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많은 분들의 노고로 영문 GPS 에 지도올리기를 위한 지도변환 작업의 Tip 이 있었습니다.
방장님을 비롯 운수님, 김한국님, 그리고 여러분들의 수고와 최근의 몽생이님의 설명까지.
관련되는 항목이 여기저기에 많아 매일 이곳을 들르며 메모하지 않는 분들은 조금 헷갈릴 수
있으나 결국 몇개의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시간과 노력만 들이면 해결이 되는 문제 입니다.
네베상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한글판 GPS 를 쓰면 모든 것이 해결 되지만 가격문제를 떠나 모델의
다양성이나 update 에 대한 문제 때문에 약간의 불만이 있고 특히 산행자들의 요구사항인 수신력
강화에 있어 최근 60CSx 바람이 불고 있기도 합니다.
네베상사도 고객의 요구를 모두 수용하고 싶겠으나 한계가 있고 특히 영문판 GPS 판매와 한국상세도
-디지털지형도의 영문판 출하는 형식승인, 개발비, 판매량의 미미함에 있어 고객의 요구를 모두 충족
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이해 하기도 합니다.
GPS 를 중급 이상으로 사용하게 되면 관련 프로그램과 수신력, 특히 지도 업로드에 관심이 갈 수 밖에
없는데 wpt, track 등을 공유하는 것은 오래 되었으나 지도를 변환 및 업로드 하는 것은 기존의 Garmin
정품 버젼을 이용하는 것이 Garmin 기기 사용자들에게는 편한 것이라 조금 문제가 됩니다.
저도 60CS 한글판이 있고 한국상세도 정품이 있는지라 개인용도로 변환하여 Test 를 했는데 현재 관련
프로그램으로 변환 작업을 하면 컴날짜 변경없이도 Lock 버젼이 열리고, 특히 외장메모리 타입에는
무제한 복사와 편집이 가능하여 결국 단 하나의 한국상세도, 디지털지형도를 가지고 모든 유저들이
복사해서 쓸 수 있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영문판 GPS 를 쓰는 유저들이 돈을 주고 지도를 사고 싶어도 불가능 하기에 궁여지책 변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을 하는 것인데 상거래 행위야 있을 턱이 없으니 이해를 했으면 하는 바램이며 어쨌든
네베상사에게 영업적인 손해를 끼치는 인식이 유발되지 않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 입니다.
모든 기술적인 자료를 공유하는 것이 문제가 있다는 시각도 있으나 무슨 해킹프로그램도 아니고
싱가폴-말레이시아-태국등 Garmin 기기 사용자들이 최신 지도자료를 계속 update 하고 공유하고
있으며 다른 여러나라에서도 물론, cGPSmapper 에 링크된 mapcenter 에는 세계 모든 지역의
사용자들이 변환 및 작업한 지도자료들이 무제한 공유되고 있습니다.
물론 모두가 영문판 자료이니 그냥 다운 받아서 GPS 에 업로드 하면 됩니다.
우선 Garmin 기기의 지도인식 시스템을 이해하고 시작 합니다.
Garmin 기기는 단 1 개의 지도파일만 인식을 합니다. 그래서 새로운 지도파일을 업로드 하면 먼저 저장
되어 있던 지도파일은 지워지게 됩니다. 기존에 있는 파일을 수정하여 재저장하는 방식과 같습니다.
한글판 60CS 의 경우 56 MB 의 내부 메모리 용량을 가지고 있는데 내장 Base Map 은 개략 World
map 이며 이것은 워낙 단순하고 용량이 작아 참조용 입니다. 56 MB 메모리 용량을 꽉 채워 네비게이션
이 가능한 (Routable Map 이라고 함) 한국상세도를 집어 넣었고, 작년에 디지털지형도가 출시되어
산행인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디지털 지형도의 전체 용량이 56 MB 의 2배가 넘는지라 메모리 용량에 따른 필요 도엽만 업로드 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외장메모리 타입이 출시되면서 용량에 대한 불편은 사라졌습니다.
