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이 시작되는 첫날 한결어린이집 자연학습장 농장을 둘러보았어요.
먼저 보리수를 관찰했답니다.
보리수는 보리가 익을 무렵 열리는 열매로,
씨앗이 보리와 닮은데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열매를 따서 먹기도 하지만 맛이 새콤해서 그냥 먹기보다는, 주로 효소나 잼 등으로 만들어 먹습니다.
한결어린이집 친구들은 매년 열매를 수확하여 간식으로 먹습니다.
지금은 열매가 익어가는 시기...초록색의 열매가 빨갛게 익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청정지역 청계산자락에 위치한 한결어린이집內 자연학습장 1,100여 평의 먹거리 농장 녹색지대는...
신선한 공기와 햇빛이 드는 자연에서 부모와 교사의 간섭 없이 자유롭게 생각하고 상상하며 온몸으로 뛰어노는 곳 입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양육원칙 10’ ☞ 여기를 클릭해 보세요.)
자존감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우월감이나 열등감을 느끼는 마음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의 존재 가치를 인정하고
자신을 존중하며 사랑하는 마음 자세로, 자존심은 작은 웅덩이지만 자존감은 넓은 호수로써 존재의 깊이를 가지게 됩니다.
생태어린이 한결어린이들과 호흡하며 소통할수있는 자연 및 생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자로서의 자부심과 긍지를 느낍니다.
청계산자락에 위치한 한결어린이집은 "교실 밖 교실" 문밖이 교실인 원내에 1,100여평의 어린이농장을 운영합니다.
우리가 직접 가꾸고, 수확하여 김장도 해 보고 한결어린이집에선 재래식 김장항아리에
담궈 저장고에서 숙성시켜가며 우리들의 식탁에 오르니 한결어린이들은 편식 하지 않습니다!
한결어린이집內 친환경 농업 1,100여 평 먹거리 텃밭농장에서 수확한 싱싱한 채소가 어린이 식탁에 오릅니다!
보리수도 빨갛게 익어가고 있었어요
보리수 열매를 따서 친구들에게 보여주었어요.
초록색은 아직 덜 익어서 딱딱했는데 빨간것은 살짝만 만져도 터질 것 같았어요.
열매가 어떤 모양일까요?
앵두같아요...방울토마토 같아요....
냄새는 어때요? 새콤해요...아직 풀냄새가 나요.
요건 언제 먹을 수 있을까? 먹어보고 싶어요.....
보리수잎을 관찰해보았어요
보리수 잎의 앞은 짙은 초록색이고 뒤는 연한 초록색...친구들과 나뭇잎을 보며 이야기를 나누는 친구들입니다.
보리수의 잎을 관찰하며 보리수를 먹어본 경험을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다음주엔 먹을 수 있을까요? 친구들과 기다려 봅니다.
※1.보리수 열매의 효능※
보리수 열매 3말은 30년 묵은 천식도 낳는다는 속설이 있고 장기능을 좋게하고 여러 질병에 효과도 있으며 보리수 열매를 따서
2년간 그늘진 곳에서(땅속은 더 좋음) 발효 시키면 알콜도수 10도 이상의 와인이 되는데 그맛은 둘이먹다 둘다 죽어도
모를정도로 맛있습니다.
≪ 보리수 :: 각지방 방언 ≫
뜰 보리수나무, 산 보리수나무, 파리똥, 포리똥, 뽈똥, 보리밥, 울릉도에서는(뽈뚜)
※파리가 똥 싼 것처럼 나무,꽃,잎,열매에 점이 박혀있습니다.
※2.보리수의 효능※
보리수 엷은 고상한 향기.감기,불면증.혈액정화,혈액순환 촉진 작용이 있기때문에, 냉증의 개선에도...
※보리수 주
보리수나무의 열매인 보리수로 담근 과실주.
보리수 l kg에 소주 2 ℓ의 비율로 담근다.
l개월 정도 밀봉해 두면 성분이 모두 우러나며 체로 걸러내면 노란빛의 비릿하고 달콤한 술이 된다 .
