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의 신뢰를 받는 김정은 레짐 (53)
by oney4 2014-07-18 4:52 pm
nk데일리에 7월 북한 곡물가격이 나왔어. 놀랍게도 쌀값이 6월과 비교해 오히려 떨어져 평양과 혜산이 각각 4250원 4800원이래. 기록적인 가뭄으로 흉년이 예상되면 사재기로 인해 올라가야 정상인데 곡물가가 안정적이야. 김일성 김정일 시대에는 있는수 없던 일이 벌어지는 것이지. 박봉주는 진짜 신의 경지에 오른 경제관료일까? 김재익이 환생해도 북한여건에서 박봉주만큼 해낼수 있을지 의문일 정도야.
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num=104171&cataId=nk04504 (쌀값안정)
이 와중에 오히려 돼지고기 가격이 폭등하고 있대. 경제가 개선되면서 탄수화물만이 아니라 단백질을 찾는 주민들이 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인 것이지. 달러의 시장환율은 평양의 경우 200원이 떨어져 7100원까지 떨어졌어. 외환이 안정적인 추세에 진입해서 더이상 달러 숨겨둔다고 돈버는 시대가 아닌거 같아.
한국언론의 소위 소식통에 따르면 “절망적”인 북한 경제가 까놓고 보면 안정되어 있으니 신기하지 않아? 한국언론의 소식통 따위는 프로파간다가 많이 껴서 참고사항으로만 알아둘 필요가 있어. 북한 경제사정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객관적인 자료는 곡물가동향과 환율밖에 없는 것이지.
흉년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곡물가가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은 박봉주 내각과 김정은이 시장의 신뢰를 받기 때문인거 같아. 흉년이 오더래도 무슨수를 써서라도 물가를 안정시킬 것이라는 믿음이 있는 것이지. 개혁으로 증산하든 빌리든 협박하든 공갈치든 부족분을 메꿀꺼라 생각하는 거야.
요즘 (탈북자) 주(성하)기자가 한계를 보이고 있어. 북한경제의 안정에도 불구하고 기사의 대부분은 레짐이 불안하다느니 붕괴될꺼라느니 하는 프로파간다 기사가 대부분이야. 과거 20년을 두고 보면 경제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말이지. 설마 주기자가 몰라서 그랬겠어? 이가 갈리는 김씨왕조 3대째를 인정하기 싫은 것이겠지. 그래도 기자라면 사실을 바탕으로 분석기사를 써야 하는데 약간 실망이야.
안타깝지만 김정은은 개발독재자로써의 면모를 보이고 있고 김정은레짐은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많아. 박봉주와 김정은이 올해의 흉년을 어떻게 극복하고 물가안정을 유지할지 기대될 정도야. 애송이가 집권한지 얼마되지 않아 시장의 신뢰를 받는다니 정말 놀랠 노자지. 북한에서는 곡물가격이 민심이야. 만약 김정은이 곡물가를 장기적으로 안정화시킨다면 시리아에서 아사드가 그랬듯이 민심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게 될 가능성이 있어. 시장의 신뢰를 받는 정권은 그렇게 쉽게 무너지지 않아. 한국언론은 북한을 객관적으로 볼 필요가 있어. 붕괴 같은 소리나 하지 말고 말이지
http://blog.donga.com/nambukstory/archives/86441
----------------
북한 환율, 쌀값 평가 (23)
by tailed 2014-07-19 12:33 am
지금 현 시점에서도 배급표를 들고 가면
북한 원화 46 원으로 쌀 1 kg 을 살 수 있습니다. ( 시장 가격의 1/100 )
http://blog.donga.com/nambukstory/archives/86457
첫댓글 쌀20키로 50,000원 1킬로에 2,500원
2,500나누기 46원은
1원은 54원
시장가격은 100배-46원*100 --- 4,600원
쌀 20키로는 4,600 * 20 *54원은 ? ?
4,968,000원 계산을 잘못?
완전 엉터리 계산이죠.
남한의 시장가격과 북한의 시장가격 및 국정가격을
마구 뒤섞어 계산한 것이죠.
계산의 일관성이 없습니다.
사실 중요한 것은.....
만일 "악의적"인 북한주민이 국정가격인 46원으로 쌀을 사서
장마당 시장에 4800원으로 내다 팔면...
막대한 차익이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북한당국은 그런 경우를 도대체 어떤 수단으로 방지하고 있는 것인지
오히려 그 점이 궁금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아무리힘들어도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1800년대 동아시아가 서세에 농락당한 원인을 잘 집어주셨네요.
