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에서 "경건"으로 번역된 말이 67개절이나 되는 데, 희한한 것은 이 말이 구약에서보다 신약에서 더 많이 쓰여졌다는 것입니다. 즉, 구약에서는 19개절인데 비하여, 신약에서는48개절이나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두려움의 대상으로 본 구약 시대에서 보다 사랑의 대상으로 보는 신약시대에서 이 말이 더 많이 쓰이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경건"이란?
"경건"이란 뜻은 히브리어(하시드)로는 "친절과 다정함"을 말하며, 헬라어(유세베이아)로는 "존경,헌신"을 말하며, 라틴어(피에타스)로는 "존경과 의무"를 뜻한다고 하는데, 기본적인 뜻은 <아버지에 대한 아들의 태도>와 같은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경건"의 기본적 의미는 <함부로 대하지 않고, 존경과 사랑의 마음을 가지고 대하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신약에서는 구약보다 더 이러한 태도가 강조되는 것을 이해할 만 합니다.
신약은 <사랑>을 강조하고 있으니까 말입니다.
아래 구절들은 모두 신약성경에서 언급되고 있는 "경건"에 대한 구절들입니다.
1. 경건의 가치
" 육체의 연단은 약간의 유익이 있으나 경건은 범사에 유익하니 금생과 내생에 약속이 있느니라."(딤전4:8)
맨손체조나 달리기나 아령이나 역기나 철봉등을 통해서 육체를 연단하면 많은 유익이 있을 것입니다. 우선 병에 잘 걸리지 않고, 또 힘든 일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남과 싸울 때에도 힘과 민첩함으로 상대를 제압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런 유익들은 오직 금생에서만 누릴 수 있을 뿐입니다. 죽어서도 얻을 수 있는 유익은 없습니다.
그러나 경건을 연단한다면 <금생과 내생>에 약속이 되어 있다고 분명히 말씀하십니다.
" 우리를 양육하시되 경건하지 않은 것과 이 세상 정욕을 다 버리고 신중함과 의로움과 경건함으로 이 세상에 살고 복스러운 소망과 우리의 크신 하나님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이 나타나심을 기다리게 하셨으니."(딛2:12-13)
하나님께서 우리를 양육하시는 데,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버리게 하시는 것이고, 하나는 얻게 하시는 것입니다. 무엇을 버리고, 무엇을 얻게 하시는 것일까요?
버리는 것 중에는 <경건치 않은 것>이 들어있고, 취하게 하시는 것 중에도 역시 <경건>이 들어 있다는 것입니다.
한 마디로 말해서 하나님이 우리를 양육하시는 것은 불경건을 없애 버리시고, 경건을 소유하도록 하시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볼 때, 어떤 신자에게서 그의 성장 수치를 보려면 경건과 불경건을 보아도 될 것 같습니다.
2. 경건의 요소들
도대체 <경건한 사람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요?
" 누구든지 스스로 경건하다 생각하며 자기 혀를 재갈 물리지 아니하고 자기 마음을 속이면 이 사람의 경건은 헛것이라."(약1:26)
"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정결하고 더러움이 없는 경건은 곧 고아와 과부를 그 환난중에 돌보고 또 자기를 지켜 세속에 물들지 아니하는 그것이니라."(약1:27)
이 상의 말씀으로 볼 때, 참으로 경건한 자는 <혀를 재갈 물리는 사람> <고아와 과부를 환난 중에서 돌아보는 사람> <세속에 물들지 않는 사람>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 모두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버지를 참으로 존경하는 사람치고, 아버지를 닮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 하나님을 진정 존경하는 성도가 하나님을 닮지 않을 수 있을까요?
3. 경건의 위치
경건은 성도가 갖추어야할 8가지 덕목 가운데 포함됩니다.
"그러므로 너희가 더욱 힘써 너희 믿음에 덕을, 덕에 지식을, 지식에 절제를, 절제에 인내를, 인내에 경건을, 경건에 형제 우애를, 형제 우애에 사랑을 더하라."(벧후1:5-7)
이와같이 천국에 들어가기에 넉넉한 성도의 8가지 덕목들 중에 여섯번째로 경건이 포함되는 것입니다.
