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사찰 소개
북가주 베트남 사찰 자애 명상센터(2)
Compassion Meditation Center
불교청소년 그룹
글 제니 김 (취재 기자)
지난 호에 이어서 이번호에는 불교청소년 그룹 형성과정과 운영에 대한 내용을 요약합니다.
기 자 처음 방문하였을 때 ‘청소년관(Youth Quar- ter)’이 눈에 뜨이고, 청소년들이 마당에서 공차기하 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청소년관을 마련하 게된 계기가 있는지요?
틱투룩 스님 불사를 시작할 때부터, 청소년들을 양 성 해야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었습니다. 그래 서도서관옆에연달아짓는구조로설계를하여지 었습니다. 사찰에서 일을 시작할 때부터 항상 염두 에 두고 있는 것은 후세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젊은이들이 없으면, 나이든 세대는 사라지고 맙니 다. 베트남에 이런 비유가 있습니다. 대나무를 연상 하시면 됩니다. 죽순이 성장하여 대나무가 되듯이, 청소년은 죽순과 같습니다. 대나무는 언젠가 쓰임을 다한 후에 죽으므로 죽순이 대나무가 되도록 키우는 것입니다.
기 자 청소년을 위해서 어떤 프로그램이 있는지요?
틱투룩 스님 프로그램은 주중에는 학교 학습에 바쁜 아이들을 위해 일요일 오전 9시 반에서 오후 2시까지 운영합니다. 먼저 베트남어 반을 시작하고, 반 시간 합송(Chanting), 반 시간 청소년 활동을 하는데, 나이에 따라 반을 나누어 운영합니다.
6살부터 18살까지이며, 세 등급으로 나누어 기초반 ( 6-10살), 중급반 (11-15살), 상급반 (16-18살)으로 나눕니다. 비구니 스님들이 영적 지도교사로 반별로 따로 맡고 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 상급반을 위해서 두 스님을 베트남에서 모셔왔지요.
1993년에 첫번째 청소년부 모임을 열었는데, 몇 년후에 성장하여 공원에 모여서 원을 만들면 너무 커서, 두 단위로 나누게 되었습니다. 325 명 단원에 50명의 지도자(leader)가 탄생한 겁니다. 그래서 프레몬트(Fremont)에 또 하나의 청소년대를 더 결성하게 되었지요.
두 청소년대로 첫번째를 정심正心 (Right Heart), 두 번째는 정덕正德 (Right Virtue)으로 나눠지게 된 것이죠. 그래서 2004년에 불교 단체를 만들어 3번째 청소년대, 정화正和 (Right Harmony)를 이곳, 자애명상센터(CMC)에 창설하게 됩니다. 이유는 하나에서 둘로 나뉘었으니, 함께 잘 협조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세 번째 청소년대를 Right Harmony(정화)로 이름 지었습니다. 그 때 포초(Pho-Chau) 비구니 스님을 영적리더교사로 세웠습니다. 역사와 언어를 가르치는 일반선생들은 재가자들이 그룹리더를 봉사직으로 맡았습니다.
기 자 후세 양성을 위해 주춧돌을 놓으셨는데, 영적리더와 일반 선생들의 역할에 대해 설명을 부탁합니다.
틱투룩 스님 저의 나이 예순이 되면, 이 직책에서 물러날 생각이 있었기에 제자들이 직책을 맡게 하였습니다. 당시에는 지역수준이었지만 이제 전국적 수준의 불교 단체로 올라섰습니다. 그리고 제가 불교 단체의 상임고문으로 있습니다. 아마도 전세계에 불교사찰이 청소년그룹을 세 단체나 운영하는 곳은 아마도 저의 절밖에 없을 것입니다.
청소년을 가르치는 선생님은 두 종류로, 1. 영적지도교사(Spiritual adviser) 2. 일반자원봉사 교사( Regular volunteer teacher) 나누어서 지도하였습니다.
포초스님은 영적 지도교사로, 일반 재가자는 역사나 언어를 가르치며, 이 단체안에서 자체적으로 학생들을 지도할 그룹리더(반장)를 특별히 양성하고 교육했습니다.
포초 크리스틴 스님 (캠프 메타 주지-2023년 5/6월호 본지 소개), 저의 제자로 이곳 청소년팀의 영적상담 지도교사로 일했습니다. 처음시작은 여기가 아니고 최초로 1986년에 설립한 옛 사찰이었지요
기 자 코비드-19판데믹 기간동안에 청소년반에는 어떤 어려움이 있었는지요?
틱투룩 스님 판데믹 이전인 2021년 전까지 바로 옆 국민학교 교실 10개를 빌려 쓰고, 파킹장은 2003년에 99년간의 임대계약을 했었습니다. 주중에는 국민학교 교실로 이용이지만, 주말에는 학교수업이 없는지라, 사찰 주말학교인 불교청소년반은 수요가 있는 만큼 사용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 때까지 150여명의 학생들이 있었는데, 판데믹이후 60-70명으로 줄었습니다. 이유는 학교측에서 더 이상 학교 교실을 임대해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위생안전의 이유이지요.