"그래서 제국주의 침략에는 군대와 더불어 "종교" 그리고 '암시장'이 같이 갑니다."
1800년대 해적함대, 천주교, 아편시장의 움직임을 추적하면, 근대사가 고스랂히 드러나죠.
문제는 제국주의가 침탈하기 이전, 동아시아의 정치와 경제 시스템이 모조리 삭제당하고,
동양의 정치경제도 서양식(제국주의적인) 시스템으로 운영되었었던 것처럼 왜곡된 것이죠.
현재의 험악한 국제정세도,
경제 시스템을 교체하려는 세력간에 패권다툼으로 이해하는게 보다 정확할것 같습니다.
서양식(제국주의) 경제시스템과 동양식(제세이화) 경제시스템의,..
@역사나무 좀더 자세한 설명을 청문할 수 있을런지 궁금합니다.
그들의 꿈은 사라졌다
망했으면 진작망했지...
오히려 미국이 망하는 지경이다
왕초가 망하면 똘마니 들이 어떻게 변할까?
왕서방에 머리숙이고 개처럼 살 준비가 되었나?
아니면 자주국가 찾을 기회라고 반성할 준비가 되었나?
후자는 아닌듯...
개같은 무리들이 개수준을 벗어나기 힘들다
아휴 배급표 끊어진 지가 언젠데 ㅠㅠ
북한에서 한달 에 두 번 배급표 나눠주던 시절은 한참 전에 끝났구요.
김정은이 공식 선포했어요.
배급제는 폐지한다!
단, 공무원들은 예외로 한다!(의사, 교원, 보위부원, 보안부원 등)
옛날 이야기 자꾸 하지 마세효~~
주성하 기자 한 마디를 그냥 100%로 믿어버리시네 ㅠㅠ
이러니까 아마추어 소리 듣지 ㅠ
아마추어 맞습니다
저것으로 돈 빌어먹는 사람들이 프로죠
그런데 프로가 하는전망이나 얘기가 안 먹혀드네요
숙청당한 사람이 살아나고..
300만 인구가 줄었다는데 뭐 먹고
자식들을 낳아대는지 인구가 오히려
늘었다는 이해불가의 통계
그런나라가 왜 없어지지 않는지 설명좀 들었으면 좋겠네요
프로들에게
@황좌 황좌님께 한 말이 아닌데요???
@황좌 (황좌님 글 보니까 한 가지 생각나서 올려봅니다.)
북한에서 숙청당했다는 사람이 다시 살아나는 이유입니다.
우리가 쓰는 '숙청'이라는 말에는 다음과 같은 경우의 수가 있습니다.
1. 죄를 지어 감옥 가는 것. 이것도 숙청이구요. 물론 죄의 경중에 따라 공개처형 당하는 경우도 있고 노동단련대 가서 몇 달 있다가 나오는 경우도 있고, 우리의 교도소와 비슷한 교화소에 가서 몇 년살다가 나오는 경우도 있겠지요. → 이 경우 '형기'가 끝나면 다시 살아납니다.ㅎ
2. '혁명화' 대상이 된 경우 : 이 경우는 정치적으로나 사상적으로 문제가 되어, 일정기간 지방으로 내려 보내는 것(추방)을 말합니다. 주로 농장이나 탄광으로 보내는데,
@이음새 보통 2~3년이면 복귀합니다. 물론 다양한 경우의 수가 있어요. 원직으로 완전 복귀하는 경우, 원래 살던 곳으로 복귀는 했으나 직위는 주지 않는 경우, 직위 없이 백의종군을 시키는 경우, 물론 죽을 때까지 복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이 경우, 혁명화 기간이 끝나고 복귀하면 살아나는 겁니다. ㅎ
3. 역시 정치사상적으로 문제가 되어 '관리소(남한에서 말하는 정치범수용소)에 가는 경우도 숙청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에도 종신형이 있고 3년형, 10년형도 있어요. 종신형이 아닌 경우 형기 끝나고 관리소에서 출소하면 다시 살아나는 거지요. ㅎ
이렇게 북한에는 우리 상식으로 '숙청'되었다가 다시 살아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ㅎ
@황좌 300만 인구가 아사했다는 말은
대북한 악담을 좋아하는 사람들(정치세력 포함)이 퍼뜨리는 유언비어에 불과합니다.
보통 300만이 아니라 33만여 명이라고 하면
북한의 비극적 사태를 축소하는 것처럼 대드는 사람이 있는데.
4~5년 동안 33만여 명이 아사한 것도
상상하기 어려운 엄청난 비극이지요.
@황좌 황좌님,
어느 프로가 그런 가당찮은 말을 퍼뜨린단 말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