한방에서는 정장작용과 설사가 심한 체질에 효과가 있다고 하며 기침약으로도 쓴다.
풍미는 약한 편이므로 다른 과실주나 탄산음료와 섞어 마시면 비릿한 냄새도 없애준다.
보리수는 발효성이 매우 강한 과실이기 때문에 소주를 넣지 않고 설탕만 넣어 자연발효를 시킬 수도 있다.
※ 보리수주의 효능 : 진해, 지혈, 지사, 기침, 천식, 설사, 이질, 대하증, 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세...
1. 보리수 약 음료(즙)
붉은색의 보리수 열매는 유기산, 비타민C 등을 함유하 며 주로 술을 담그거나 차, 즙 등으로 이용한다.
만드는 법
① 보리수 열매를 살짝 씻어 물기를 제거한 다.
② 유리병에 보리수 열매와 설탕을 켜켜이 재워둔 다.
③ 한달정도 지나 보리수의 맛과 향이 충분히 빠져나오면 약 간 따로 분리하여 보관한다.
④ 끓여 식힌 물과 보리수즙을 3 : 1의 비율로 희석하여 마신다.
※ 보리수 즙의 효능 : 보리수 엷은 고상한 향기, 감기,불면증에 혈액정화,혈액순환 촉진 작용이 있기 때 문에 냉증의 개선에도...
2. 보 리수 즙
만드는 방법
1. 보리수 열매를 살짝 씻어 물기를 제거한 다.
2. 찜통에 보리수와 설탕을 함께 넣고 끓기 시작하여 10 분 끓 어 식힌 후 躊은 체에 걸른 후 얇은 면보자기 몇 겹을 하여 다시
깨끗하게 다시 걸러 놓는 다.
3. 깨끗하게 걸러진 보리수 즙은 차게 보관하 고 먹 을 때 찬물로 희석하여 먹는다.
4. 흰색 빛이 강하면서 분홍빛이 야간 도는 보 리수 음료로 색이 예쁘고 맛이 좋다.
※3.보리수 이름의 유래※
보리수는 9-10월에 붉은 열매를 수확할 수 있으며, 6-7월에 수확하는 보리수는 뜰보리수로 일본이 원산지이며 뜰에 많이 심어
뜰보리수라는 이름으로 부른답니다.
흔히들 보리수를 고행 끝에 도를 득한 성스런 나무로 생각하고 있으나 그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나무라고도 합니다.
(그와 관련이 있는 보리수는 높이 30여m에 이르는 인도산 보오나무라고 합니다.)
이름의 유래는 보리 수확시기와 같은 시기에 열리는 열매로, 씨앗이 보리와 닮은데서 유래되었다고 추정한답니다.
요즘 한결어린이집 자연학습장 농장에는 먹거리들이 익어가고...어떤게 있을까요? 요 노란 꽃은 토마토 꽃이에요.
꽃 사이로 요렇게 방울토마토가 익어가고 있습니다.
토마토의 노란꽃을 관찰했어요
꽃이 떨어진 자리에 토마토가 열리기 때문에 손으로 꽃을 따면 안된답니다^^
방울토마토가 주렁주렁 열렸어요
아직은 초록색이기 때문에 익지 않은거지요?^^
빨갛게 익을 때 까지 기다려야 해!!
토마토 밭에 들어가 방울토마토를 자세히 관찰했습니다^^
여기도 있어!! 여기도 있어!!
주말 동안에 토마토가 정말 많이 자라 있었어요^^조심해야해! 떨어지면 안돼!
보리수와 토마토도 익어가고...
한결어린이집 자연학습장 농장을 돌아보면서, 주말 동안 많이 많이 자란 식물들을 관찰했습니다^^
파꽃이 정말 크게 자랐습니다.
*놀라운 보리싹의 효능을 아십니까?
보리싹이 함유한 칼륨은 우유의 55배, 시금치의 18배에 이르고
칼슘은 우유의 11배, 비타민 C는 사과의 60배, 시금치의 3배가 들어있으며,
효소도 30여종을 포함하고 있고 엽록소도 다른 채소보다 월등히 높습니다.