네베에서는 60CSx 와 기타 몇가지 모델들에 대해서, 또 지도의 업그레이드를 포함하여 출시를 준비
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물론 한글판이며 한글판을 위한 지도겠죠.
우리는 이 한글판 지도파일을 변환하여 영문판 GPS 에 업로드하여 쓰는 것인데 위에 언급했듯이
개인 용도의 원본파일 사용문제가 첨예한 사항이긴 한데 논란이 없었으면 합니다.
지도 변환은 다른 분들이 많이 설명 한지라 넘어가려 했으나 어짜피 모두 Open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변환과 업로드에 대해 이어서 설명 합니다.
서론이 길었는데 지도파일 변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준비작업 (프로그램 다운 및 인스톨, 최신판을 다운할 것)
GPSMapEdit (img 파일 편집 작업용, www.geopainting.com) - 적당한 폴더에 저장.
cGPSmapper (img 파일 출력 작업용, http://cgpsmapper.com) - 자동으로 인스톨 됨.
MP2SHP (한글mp --> 영문 mp 변환 작업용, 카페 외부자료실) - 적당한 폴더에 저장
SendMap20 (지도파일 GPS 에 업로드용, cgpsmapper 에 있슴. 이건 구판이 좋을 수도) - 적당 폴더.
1. MapEdit 에서 가민 img 파일을 엽니다.
질문 : 한국상세도나 디지털지형도 파일을 불러오면 되는가?
답변 : 그렇다. 그냥 파일 열기로 부르면 된다.
질문 : 파일은 1 개만 불러 작업할 수 있나?
답변 : 아니다. 여러개를 불러 하나의 파일로 작업할 수 있다.
단 전체 용량이 크면 변환작업을 위한 컴퓨터 사양이 문제가 된다.
한 방에 전국지도를 모두 변환하겠다는 생각은 접길 바란다.
2. 영자 변환과 가민용 img 파일 출력을 위해 우선 mp 파일로 저장을 합니다.
File - Save file as - Polish format 으로 저장. 파일 이름 무관. 12345678.mp 등으로.
3. MP2SHP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한글 mp 파일을 영자 mp 파일로 변환 합니다.
MP2SHP 실행 - 영자 mp 생성 - 한글 mp 선택 - 영자 mp 저장장소 선택 - Run
한글 로마자 표기법으로 자동 변환 되는데 저는 중간에 "-" 등 구분자가 없는 것이 좋더군요.
운수님과 김한국님께 감사를 드리고 문제가 있으면 폴더내의 txt 파일을 참조.
사용전 MO21rt.exe 를 우선 한 번 실행.
4. MapEdit 에서 한글 mp 를 닫고 위에 생성된 영자 mp 파일을 엽니다.
Export-Garmin img 파일로 출력 합니다 (파일 크기에 따라 시간 소요 많이 됨)
Tip : 처음 실행시 cGPSmapper 의 경로를 실행안내 Box 상단의 Path 란에 설정을 합니다.
우측의 버튼을 누르고 Program-cGPSmapper 로 들어가 cGPSmapper.exe 를 선택.
지도 ID 가 8 자리의 가민 포맷이 아닐경우 File - Map Properties 에서 수정후 실행.
Text box 에 설명이 이어지는데 Warning 은 괜찮으나 변환 도중 Error 표시가 되면
작업은 정지 합니다.
여기 까지는 초보자를 위한 변환을 위한 설명입니다. 다음은 핵심 사항인 GPS 지도 업로드 입니다.
---------------------------------------------------------------------------------
** 추가 사항. img --> mp 파일 저장시 지도 관리의 편의를 위해 참조 바랍니다.
File - Map Properties (지도속성) 를 엽니다. Header 항목에 있는 Name 란에 (반드시 영문/숫자)
이름을 넣어야 관리가 좋습니다. 예를 들면 지형도 파일번호나 (Topo 148, Topo 151-152 등)
특정 이름 (Topo Jejudo) 을 기입하면 지도구분과 GPS 운용시 지도 선택할 때 용이 합니다.
