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 유럽 경제 전망 및 우크라이나 사태의 영향력 분석 □ 중부 유럽 경제 동향 및 전망 개관 ○ 점진적인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는 유로존 경제와 더불어 중부 유럽 경제권의 성장세도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2013년 4분기 모든 중부 유럽 국가들에서 3분기 보다 양호한 경제 성장률이 기록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음. 다만, 현재까지 중부 유럽 경제권의 전반적인 회복세는 완만한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음. ○ 중부 유럽 경제권의 비교적 긍정적인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며, 각국 중앙은행들의 시장우호적인 통화 정책과 주요 수출 시장인 유로존의 경제 회복세 강화가 중부 유럽 각국의 경제 회복세를 뒷받침하는 주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함. ○ 반면, 터키 경제의 변동성 확대와 우크라이나 사태가 촉발하고 있는 지정학적 리스크는 중부 유럽 경제권의 회복세를 압박하는 요인으로 평가함. 하지만, 이들 대외 요인들이 중부 유럽 경제권 전반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 것으로 판단함. □ 중부 유럽 5개국 경제 동향 및 향후 전망 ○ 체코 경제 동향 업데이트 및 2014-2015년 전망 ᅳ 2013년 4분기 경제 성장률이 1.2%로 최종 집계되면서, 장기간 경기 하강 압력에 노출되었던 체코 경제의 회복세가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음.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수출 산업의 실적 개선이 최근 나타나고 있는 체코 경제의 회복세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함. ᅳ 경제 회복세 진전으로 인한 전반적인 경제 활동 증가에도 불구하고, 체코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EU 회원국들 중 최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음. 이는 체코 중앙은행이 통화 및 외환 정책을 경기 부양에 무게를 둔 시장우호적인 기조로 유지하는 배경이 되고 있음. ᅳ 유로존 경제의 회복세 강화와 통화 약세에 따른 수출 증가가 체코 경제의 회복세를 견인하는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며, 예상보다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고용 시장 여건 역시 체코 경제 전반의 신뢰도 향상을 뒷받침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함. ᅳ 따라서, 2013년 -0.9%의 역성장세를 나타냈던 체코 경제가 2014년 1.5%의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한 후, 2015년에는 성장률이 2.5%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함. 체코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4-2015년에도 각각 1.0% 및 2.0%에 머물 것으로 예상함. 한편, 경제 회복세를 지원하기 위해 체코 중앙은행은 현재의 저금리 기조를 상당기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함. ○ 헝가리 경제 동향 업데이트 및 2014-2015년 전망 ᅳ 2013년 4분기 경제 성장률이 8년내 최고 수준인 2.7%를 기록하면서, 헝가리 경제의 회복 기대감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음. 헝가리 경제의 회복세는 수출, 설비투자, 산업생산, 공공지출 등 거의 모든 부문에서 고르게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그 동안 부진했던 가계의 소비 지출이 강한 성장세를 나타낸 점은 매우 긍정적인 현상으로 평가되고 있음. ᅳ 전반적인 경제 활동 증가에도 불구하고, 헝가리 경제 전반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둔화되고 있는 점도 헝가리 중앙은행의 저금리 정책을 가능케 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요인으로 평가함. 아울러, 지난 20개월 동안 이어져온 헝가리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경제 회복세 강화로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함. ᅳ 헝가리의 경제 성장률은 2013년 1.1%에서 2014년과 2015년 각각 2.0% 및 1.8%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4년 1.2%, 2015년 3.0%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통화 약세 기조와 물가 상승 압력 강화를 고려할 때, 헝가리 통화 당국이 2015년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함. ○ 폴란드 경제 동향 업데이트 및 2014-2015년 전망 ᅳ 2013년 4분기 2.7%의 성장률을 기록한 폴란드 경제의 회복세가 2014년 1분기에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음. 유로존 경제 회복세 강화에 따른 수출 증가와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는 가계 소비가 폴란드 경제의 회복세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함. 