보리녹즙에는 인슐린을 활성화 시키고 혈당을 낮추는 맥록소 성분이 함유돼 당뇨병 환자에게 유익하고
또한 마그네슘, 구리, 망간 아연 등 각종 미네랄이 함유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산성체질을 알카리로 바꿔 체내의 균형을 유지토록 해주며 신체기관의 독소를 제거해 줍니다.
조금 더 들어오면 보리와 밀이 자라고 있어요.
이젠 어떤 게 보리고 밀인지 알 수 있어요. 요렇게 수염이 없는 건 밀...
요렇게 수염이 있는 건 보리
요간 4월8일에 본 보리와 밀..자세히 들여다 봐도 잘 모르겠다는 표정들이네요. ^^
그리고 5월15일에 본 보리와 밀....
그리고 6월1일 오늘...드디어 알 수 있게 되었어요.
내키보다 크게 자랐어요...이만큼이나 자랐어요.
밀, 보리가 자라는만큼 우리 키도 커가고 있어요^^
어랏..근데 우리 꽃마리반 친구들이 다 어디로 숨었을까요?
보이시나요?
짜잔! 저희 여깄어요. 밀밭에서 숨바꼭질도 해봤답니다.
여기도 쨔~~안
*밀의 특징
분류 : 화본과
원산지 : 아프가니스탄, 카프카스
분포지역 : 온대지방
서식장소 : 밭
크기 : 1m정도
특징 : 보리보다 빳빳하다.
싹이 틀 때 3개의 씨뿌리가 나오고 점점 증가해 7∼8개가 된다.
뿌리는 보리보다 더 깊이 들어가므로 수분과 양분의 흡수력이 강하여 가뭄이나 척박토에도 잘 견딘다.
용도 : 제면,제 빵, 제과, 공업용, 간장과 된장의 원료
밀짚은 질기고 빳빳하여 밀짚모자 등을 만드는 데 이용
*보리의 특징
분류 : 화본과
원산지 : 스코틀랜드, 노르웨이, 시베리아, 알프스, 아프가니스탄, 히말라야, 티베트, 페루, 한국
서식장소 : 중국 양쯔강 상류의 티베트 지방, 카스피해 남쪽 터키 부근
크기 : 높이 약 1m
특징 : 마디가 높고 원줄기는 둥글다.
속이 비어 있고 마디 사이가 길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줄 모양의 바소꼴로,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너비 10∼15mm이고, 녹색 바탕에 다소 흰빛이 돈다.
잎자루는 잎집으로 되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녹색으로 털이 없다.
용도 : 식용
차이점: 밀이 보리보다 더 빳빳하다.
그 외에도 원산지, 서식장소, 특징이 다름.
조금씩 노랗게 익어가는 보리와 밀처럼 우리도 쑥쑥 자라는 한결 어린이들입니다
한결어린이집 농장밭에는 우리가 심은 땅콩도 이렇게 자라고 있었네요.
오랜만에 모든 친구들이 다 모인 하루...꽃마리반 모여라! 찰칵!
호랑나비 애벌레 키우기
지난 5월 11일에 꽃마리반(만 3세)에 한결어린이집 자연학습장에 있는 호랑나비 애벌레 친구 두마리가 놀러왔어요.
자연학습장에는 아직도 애벌레 친구들이 숨어 있어요... 드뎌 6월 2일 호랑나비 애벌레가 나비로 변태되어 날아갔습니다.
호랑나비 애벌레 관찰 이 친구들이에요. 안녕! 반가워!
한결어린이지비에서는 지난 2013년부터 호랑나비 애벌레를 키워, 나비로 변태되는 모습을 관찰해왔습니다.
2013년 7월20일 원장선생님께서 한결어린이집內 자연학습장에 있는 초피나무에서 호랑나비 애벌레를 데려오셨어요.