4.경건에 이르는 방법
경건은 어떻게 이룰 수 있을까요?
" 그러므로 우리가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았은즉 은혜를 받자. 이로 말미암아 경건함과 두려움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섬길지니."(히12:28)
이 구절에서는 <은혜를 받아야> 경건에 이를 수 있다고 말씀하십니다.
"그의 신기한 능력으로 생명과 경건에 속한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셨으니 이는 자기의 영광과 덕으로써 우리를 부르신 이를 앎으로 말미암음이라."(벧후1:3)
이 구절에서는 경건에 이르기 위해서는 <우리를 부르신 이>, 곧 하나님을 알아야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이로 보건대, 경건에 이르기 위해서는 은혜를 받아야 되고, 또 하나님을 알아가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의 모든 신앙생활의 정도가 그렇듯이 경건도 은혜와 말씀은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5. 경건에도 연단(연습)이 필요하다
"망령되고 허탄한 신화를 버리고 경건에 이르도록 네 자신을 연단하라."(딤전4:7)
바울은 디모데에게 경건에 이르는 것도 연습(연단)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의 의지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연습이 어떤 사람들 눈에는 외식이나 율법주의처럼 보일 수도 있겠으나, 경건에 이르기 위한 필수 코스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몇일 전 이른 아침에 안경점에 갔었는데, 상사인듯한 사람이 직원들을 일렬로 세워놓고, 허리 숙이는 것으로 부터 말하는 태도와 얼굴 표정까지 훈련시키는 것을 보았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점포에서 한 시간 정도 있다가 나왔는데, 얼마나 고객들에게 친절한지요. 고객들에게 친절을 베풀기 위해서 조차 이렇게 훈련을 해야 하는데, 천국가는데에는 훈련 없이 거저 된다고 생각할 수 있을까요?
6. 경건치 못한 자들이 받는 형벌
경건을 무시해서는 안될 이유가 있습니다. 다음 구절들에서 말해 줍니다.
"이제 하늘과 땅은 그 동일한 말씀으로 불사르기 위하여 보호하신 바 되어 경건하지 아니한 사람들의 심판과 멸망의 날까지 보존하여 두신 것이니라."(벧후3:7)
경건하지 아니한 자들을 심판하여 멸망시키신다는 말씀입니다.
" 하나님의 진노가 불의로 진리를 막는 사람들의 모든 경건하지 않음과 불의에 대하여 하늘로부터 나타나나니,"(롬1:18)
하나님의 진노를 격별시키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합니까? 바로 <경건하지 않은 것>입니다.
그들은 하늘로 부터, 즉, 천벌을 받을 사람들이라고 말하지 않습니까?
" 또 의인이 겨우 구원을 받으면 경건하지 아니한 자와 죄인은 어디에 서리요."(벧전4:18)
의인도 겨우 구원을 받을 정도인데, 경건하지 못한 자들이 어떻게 감히 구원을 바라겠느냐는 말씀입니다.
" 이는 뭇 사람을 심판하사 모든 경건하지 않은 자가 경건하지 않게 행한 모든 경건하지 않은 일과 또 경건하지 않은 죄인들이 주를 거슬러 한 모든 완악한 말로 말미암아 그들을 정죄하려 하심이라 하였느니라."(유1:15)
보십시요, <경건하지 않은 자>, <경건하지 않게 행한 일>, <경건하지 않게 한 말>들의 종말을 말입니다.
성도는 구원 받았으니, 경건치 않아도 된다고 감히 말할 수 있겠습니까?
<결 론>
이와같이 경건이란 신앙생활에서 보석과 같은 덕목입니다.
아무리 성경을 많이 알고, 영적 진리를 깨달았다고 떠벌려도, 경건이 없으면 말짱 "꽝!"입니다. 정신차리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번 말하거니와 하나님을 존경하는 마음도 없고, 형제를 무시하고 깔보며, 입을 함부로 놀려 남을 능멸하고 모독하는 이런 불경건한 행위들은 분명코 심판을 받아 불행한 종말을 맞이할 것이라는 것을 말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성경에서 약속하고 있는 경고이기 때문입니다.
출처//요르단강 카페 (https://cafe.daum.net/jordan2/IaNU/826) 글쓴이/ 갈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