경기 전망 개선을 바탕으로 고용시장 여건과 설비투자 및 산업생산도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어, 향후 폴란드 경제의 회복 모멘텀이 강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음. ᅳ 그러나, 우크라이나 사태가 촉발하고 있는 지정학적 리스크는 폴란드 경제를 압박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으로 평가함. 다만, 우크라이나 위기가 러시아에 대한 서방 국가들의 전면적인 경제 제재 조치로 확대되지 않는 한, 폴란드 경제에 미치는 우크라이나 사태의 영향력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치게 될 것으로 판단함. ᅳ 2014년과 2015년 폴란드의 경제 성장률은 각각 2.8% 및 3.4%로 강화되는 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4년 1.5%, 2015년 2.1%의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함. 한편, 2015년 폴란드 중앙은행이 통화 약세와 인플레이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게 될 것으로 전망함 ○ 슬로바키아 경제 동향 업데이트 및 2014-2015년 전망 ᅳ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유럽 시장에 대한 자동차 수출 증가의 영향으로 위축되었던 슬로바키아 경제가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음. 대외 요인 개선 효과가 경제 신뢰도 개선과 산업 생산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가계의 소비 지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함. 기업의 설비 투자와 정부의 공공 지출도 예상과 달리 회복세를 나타내면서 경제 회복세를 뒷받침하게 될 것으로 예상함. ᅳ 2013년 0.9%에 머물렀던 슬로바키아의 경제 성장률이 2014년과 2015년 각각 2.0%로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3년 1.5%에서 2014년 1.0%로 하락한 뒤, 2015년에는 1.7%로 소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함. ○ 불가리아 경제 동향 업데이트 및 2014-2015년 전망 ᅳ 정치적 불확실성과 사회적 혼란이 경제 전반의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2013년 불가리아 경제는 매우 심한 변동성을 보여 주었음. 정치사회적 불안 요소는 결국 가계의 소비 지출과 기업의 설비 투자 의욕을 저하시킴으로써, 불가리아 경제를 압박하는 결과를 초래했음. ᅳ 그러나, 경기 하강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불가리아 정부가 공공 지출을 확대하면서, 2013년 하반기 이후 전반적인 경제 지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독일을 비롯한 유로존의 경기 회복은 불가리아의 수출 산업의 생산을 확대시키는 긍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음. ᅳ 대외 요인 개선 효과가 경기 전망 향상으로 이어지면서 가계 소비와 기업의 설비 투자를 진작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지만, 여전히 취약한 고용 시장 여건과 정치적 불안정은 당분간 불가리아 경제를 압박하는 요인으로 남게 될 것으로 판단함. ᅳ 불가리아의 경제 성장률은 2013년 0.9%에서 2014년 1.8%, 2015년 2.5% 내외로 강화될 것으로 전망함. 그러나, 2014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6%를 기록하면서 불가리아 경제의 디플레이션 리스크가 가중될 것으로 판단하며, 2015년에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5%에 머물 것으로 예상함. □ 우크라이나 사태가 중부 유럽 경제권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현재까지 중부 유럽 경제권에 미친 우크라이나 사태의 영향력은 일부 국가들의 통화 약세 및 채권 수익률 변화 등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드러났음. 그러나, 우크라이나 사태가 촉발하고 있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향후 더욱 확대될 경우, 중부 유럽 경제권에 가해지는 부정적인 영향력도 가중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함. ○ 하지만, 중부 유럽 경제권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차지하고 있는 교역 비중이 제한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우크라이나 사태가 러시아에 대한 서방 국가들의 전면적인 경제 제재 조치라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악화되지 않는 한, 중부 유럽 경제권에 미치는 파괴력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함. 다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수출 비중이 높은 폴란드 경제에 가해지는 충격은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들에 비해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함. ○ 반면, 우크라이나 위기가 악화되어 유럽에 대한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제한을 초래할 경우, 천연가스 공급 루트인 헝가리와 불가리 경제 및 중부 유럽 경제권 전반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예상보다 심각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함. □ 자료출처 및 원본바로가기 KBC Bank http://www.vfb.be/Vfb/Media/Default/images/EVCEapr2014E.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