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반변성 (Macular Degeneration) 원인 및 증상, 치료방법
오늘 살펴 볼, 황반변성이란 말 그대로 황반에 변성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황반이란, 우리 눈 구조의 맨 뒤쪽, 망막중에서도 정중앙 부위로 우리가 보고자 하는 물체의 상이 맺히는 가장 중요한 부위로 이곳에 이상변화가 생겨서 망막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1. 원인

망막에 생기는 수많은 염증성 질환들, 종괴성 질환, 원인을 알수 없는 질환 등 으로 생기게 되는데 다른 이유로는 노화를 들수있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75세 이상의 노인에서 약 10~20%가 발생하고 60세 이상에서는 약 12%정도가 이병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 이 황반변성의 가장 확실하고 강력한 위험인자로 알려진 노화이외의 다른 이유를 보자면 흡연을 들수 있습니다.
많은 연구에서 비흡연자보다 흡연자의 황반병성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과일이나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면 이를 줄일 수 있는데, 이는 채소에 많이 들어있는 항산화제와 아연, 루테인과 지아잔틴의 섭취가 황반변성의 진행 위험을 낮춰줄수 있다는 보고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2. 증상

초기에는 심한 자각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안과적 소견으로는 망막에 경성또는 연성 드루젠이라고하는 물질이 보이게 됩니다. 계속해서 병이 진행되면 망막에 지도형 위축이나 신생혈관이 생기게 되면 시력이 나빠지고, 물체가 뿌옇게 흐려져 선명하게 보이지 않으며 글자를 읽기불편하다면 반드시 안과에서 정밀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3. 치료방법

노화와 관련된 것이라면 항산화제와 루테인, 그리고 오메가3를 복용하는 것이며, 시술로는 레이저광 응고술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치료법이 많은환자에게 시행되고 있으며 시술받는 불편감없이 여러 번 시행할수 있다는 장점등이 있고, 수술적인 요법으로는 망막색소상피이식, 맥락막 신생혈관 제거술, 황반전위술 등이 있습니다.

4. 자가진단
- 가족력이 있는가?
- 흡연을 하는가?
- 사물의 형태나 선, 글자가 흐려보이지 않는가?
- 60세 이상인가?
뚱뚱하지는 않은가?(비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