통화정책 불확실성:
미 달러화 자산에 대한 선호가 지속되면서 국채금리의 움직임이 연준의 금리인상 전망과 상충되는 결과 초래
ㅇ 자산가격 버블:
부동산 등 일부 자산으로 자금이 집중되면서 버블붕괴 위험 확대. `15년 Bund Tantrum 재현도 우려
(`11년 수준으로 금리 반등시 채권가격 3.8조달러 하락, Fitch)
ㅇ 디플레이션 압력 심화:
마이너스 금리 통화들의 강세 지속으로 수입물가 하락 압력이 가중되면서
추가 통화완화 기대→마이너스 금리폭 확대의 악순환이 우려
6. 중국 증시 전망과 위험요인 점검
ㅁ [이슈]
금년 중국 증시는 여타국 증시 대비 부진한 모습. 향후 중국 증시를 견인요인과 위험요인,
해외투자자 시각을 통해 점검
ㅇ 주가 동향: 금년 중 상해종합지수가 15.2% 하락해 주요국(MSCI 전세계 +3.5%, 미국 +6.8%) 및
여타 신흥국(+8.7%) 주가가 상승한 것과 상반된 모습(8/11일기준 3,002p)
ㅁ [견인요인]
공급측 개혁, 선강퉁 시행과 A주의 MSCI 신흥국지수 편입 가능성, 완화적 통화정책 지속, 낮은 벨류에이션 등
ㅇ 공급측 개혁: 기업의 과잉설비 축소, 공급의 질 개선으로 중국 기업의 경쟁력 제고
ㅇ 선강퉁 시행과 A주의 MSCI 신흥국지수 편입: 연내 선강퉁 시행 전망. 금년 불발된 A주의 신흥국지수 편입이
내년 6월 또는 그 이전에 단행될 가능성
ㅇ 통화정책 완화: 경기부진에 대응해 지급준비율 및 정책금리 인하 여력이 상당
ㅇ 낮은 밸류에이션: 연초 주가급락 후 반등폭이 제한되면서 상대적으로 저평가 소지
ㅁ [위험요인]
경제성장 둔화, 기업부채 증가, 자본유출 재개 등
ㅇ 경제성장 둔화: 금년(5개 해외기관 평균 6.5%) 성장률은 작년(6.9%) 수준을 하회할 전망
ㅇ 기업부채 증가: 중국 기업부채가 그간 빠른 속도로 늘어나 GDP의 170%를 상회
ㅇ 자본유출: 美 금리인상, 경기둔화 및 위안화 약세 전망에 따른 자본유출 우려
ㅁ [해외투자자 시각]
해외 IB들은 투자비중과 관련 현 수준 유지가 우세
ㅇ 6개 해외기관들의 투자의견은 확대 1, 중립 4, 축소 1이며 주가의 추가 상승에 대해서는 대체로 회의적
▶ 밸류에이션이 낮고 기업실적 개선이 기대되지만 성장둔화 및 공급과잉 등이 우려(Citi)
▶ 금융시장 변동성, 브랙시트 투표 이후 불확실성 등으로 경기하강 위험 증가(HSBC)
ㅁ [종합평가]
선강퉁 시행 및 통화정책 완화 등 단기적 수요우위 전망에도 불구 기업부채 등 구조적 취약요인을 감안하여
중국 증시에 대해 경계감을 유지할 필요
ㅇ 경기둔화, 기업부채, 자본유출 등 상층되는 정책과제에 대응한 중국정부의 선택 및 시장참가자들의 반응에
계속 유의
7. BOJ 통화정책 평가 및 향후 전망
ㅁ [이슈]
일본은행(BOJ)이 7/29일 정책회의에서 추가 완화의 폭이 ETF 매입 확대 등에 그치면서
금융시장은 상당한 실망감 표출
ㅇ 엔화가 강세를 나타내고 국채금리는 상승한 가운데, 정책금리 동결과 금융기관 달러조달 지원 확대 결정
등으로 은행주가가 큰 폭으로 반등(+8.7%)
ㅁ [시장 평가]
인플레이션 둔화 및 엔화강세 압력 등에도 불구 핵심 정책수단인 QQE와 마이너스 정책금리를 동결하면서
비전통적 통화정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구심 증대
ㅇ QQE(양적ㆍ질적통화완화):
국채 공급이 제한된 가운데 BOJ 보유비중이 빠르게 확대되어 유동성 감소, 시장기능 제약 등 부작용이
부각되면서 QQE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구심 증가
ㅇ NIRP(마이너스 정책금리):
'16.1월 NIRP 도입 후 장단기 금리차가 빠르게 축소되면서 은행권 수익성 압박이 심화되고 엔화강세,
증시부진 등 시장의 위험회피성향 강화
ㅇ 물가안정목표와 커뮤니케이션 전략:
BOJ의 물가안정목표(2%)는 시장의 추가 완화 기대를 자극하고, 정책결정의 낮은 예측 가능성은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
ㅁ [향후 전망]
BOJ가 9월 회의까지 QQE와 NIRP의 유효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향후
정책방향에 대한 다양한 전망이 제기
ㅇ 통화정책 프레임 변경:
‘종합평가’ 수행은 기존 정책여력이 소진되고 있음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 가능.
▶ 향후 통화정책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가능성
▲ 본원통화 확대목표 폐지
▲ 국채매입 목표 범위 또는 비율 설정
▲ 단기 인플레 달성목표 폐지
▲ 커뮤니케이션 강화(정책 예측가능성 제고) 등이
추진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화를 시장에서는 물가목표 포기와 양적완화 축소로 받아들일 소지
ㅇ 기존 정책조합(QQE+NIRP) 강화:
7월에 통화정책 완화 폭이 제한된 것이 단순히 ‘시간 확보’ 전략일 수 있으며, 9월 또는 그 이후에
정책금리 인하와 QQE확대에 나설 가능성
▶ 구로다 총재는 ‘종합평가’가 물가안정목표의 빠른 달성을 위한 최적의 QQE+NIRP 정책조합을
찾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정책여력 한계에 대한 우려를 반박
ㅇ 헬리콥터 머니 도입:
정부의 경기부양책 발표, 장기국채(40년) 발행 계획, 정부와 BOJ간 정책공조 시사 등을 감안 시 BOJ의
‘종합평가’는 헬리콥터 머니 도입을 위한 수순이라는 시각도 상당.
▶ 그러나 법적 제약과 펀더멘털 요인 등을 고려하면 현실화 여지는 제한적
ㅁ [시사점]
BOJ가 기존 정책조합을 강화할지 또는 정책 프레임을 변경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정책의 성공을 담보할 수 없어 시장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