Levels 항목에서 지도의 Layer 속성이 나오는데 지형도의 경우 전체가 똑같지 않습니다. 특별하게
지역별로 설정을 해서 사용할 분이 아니라면 수고스럽더라도 전체 파일의 Level 을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다수의 파일을 불러 변환시 Level 구성이 다른 파일들이 섞이면 img 파일 출력시
에러가 날 수 있으며 각 파일마다 Level 이 다르면 관련되는 특정 축척에서 지도의 경계선 부분이
서로 다른 Level 의 지도화면을 보여주어 혼란스러울 수가 있습니다.
--------------------------------------------------------------------------------
5. 영자 img 파일이 완성되면 외장 메모리 타입일 경우 GPS 메모리 카드에 복사해서 붙여 넣습니다.
60CSx 의 경우 GPS 동기화 하여 SD 카드 Garmin 폴더에 복사하면 됩니다.
6. 파일 이름을 gmapsupp.img 로 고칩니다. (이게 핵심이죠, Garmin Map Supply 의 약자로 보임)
가민은 이 파일명만 지도로 인식을 하며 Mapsource 나 Sendmap 등으로 1 개든, 여러개든
img 파일을 업로드 하면 자동으로 gmapsupp.img 파일 1 개로 저장됩니다.
(내장메모리 타입은 속을 볼 수가 없으니 안보이죠)
파일이름은 컴에서 미리 고치든지 GPS 동기화 이후 SD 카드의 Garmin 방에 업로드된 파일명을
고치든지 상관 없습니다.
질문 : 네비게이션이 되는가?
답변 : 안된다. GPS 가 네비게이션을 위한 도로를 인식하지 못한다.
질문 : POI 는 활용 가능한가?
답변 : 그렇다. 가민 한글판의 기존 분류대로 영자 전환된 것이 모두 같다. 음식점, 주유소등등
단 거리 및 방향을 알고 지도에 표시하는 기능 뿐 POI 대한 세부안내는 없으며 도로관련에
대한 POI, 즉 휴게소, 교차로등과 주소분류등은 안된다.
질문 : 컴퓨터 사양이 문제가 되는가?
답변 : 그렇다. img 파일을 mp 파일로 저장하면 용량이 많이 늘고 변환시 메모리부담이 크다.
변환을 위한 mp 파일 저장을 하면 대략 원본 img 파일의 3 배의 용량으로 저장된다.
img 파일로 출력이 되면 다시 파일 용량이 줄어드는데 원본의 약 1/2 크기가 된다.
7. 60CS 등 영문판 내장메모리 타입의 경우
SendMap 으로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물론 메모리 용량만큼만 올라 갑니다.
질문 : Sendmap 으로 60CSx 등 외장메모리 타입에 업로드시 기존 지도가 지워지는가?
답변 : 어떤 타입이든 지도 파일 gmapsupp.img 가 새로 업로드 한 것으로 교체된다.
단 Base Map 은 무관하다.
질문 : 파일명이 다른 여러 img 파일을 SD 카드에 SendMap upload 가 아닌 복사의 경우
문제는 없는가?
답변 : SD 카드 용량만큼 올릴 수 있다. 단 지도인식은 gmapsupp.img 파일 1 개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다른 파일명의 img 파일은 인식이 불가능 하고 필요시 파일 이름을 고쳐야 한다.
질문 : 위에 변환 작업시 파일을 여러개로 나누는 문제와, GPS 에서 1 개의 파일만 인식한다면
예를 들어 전국을, 혹은 세계지도등 10 개의 img 파일이 있다면 복사는 간단 하지만 매번
해당파일을 찾고 이름을 고쳐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 GPS 자체에서는 선택 및 수정이
불가능 하지 않은가. 해결책은 없는가?
답변 : 궁극적인 질문이다. 외장메모리가 되면서 한 방에 해결 되었다.
여러개의 img 파일은 파일 복사가 아닌 SendMap 으로 GPS 에 전부 업로드 한다.
Mapsource 에서 여러개의 도엽을 선택하여 올리는 것과 같다.
GPS 의 지도화면에서 Setup map - Information 을 보면 업로드된 (인식하고 있는)
지도목록이 나온다. 내용을 보면 지울 수 없는 Base Map 과 내가 업로드한 종류별 지도가
보이고 Loading 선택/중지가 가능하다.
