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나 황산
    2. 미소진
    3. 고니24
    4. logos
    5. 다니엘
    1. 김용만
    2. 궁금이
    3. 정문수
    4. 나이론
    5. 장암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엄길주
    2. 정문수
    3. 여름달
    4. 들꽃언덕
    5. chomice
    1. 길뫼
    2. 미소진
    3. 빈들에 서보라
    4. sep05
    5. 영원소년
 
 
카페 게시글
조선과 근대 토론방 Re:조선 정조대왕의 죽음에 대해
武寧王 추천 0 조회 676 07.09.15 10:23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7.09.15 12:37

    첫댓글 저도 정조임금이 독살 됐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정조는 밤늦게까지 책을 보고 정무를 보는 일이 많았고 자신에게 너무 엄격하고 철저해서 몸을 편히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런것들이 건강을 상하게 한 원인도 됐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49에 승하하셨는데 그당시 49이면 그리 빠른 죽음도 아니라고 봅니다. 조선왕들의 평균수명은 47이었지요..정조 독살설이 퍼진 이유는 당시 정적이었던 노론 벽파의 존재와 정조 사망후 실각한 남인들이 추측이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노론벽파가 정조를 죽이려 했다면 진작에 독살하지 않았을까요..사실 전 왜 노론이 정조를 초기에 독살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도 좀 드는...ㅋㅋ

  • 07.09.15 15:55

    기미상궁?...오래되어 기억이....좌우지간 임금이 수라상 들기전에 음식의 독이나 가타 이유로 먼저 맛을 보아준 상궁이 있었다는 것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이것은 음식에 독물을 감별하기 위한 안전장치인데..독살로는 거의 불가능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기미상궁을 매수할 수도 있지만, 항상 임금과 같이 있는 제조상궁이나 내시들 모두를 매수하는것 자체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독살정도라면 한바탕 난리가 나게되어 조선왕조실록에 무슨 기록이라도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 07.09.15 22:42

    한의약적인 독살개념도 존재합니다. 당시 독살설을 뒷받침해주는것 역시 그것이 뒷받침을 해주는 셈이지요. 또한 정조사망시 당시 정황도 문제가 되는 것이지요. 역사스페셜을 보면.. 정조에 대한 처방에 대한 문제점이 드러나게 됩니다.

  • 작성자 07.09.16 00:16

    결국 정조의 죽음은 정조의 마음병과 종기 그리고 무리한 처방 탓이라고 봐야겠죠. 독살이네 뭐네 보다는 ...

  • 07.09.16 07:39

    독살설이라는 다소 자극적인 소재가 있어야 책이 팔리고 시청률이 올라가는 겁니다~,~

  • 07.09.17 02:31

    알렉산더 대왕도 독살설이 있는데, 실제로는 처방에 문제가 있어서 사망했습니다.(디스커버리에서 방영된적 있음)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