기 자 코비드-19 판데믹 이후에 사회 여러분야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특히 인공지능기술(AI)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유튜브, 소셜미디어(SNS)의 영향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시대의 청소년과 부모들에게 어려운 시절을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는 조언이 있다며는 무엇이겠는지요?
틱투룩 스님 청소년과 부모에 대한 조언이라면, 오늘날 그 어느때 보다도 사람들이 지쳐 있습니다. 걱정을 많이하고, 생각을 많이 하고 항상 피곤합니다. 이럴 때 일수록, 마음챙김 수행을 하여 현재를 알아차리도록 해야 합니다. 항상 마음챙김 수행을 하십시오. 특히 부모와 자식, 청소년간에 갈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사람이 예순에 이르면, 인생의 한바퀴를 돌아 제자리로 옵니다. 그러니 절대로 그들을 비난하거나 무례하게 굴어서는 안됩니다. 이 원칙은 저의 제자에게도 똑같이 대우합니다.
젊은이들에게는, 특히 가정이 있는 젊은이들은 가족을 위해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들과 부모의 관계는 가족의 핵심으로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 이것은 단순하지만 매우 중요합니다. 가정은 사회의 구성원으로 중요합니다. 주중에는 일하고 가정을 경제적으로 뒷받침하며 집으로 돌아가면 자녀들과 시간을 보내고, 한달에 한 주말정도 사찰이나 교회에 참여하는 것도 좋습니다. 가정의 평화를 위해 매일 매일 여러분의 가족을 챙기는 것을 우선으로 해야 합니다.
⦁ 불교청소년 그룹의 현황
1. 정심 (正心) 불교청소년부 (Chanh Tam Buddhist Youth 25251 Campus Dr, Hayward, CA 94542
2. 정덕 (正德) 불교청소년부 (Chanh Duc Buddhist Youth) 매주 일요일 1pm – 5pm 4273 Solar Way; Fremont, California 94538
3. 정화(正和) 불교청소년부 (Chanh Hoa Buddhist Youth) 17327 Meekland Ave, Hayward CA 94541 http://www.compassiontemple.org/youth
불교청소년부 프로그램 진행 과정
정심부(첫 번째 그룹) 과 정덕부(두 번째 그룹)은 평균 20~25명이 매주 모이고 있다.
정화부(세 번째 그룹)은 매주 일요일에 이곳 자애명상센터(CMC)에서 만나는데, 약 50여명의 학생들이 모인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연령별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반에는 반장이 있다. 기초반 ( 6-10살), 중급반 (11-15살), 상급반 (16-18살)으로 구별하여, 대법당에서 베트남어로 합송(chanting)하는 것을 배우는데, 각 반들의 시간에 맞추어 15분~20분가량 각반의 반장들이 이끌어간다. 부모들은 이 반장들이 잘 참여할 수 있도록 도우며 격려한다.
또한 매 달 첫 번째 일요일에는 “마음챙김의 날 (Mindfulness Day)” 로 모든 청소년들이 함께 대법당의 법회에 참여한다. 이때 상급학생들이 어린 학생들을 보살피며, 어떻게 어른들과 함께하는 공동법회에서 처신해야하는 지를 보여준다. 시간은 약 15~20분이지만 베트남어와 영어를 함께 사용하여 청소년들의 불교예식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전국적 프로그램: 불자 스카우트 / 베트남-아메리칸 불교청소년협회 (Buddhists Scouts / Vietnamese-American Buddhist Youth Association)
불자 청소년스카우트 (보이스카우트/걸스카우트) 행사는 일년에 한 번씩 열리는데, 장소는 매년 미 전국을 돌아 다니며, 다른 단체의 불자 스카우트들을 만난다. 이 행사에는 대체적으로 전 가족이 참여를 한다. 그동안 틱투룩 스님이 이 행사를 기획하고 개최하였다. 이 ‘깨달음 집중수련’은 3박 3일동안 미국의 울창한 산과 계곡이 있는 자연속에서 청소년들의 기개와 자량을 함양시키고, 팀웍과 협동을 통해 불교의 이상인 ‘일체 중생의 이익을 위해 돕는 봉사정신’을 젊은 청소년들에게 고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예] 2017년 콜로라도 깨달음 집중수련 - Retreat of Awakening(Trại Tỉnh Thức)
이 수련에서는
1) 내면의 에너지를 재충전하고 활력을 되찾기
2) 신나는 야외 활동과 마음챙김 연습을 통해 아름다운 콜로라도 로키산맥을 발견하기
3) 사찰의 스님들과 회원 및 영감을 주는 초청 연사와 소통하기
4) 친구, 가족과 함께 알차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등을 배울 기회가 주어진다. 이외에도 불교청소년 프로그램으로 하모니 파인 캠프(Harmony Pine Camp), 깨어나기 운동(the WakeUp movemen)등이 있다.
틱투룩스님은 현재 후임자들에게 실무를 맡기고 여러 행사에 영감을 주는 법문으로 청소년들과 소통을 하고 있다.