GPS 를 동기화 하여 파일을 보면 역시 gmapsupp.img 1 개의 파일로 되어 있다.
이것을 컴퓨터로 복사해서 내리면 1 개의 완성된 img 파일로 존재하게 된다.
질문 : 전국 지형도 같은 큰 파일의 변환에서의 추가적인 활용 Tip 은 없는가?
답변 : 기다리던 질문이다. 누구나 전국지도, 가능하다면 세계 상세도라도 내장하고 싶은 욕심이
있다. 변환과정에서 용량이 크므로 나누어서 변환후 여러파일을 업로드 하고 다시 거꾸로
복사를 해서 1 개의 파일로 보관 및 복사, 편집이 가능하다.
그런데 지도용량에 따른 GPS 운용속도에 대해서 아직 Test 를 못했는데 외장카드가
1 GB 라고 해서 무조건 큰 용량의 지도를 올려서 사용하는 것은 속도저하가 예상된다.
기기의 소프트웨어 구동편의성의 한계를 설정 했을텐데 (원활한 Map Loading time)
128 MB 등 설정이 있을 수 있다. 50 MB 가 넘는 것은 상당한 량의 지도 데이터 이다.
여기에서의 한가지 Tip 은, 광범위한 지역의 지도를 10 개의 img 파일로 만들었다고 하자.
이것을 SendMap 으로 GPS 에 업로드 하면 gmapsupp.img 란 1 개 파일로 저장이 되나
지도속성에는 위에 얘기 했다시피 10 개의 지도파일이 보이게 된다.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 싶은 것만 Loading Check 를 하면 불필요한 지도로딩을 막을 수 있다.
그런데 이 파일을 GPS 동기화 하여 컴퓨터에 복사를 하고 이름을 바꾸어 통합파일로 저장 후,
(다운할 때 모두 gmapsupp.img 이므로 파일명을 바꾸지 않으면 혼란이 온다)
파일 복사를 통해 GPS 에 업로드를 하면 문제가 없는데 SendMap 등으로 1 개로 만들어진
통합파일을 업로드 하는 경우 파일내의 모든 지도자료가 하나로 통합 Loading 이 되고
GPS 지도화면에서 각 파일별로 분류되지 않는다. 즉 지도를 나누어 선택 할 수 없다.
** 프로그램 전송과 파일 복사가 틀린 것이 전체 내용이 같더라도 img 파일 10 개를 전송하는
경우 10 개의 속성이 표시되고 1 개 통합파일로 전송하는 경우 1 개의 img 파일이므로
1 개의 속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파일 복사의 경우 속성의 변화는 없습니다.
그래서 만약에 지도파일이 무척 크고 광범위한 지역의 지도가 필요하다면 상기 통합 파일
1 개 복사본을 저장해 두지만 그것을 SendMap 등으로 전송하는 경우 주의를 해야한다.
원본 데이터인 10 개 img 파일들도 별도로 저장을 해 두고 필요에 따라 선택한 파일들을
묶어 지역별 혹은 용도별로 분류하여 활용 하기를 권장한다.
어짜피 GPS 의 카드는 지도와 트랙로그 자료를 넣는 것이니 메모리 욕심에 따라 무조건
대용량 Micro SD카드를 살 것이 아니라 256 MB 등 2~3 개의 카드를 활용하는 것도 좋다.
만약 대용량 카드를 구입 한다면 비상시 이동디스크로 쓸 수 있고 활용도를 넓히기 위해
SD 카드용 리더기를 구입하여 Micro SD Adapter 를 이용하여 활용하면 더욱 좋다.
(인터넷에서 소형 리더기 4,000~5000 원이면 삽니다)
img 파일을 여러개로 묶어 올리는 경우 잇점은 같은 지역, 같은 축척에서 지도의 형태를 골라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때에는 필요로 하는 지도가 복수로 업로드 되어 있어야 한다.