가지를 칼을 이용하여 자른 뒤 관찰통으로 옮기셨대요
애벌레가 보이시나요? 저는 보이는데~~~~안보이신다면.......
자~~ 여기 주인공이 있습니다.
호랑나비 애벌레는 5번의 탈피를 한다고 합니다.
작년에 만난 애벌레는 5령의 애벌레로 사진에서 보는 눈은
애벌레의 눈이 아니라 적으로 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친구들은 책을 통해 애벌레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애벌레에서 고치가 된 애벌레는 10일~15일동안 고통을 참음으로써 멋진 호랑나비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번데기가 되어 가는 모습... 점점 노랑빛을 띄어갑니다
2013년.7.23(화)관찰 애벌레 한마리가 번데기가 되었습니다.
2013.7.24(수) 7.오전 10시 관찰변화과정 또 한마리가 번데기 모습을 보입니다.
7월 24일 첫번째 번데기의 모양
(윗사진 참고) 7월 24일 첫번째 번데기의 모양에서 2013.7월 26일 좌측 모습으로 바뀌었네요 .
현재 애벌레의 모양 그대로 관찰통뚜껑에 고정 되어있지만 후에 바뀌어질것을 새롭게 알게 되어집니다
2013.7.23일(금) 4마리의 애벌레들이 번데기모습으로 관찰통에 고정
마지막 번데기로 들어간 것중 번데기 색이 여느 것과는 다른것이 있습니다. 무슨 이유일까요? 정말 궁금합니다.
2013년7월31일 오전 7시 50분에 출근하여 보니 호랑나비 한마리가 변태과정을 거쳐 변신하였네요. 참으로 신기합니다 ^^
날개를 접었다 폈다....좁은 관찰통이 답답한지 연신 날개를 퍼덕거리면서 움직입니다.
요 녀석을 얼른 날려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통이 열리자마자 힘찬 날개짓으로 날아가는 호랑나비...얼마나 저 높은 곳을 향해 날아가고 싶었을까요?
색깔이며 무늬며 정말 예뻐서 눈을 뗄 수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1년이 조금 못되게 지나간 2014년 5월 12일 아침...
작년보다 일찍 찾아온 더위 때문인지 호랑나비 애벌레를 조금 일찍 만났습니다.
어찌나 반갑던지...안녕! 애벌레야! 이번 애벌레는 어린이집 입구에 있는 탱자나무에서 만났습니다.
그리고 2015년 5월11일 백선나무에서 이 친구들을 또 만났답니다. 잘 키울게요.
열심히 나뭇잎을 갉아먹더니 고치로 변했어요.
요 속에서 먹지도 자지도 못하고 있다가
드디어 이렇게 나비로 변신!
날개와 꼬리가 꾸부러져 있어 아픈지 알았더니, 조그만 고치속에 들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는 것...
조금씩 날개를 펴기 시작하더니
젖은 날개를 퍼덕이며 말리기 시작!
이렇게 활짝 폈어요.
나비를 날려주러 나가는데 조금 슬픈 소식이 들려왔어요.
동생반 교실에서 나비가 들어있던 고치를 떨어뜨려서 그만 나비가 다쳤대요.
우리 꽃마리반 나비는 이렇게 활짝 날개를 펴고 앉아 있는데...
동생반 나비는 날개를 펴지 못하네요...높은 곳에서 떨어졌기 때문이래요. 많이 아프지?
원장선생님과 나비가 나왔을때 모양을 이야기 하고 있었어요...요렇게 웅크리고 있다가
기지개를 쭈욱 펴고 날 준비를 하는 우리 나비
자...이제 하늘로 날려주자!
잠깐 선생님 손에 앉아 친구들과 인사를 나누고는
훨훨 날아가버렸어요. 보이지도 않게...
교실로 돌아와 영상으로 나비에 대해 공부했어요.
아직 남아 있는 나비 한마리가 태어날쯤이면 나비 박사가 되어 있겠죠?
한결어린이집 생태 블로그
(사)과천도시농업포럼시범모델 지정 한결어린이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