틱투룩 스님의 불교청소년을 위한 국제적 활동
2015년 여름, 바티칸에서 열렸던 ‘불교-기독교 대화에 관한 바티칸 회의’에서 틱투룩 스님의 <청소년을 위한 마음챙김 연습> 연설의 일부를 소개한다.
“나는 ‘매화마을(Plum Village)’의 전통 수행중 이 게송(gatha)을 수행하고 있으며 여러분도 그렇게 하도록 초대하고 싶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웃어요 / 내 앞에 놓여진 새로운 24시간/ 나는 ‘매 순간을 온전히 살 것을, / 그리고 사랑과 연민의 눈으로 모든 존재를 바라보리라’고 서원합니다.’
이것이 마음챙김, 사랑, 연민입니다. 호흡을 통해 여러분의 마음챙김 에너지를 밝힐 수 있습니다. 그런 후 미소 지으며 제안해 보세요.
또 다른 방법은 샌프란시스코 공영TV의 PBS 약자를 마음챙김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P. 잠깐 멈춤 B: 호흡 S: 미소. 가끔 하던 일을 멈추십시오. 자각과 미소로 호흡을 따르십시오
또 다른코드로 세계 의료계에서 따온: SAFE: 우리는 이 점을 깊이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S: 흡연 A: 알코올 F: 음식 E: 운동. 우리는 삶의 이 네 가지 영역에 주의를 기울이고 주의 깊게 돌보아야 합니다. 당연히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시지 마십시오. 매일 적당한 음식 섭취에 주의하고 운동을 해야 합니다. 이 지침을 사찰이나 집에서 적용하면, 비록 이 세상이 완벽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이 세상에서 우리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위해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증진합니다. (…)
주로 불교의 마음챙김은 ‘멈추기’와 ‘깊이 보기’의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멀리있는 야망을 위해 뭔가 바라는 것을 그만두십시오. 물질적인 것을 더 이상 원하지 말고 바로 지금, 순간 순간, 바로 여기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마십시오.
우리가 기억해야 할 첫 번째 사실은: 마음챙김이 있을 때 우리 자신이 주인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낮 동안의 활동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세요. 예를 들어, 슬픔이나 분노를 느낄 때 그 분노가 자신과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지 않도록 하십시오. 작은 분노가 큰 일이 되어 나중에 후회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마음챙김을 능숙하게 사용하고 자각하면서 숨을 들이쉬고 내쉬면 당신은 그 분노의 주인이 될 것입니다.
매일 마음챙김을 실천하고 일상 활동을 자각함으로써 평화와 기쁨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하루에 20분씩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은 우리의 영적인 삶을 위한 평화와 양육의 시간입니다. 저는 이것을 굳게 믿습니다. 저는 여러분의 성공을 기원합니다.”
*바티칸 회의에 참여할 당시, 틱투룩 스님은 ‘마음챙김의 종(a mindfulness bell)’을 로마로 운반해 갔다.
[필자노트]
⦁ 미주 불교스카우트 상 프로그램의 종류 소개: 파드마 상 (Padma Award): 걸 스카우트를 위한 4부 프로그램. “파드마”는 모든 불교 종파에서 가장 잘 알려진 불교 상징 중 하나인 연꽃을 가리키는 불교 용어다. 연꽃은 고통의 진흙 속에서 자라서 순수하고 절묘하게 아름다운 깨달음의 꽃으로 피어난다. 메달은 펜던트, 리본, 막대로 구성:
* ‘브라우니’에게는 초콜릿 브라운 메달과 인증서가 제공된다.
* ‘주니어’에게는 동메달과 상장 수여.
* ‘생도(카뎃)’는 은메달과 인증서를 받는다
* ’시니어’에게는 은핀과 상장을 수여.
자애 상(Metta Award): 컵스카우트를 위한 프로그램이다. ‘메타(Metta)’는 불교 용어로 ‘사랑의 친절과 선의’를 의미한다. 이 프로그램은 가슴 속에 사랑과 친절과 선의를 갖고 모든 존재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소년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애 메달은 “Metta”라는 단어가 적힌 막대에 부착된 법륜을 상징하는 펜던트로 구성.
연민 상(Karuna Award): 미국 캠프파이어 회원(Camp Fire USA members)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카루나(Karuna)”는 “연민”또는 “사랑의 친절”을 의미하는 불교 용어이다. 이 상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에게 모든 생명체를 가슴으로부터 깊이 돌보는 보살이 되도록 요구한다.
승가 상(Sangha Award): 보이스카우트를 위한 프로그램이다. 승가(Sangha)는 ‘형제애’를 의미하는 불교 용어이다. 승가상 메달은 펜던트, 리본, 막대로 구성. 펜던트는 불법의 전파를 상징하는 법륜(Wheel of Dharma)으로, ‘가르침’을 의미한다. 바퀴는 부처님의 수많은 공덕의 빛을 상징하는 다양한 색상의 리본에 매달려 있다.
제공 : web : National Buddhist Committee on Scouting (전국불교스카우트위원회)
사찰주소 17327 Meekland Ave. Hayward, CA 94541 (510)481-1577 website : http://www.chuaphotu.net
두 번째 인터뷰 날짜: 2024.8.21 수요일 18:00
장소: 사찰내 도서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