다른 축척의 지도자료라면, (지형도 같이 특정 Level 범위만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외부자료실
지리산 지형도와 point 는 120 m 축척 이하에선 등고선이 보이고, 그 것을 초과하면 한국상세도
등 같은 지역의 업로드된 지도가 보이게 된다.
같은 지역에서 축척에 따라 다른 지도자료가 자동 선택되는 것과 형태가 다른 지도를 골라서
Loading 하는 것은 서로 다른 의미이다.
해외여행을 위한 지도를 한국지도와 합치거나 거기에 지형도를 더하거나 등등 무조건 단 1 개의 파일
로 만들어 관리하는 것 보다는 가장 합리적인 용도별로 파일 분류를 해서 쓰는 것이 좋다고 생각 합니다.
필요시 언제나 업로드 할 수 있고 특히 1 개로 묶은 img (종합)파일들은 그냥 복사해서 붙여 넣으면 됩니다.
글의 오류가 있으면 수정을 위한 꼬리말 부탁 합니다.
첫댓글 매가님의 해박한 전반적인 GPS 대한 글 잘 읽었습니다. 여기서 보면 내부 메모리에 루트블 맵을 집어 넣으셨다는데, 방법 좀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 글중의 cGPSmapper 사이트에서 왼쪽 아래 Link 중, Free map at Mapcenter 를 클릭하고 지도를 찾으시길 바랍니다. www.malsingmaps.com 과 http://gpsmaps.jwpixs.com 에선 Routable 말레이-싱가폴 가민 img 를 제공합니다. 2. 제가 Routable map 을 만들은 것은 아니구요. 이미 만들어진 말레이-싱가폴 맵을 넣었습니다. 한글판에 한글판 지도를 올리듯이. 가민 img map 변환은 cGPSmapper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Routable 까지 적용하려면 추가적인 프로그램과 좀 어려운 작업이 동반된다고 합니다. 영문판 한국상세도가 없으니 네비게이션 없이 전국지도를 변환 올려서 보고 있습니다
아..^^ 싱가폴과 말레이시아는 상당히 잘해 놓았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수신기에 있는 파일을 외부 메모리로 인식할려면, 즉 USB메모리처럼 인식시킬려면 SETUP메뉴의 인터페이스를 usbmass storage로 선택하셔야 됩니다. 지극히 당연하지만, 초보인 저는 한동안 조금 어리둥절했습니다
에고..저두 왜 안되나 해가지구,,,한참 만지작 거렸습니다...에구 감사..
매가님 덕분에 지도 관리를 더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을 알았습니다.^^
아..그리고 매가님께 감사의 말씀을 꼭드리고 싶군요.. 고민거리를 일거에 확 씻어주셨습니다.
매가님 말씀대로 싱크시켜서 지도를 컴에 옮기고, 다시 수신기로 복사하니까 지도를 인식하지 못하네요. 맵페이지에서 메뉴를 누르고,맵인포메이션으로 들어가면, 올린 지도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어떻해야죠? 다시 imgtogps로 일일이 올리면 인식이 됩니다.
상기 기술하신 매가님의 자세한 설명 명료하여 좋습니다.전 ex-500마젤란 사용자입니다.마젤란 같은 경우 상기 기술하신 변환 내용 같으며 별도의 mmo라는 프로그램에서 재변환하는 어려움은 있지만 sd카드에 저장시 폴더형식이라 사용이 용이함,현재는 산악용은 발해에서 topo전국 지형도를 지원하구 있구요..전 가고자 하는 산지형도만 별도로 조그맣게 만들어 사용하죠.적응시간이 빨라서 좋더군요.뵙진 못했지만 좋은 Tip많이 올려주셔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감사~~~
지도 업로드 테스트시 원본 글과 다른 약간의 오류가 발견되어 7/20 글의 일부를 수정했습니다.
저도 끝까지 잘 따라했는데 60CSX에 GMAPSUPP.IMG로 복사하고 나서 GPS로 가면 지도 인식안됌. MAPSOURCE에서도 지도가 없다고 나오네요. 어디가 잘못된 것일까요?
