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홀수인연
우리나라는 홀수와의 인연을 끊을래야 끊을 수 없는우리 민족 정신문화의 깊은 뿌리입니다.
거슬러 올라가 보면 까마득한
시절부터 조선의 혼 속에 묻혀 내려온 민족문화입니다.
자연스런 일상생활의 넉넉한 관습 에서 얻어진 지혜의 소산으로 딱 맞아 떨어지는 짝수에 비해서 홀수
는 넉넉하고 여유롭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3을 선호하고 있 지만 1, 3, 5, 7, 9 모두가 우리생활
속 깊이 맥을 내리고 있습니다.
우선 국경일이라든가 명절이 모두
홀숫날입니다. 뿐만아니라 때맞춰
서 돌아오는 절기가 거의 홀수날에
들어있습니다.
설날과 추석이 그렇고 정월 대보름
삼짇날 단오 칠석 백중이 그렇습니 다.
9월 9일은 구일이라 하여 남자들은
시를 짓고 여자들은 국화전을 부쳤 습니다.
천고마비의 살찌는 계절을 즐기던
조상님들의 흐뭇한 얼굴이 떠오릅 니다.
생활 곳곳에 뿌리 내린 3의 의미는
더욱 다양합니다.
사람이 죽으면 3일장 아니면 5일장 을 치르는 것이 보통이지 4일장이 나 6일장은 없습니다.
역시 삼우제(三虞祭)가 있고 49제 라는 추모의 날이 있습니다.
망자 앞에서는 홀숫날을 택하여 최
대의 예우를 지키는 것이 뿌리 깊은 전통입니다.
심지어 제물을 올려도 홀수로 올리
지 짝수로는 차리지 않습니다.
돌탑을 쌓아도 3 5 7 9 홀수층으로
올렸을 때 시각적으로 안정감이 들 면서 보는 마음을 편케 합니다.
애기를 낳고 금줄을 쳐도세이레(三 七 日)동안 출입을 삼갔습니다.
신성한 생명을 지키면서 축복하자 는 삼신할미의 준엄한 고지(告知) 입니다.
봉투에 돈을 넣어도 우리 서민들은
두 자리 수가 아닌 이상 3만 원 아 니면 5만 원을 넣었지 4만원이라 든가 6만원짜리 기부 촌지는 보기 어렵습니다.
옛날에 상납금을 강요하는 교장이
교감에게 넌지시 말씀하셨다고 합 니다.
‘짝수로 인사하는 법이 어디 있느냐
여지껏 그런 것도 모르느냐’ 호통을
치는 바람에 백만원을 더 얹어서 바
쳤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렇듯 3이라는 숫자가 우리들 생 활 중심에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춥고 긴긴 겨울을 삼동(三冬)이라 했고 무더운 여름을 건너가려면 삼
복(三伏)을 견디어야 합니다.
무리를 일컬어 삼삼오오(三三五五 ) 라 했고
색깔을 이야기할 때도 삼원색이 근
원입니다.
상고(上古)시대에 우리나라 땅을 마련해 준 삼신(三神)이 있다 하여
생명 신으로 섬깁니다.
삼재(三災)가 있는가 하면, 또 삼재 (三才)가 있습니다.
현대에는 시위문화에서 삼보일배 (三步一拜)라는 것이 새로 생겼습 니다. 간절하고 지극한 정성의 극치 입니다.
가까운 이웃을 일컬어 삼이웃이라 는 좋은 표현이 있는가 하면
잘하면 술이 석 잔 못 하면 뺨이 석 대입니다.
힘겨루기 판을 벌여도 5판 3승제를 하며 만세를 불러도 삼창(三唱) 까 지 해야 속이 후련했습니다.
짝수는 죽은 자의 숫자란 말이 있고
홀수는 산 사람의 숫자란 말도 있습 니다.그래서 제사상에는 과일을 홀
수로 올리고 절을 두 번 하지만 산 사람에겐 절을 한 번만 하면 됩니다 .
삼박자가 맞아떨어져야 목적한 것 이 이루어진다는 믿음은 생활 속 곳곳에 숨어있습니다.
그만큼 3이라는 숫자는 우리 생활 의 디딤돌이요 구름판으로 안정된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코로나19도 홀수입니다. 기필코
2023년 또는2025년 홀수 해에는 반드시 극복되리라 굳게 믿고 긴장 을 늦추지 말아야 할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