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0346
2019/8/28
German English Dictionary 에서 만난 우리말,
arg [ark]
(아흐크) [악(惡)]
evil (사악한), wicked (못된); bad (나쁜); terrible (지독한); bitter (혹독한); confirmed (확고부동한), invetreate (<병·습관 등이> 뿌리 깊은, 만성의, 상습적인);
독일어 arg [ark]를 인터넷 사전으로 그 발음을 들으면 [아흐크]다. 독일어에서 가장 난해한 발음이 [r]이다. 어쨌든 우리말 [악할 악(惡)]과 같은 뿌리에서 파생된 어휘임이 분명하다고 여겨진다. 악(惡)에 대한 중국과 일본 발음은 원조 우리말과는 어감이 훨씬 상이함을 그리고 독일어 발음이 오히려 우리 발음과 더 근친관계임을 인식하게 된다. 참고로 산스크리트에서 악(惡)을 뜻하는 말은 [ag](악)이다.
한국
중국
일본
惡
악할 악,
미워할 오
1. 악하다(惡--)
2. 나쁘다
3. 더럽다
4. 추하다(醜--)
5. 못생기다
6. 흉년(凶年) 들다
7. 병들다(病--), 앓다 8. 죄인(罪人)을 형벌(刑罰)로써 죽이다 9. 더러움, 추악(醜惡)함 10. 똥, 대변(大便) 11....
恶 惡
발음 [ è ]
1. 명사 악행(惡行).
반의어 善(2)
2. 형용사 흉악하다.
一场恶战
격심한 한바탕의 싸움
3. 형용사 악하다. 열악하다. 나쁘다.
恶势力 나쁜 세력
4. 형용사 [문어] 추(악)하다. 보기 흉하다. 相貌不恶
용모는 추하지 않다
5. 형용사 [문어] 조잡하다. 초라하다.
6. 부사 대단히. 몹시.
恶灵利 매우 영리하다
あく
[悪]
악, 악한 놈, 歌舞伎에서 악역
명사
1.악.
悪あくの 道みちに走はしる 악의 길로 기울다
2.악한 놈.
あいつは悪あくだ 저놈은 악한 놈이다
3.歌舞伎에서 악역.
No. 2456
2018년 10월 22일
Sanskrit English Dictionary by M. M. Williams,
P. 324/1333에 등재된 선조들의 말씀,
ksha, 2 (끄샤) (끄시야) (끝이야)
destruction of the world (이 세상의 종말), lightening (천둥, 벼락),
산스크리트 [ksha, 2](크샤)는 현대어 [(불을) 끄샤/끄셔, (전깃불) 껐어] 등의 어원으로 추정 할 수 있다. 그리고 명사 [끝]과 같은 뿌리에서 파생(派生)된 어휘(語彙)임을 짐작할 수 있다.
말살 (抹殺/抹摋) [말쌀]
[명사] 있는 사물을 뭉개어 아주 없애 버림.
No. 2457
2018년 10월 22일
Sanskrit English Dictionary by M. M. Williams,
P. 10/1911에 등재된 선조들의 말씀,
Agha-marsana (악을 말살하는)
sin-effacing (죄악을 말살하는);
산스크리트 [Agha-marsana](아가 말사나)는 현대어 [악(惡)을 말살(抹殺)하는]의 어원으로 추정 할 수 있다.
한국
중국
일본
말살/抹殺/抹摋/[발음 : 말쌀]
파생어 : 말살되다, 말살하다
명사
있는 사물을 뭉개어 아주 없애 버림.
만주의 우리 독립군 거점은 완전히 와해돼 버리는 거지요. 말살입니다. 출처 : 박경리, 토지
抹杀
발음 [ mǒshā ]
1.동사 말살하다.
一笔抹杀 yībĭmŏshā
단번에[죄다] 말살해 버리다
まっさつ[抹殺]
명사,
1.지움.
名簿めいぼから抹殺まっさつする 명부에서 지우다
文字もじを抹殺まっさつする 글자를 지워 버리다
2.사실·존재를 인정하지 않음; 무시함.
(이하생략)
No. 2458
2018년 10월 22일
Sanskrit English Dictionary by M. M. Williams,
P. 500/1911에 등재된 선조들의 말씀,
khid
(끼다) (끼워)
to strike (때리다, 쥐어박다),
press (압박하다), press down (짓누르다);
to be pressed or wearied (짓눌리고 지쳐버린);
산스크리트 [khid](키드)는 현대어 [끼다/끼이다/끼우다]의 어원으로 추정 할 수 있다.
No. 2459
2018년 10월 22일
Sanskrit English Dictionary by M. M. Williams,
P. 1136/1911에 등재된 선조들의 말씀,
madhya-bhakta (마디야 박다)
eaten in the middle (a term applied to any medicine taken in the middle of a meal) (음식을 먹는 중에 섭취하는 약의 의미에서 따온 말로, 식중복용)
산스크리트 [Madhya-bhakta](마디야 박타)는 “음식 섭취 중 무언가 다른 것을 먹는다”는 의미다. [마디야]는 현대어 [마디] 그리고 영어[middle]의 어원이다. 또 [박다]는 “뭔가를 입에 쑤셔 넣는다”는 의미다.
No. 2460
2018년 10월 22일
Sanskrit English Dictionary by M. M. Williams,
P. 1302/1911에 등재된 선조들의 말씀,
laghu-ga
moving quickly (재빨리 움직이는);
the god of the wind (바람의 신);
산스크리트 [laghu-ga](라구 가)는 [락(樂)+ 간다] 즉 즐겁게 신바람이 나서 간다는 의미다.
한국
중국
일본
樂/
즐길 락, 즐길 낙, 노래 악, 좋아할 요
1. 즐기다 2. 즐거워하다
3. 즐겁게 하다 4. 즐거움 a. 노래 (악)
b. 풍류(風流) (악)
c. 아뢰다(말씀드려 알리다) (악) d.연주하다(演奏--) (악) e. 좋아하다 (요)
乐 [ lè ]
번체 樂
1. 형용사 즐겁다. 기쁘다.
2. 동사 즐기다. 좋아하다.
3. 명사 즐거움. 쾌락.
楽
음독/がく·らく |おんがく [音楽], あいらく [哀楽]
훈독/たのしい·たのしむ |たのしい [楽しい], たのしむ [楽しむ]
laghu [樂]
mfn. light (밝은, 가벼운), quick (민첩한, 생기 있는), swift (방탕한), active (활동적인), prompt (즉석의), nimble (재치 있는), easy (쉬운), not heavy or difficult (무겁지 도 않고 어렵지도 않은); light in the stomach (위장이 편한), easily digested (소화가 잘 되는); easy in mind (마음이 편한), light-hearted (가뿐한); causing easiness or relief (맘을 편하게 해주는); (이하생략)
출처 : ♣ 이동활의 음악정원 ♣blog.daum.net/dia34/543
글쓴이 : 禮江 감나무그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