탐색기창에서 SD카드의 지도를 어떤파일로 인식하나 보십시오. XP가 아닌경우 MapEdit-img 파일이 아니고 예를들면 AlSee-img 파일등으로 속성이 표시되는 수가 있습니다. 파일을 원클릭-우측버튼 눌러 연결프로그램을 선택-MapEdit 를 선택하고 "이파일을 열때 항상 이프로그램을 사용" 에 체크합니다. 파일 아이콘이 MapEdit 로 바뀌고 속성에 img 파일로 표시됩니다. 이때 파일명에 확장자 img 없이 gmapsupp 만으로 수정합니다. 변환파일을 프로그램으로 올리실 때는 Sendmap 를 쓰십시오. 아울러 파일변환시 mp 에서 지도안내속성을 알수있는 영문으로 수정해야 GPS에서 지도 선택시 구분 가능합니다.
드디어 변환 성공 GPS에 지도올라가고 작동됩니다. 마치 인공위성 쏴 올려 성겅한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그동안 계속 공부를 해봤는데 무슨 소린지 감이 안왔었는데 매가님의 글을 읽고 따라해보니 너무 쉽게 알 수 있네요. 2-3군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말입니다. 너무 감사해요.
노수학님 성공하셨다니 다행입니다. 정말 처음 지도를 올리고 작동시켰을때의 희열이란.. ^^
distagon 님! 이번 여행에 60csx에 지도 넣고 여행했는데 잘 돼네요. 이제 쬐끔씩 눈이 뜨이는 것 같네요. 정말 잘쓰고 있습니다. 감사드려요.
파일 하나씩 변환은 문제가 없지만 지도 속성에서 보이는 Level (지도 Zoom Level) 이 서로 다른 파일들을 묶어서 실행할때 Level 의 설정이 지도파일별 다를 경우 중복이 발생하여 img 파일 출력에 에러가 납니다. Level 에 대해서는 이 글 위에 있는 아다곤님의 글을 참조 하시고, Level 의 중복을 없애고 순차적으로 조정해도 기존 지도파일을 제작할 때 설정한 Level 과 Zoom range 의 매칭이 서로 달라 특정파일의 등고선이 안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파일이 여러개일 경우 반드시 지도속성-Levels 확인 및 Header 의 Name 에 파일번호등 인식이 쉬운 문자를 삽입하면 파일 구분이 용이 합니다. Range 가 다른 파일은 각각변환을...
Layer (Levels) 설정에 대해 고민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원본 Layer 형식이 다르더라도 일관되게 고쳐 편집하는 것이 오히려 편할 수 있습니다. 여러 지도를 불러서 볼 경우에 축척에 따라 보이고 안보이면 혼란스럽죠. GPS 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Level 에 따른 Zoom 설정은 GPS 의 Map detail 의 Normal 형식에 맞게 설정 되는 것이고 이것과 상관 없이 필요에 따라 GPS 에서 Detail-Most, More 를 설정하면 앞 단계의 상세 Level 지도를 볼 수 있습니다. 즉 120m 라인이 500m 축척에서 보인다 이거죠
참고로 sendmap20 에서는 128메가는 안되구 동기화 하셔서 붙여 넣으시는게 해결책일듯 합니다. 사용해보니까 ^^
맵에디터에서 가민GPS에 사용하기위해 Export Garmim을 실행하여 만들어진 화일을 맵에디터로 읽어보니 이상한 글씨가 가득하네요...질문란에 질문한 내용이지만 cGPSmappper를 트라이얼 버젼을 써서 그런것 같은 데...이런경험 어찌 극복해야 할까요...매가님 ..몽생이님..지기님..etc. 덕에 하나씩 알아 가는데 이면을 빌어 감사드립니다
저도 제 60csx에 지도를 올리고 싶은데... 한국도로지도를 어디서 구하죠...
그동안 몽생이 님의 도움으로 드리어 오늘 인공위성 올렸습니다. 몽생이님의 자세한 설명과 도움이 없었으면 불가능했던 일이었습니다. 이곳 카페에 계신 모든 분들께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매가님! 이글은 복사를 하지 못하게 해놨군요~~~전 시력에 장애가 있어 복사해서 크게 확대해서 보고픈데...가능한 방법은 없을런지?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