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패쓰는법
후인后人임금후 유인 젖먹이孺人젖먹이유
기부 기록할기記 附붙을부 복위엎드릴복伏위할위爲|
일반적으로 윗머리에 망(亡)자를 쓴는데
아버지는 망부(亡父), 어머니는 망모(亡母)라고 쓴다.
격식은 높여서 망엄부(亡嚴父), 망자모(亡慈母)라고 쓰기도 하고,
고조할아버지.할머니는 망고조부.모(亡高祖父.母),
증조 할아버지.할머니는 망증조부.모(亡曾祖父.母),
할아버지.할머니는 망조부.모(亡祖父.母),
큰 아버지.어머니는 망백부.모(亡伯父.母),
작은 아버지.어머니는 망숙부. 모(亡叔父.母) 등 촌수를 쓰고
다음에 본(本)을 쓴다.
그리고 남자는 후인(后人), 여자는 유인(孺人)이라 쓰고,
이름을 쓰고 영가(靈駕)라고 쓰면 된다.
* 복위(伏爲)는 지내는 사람을 말하는 것인데,
지내는 사람이 아들이면 행효자(行孝子), 딸이면 행효녀(行孝女),
손자이면 행효손(行孝孫)이라 쓰며
다음에 복위(伏爲)라고 쓰면 된다.
그런데 자식이나 손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나 아내,남편이 재사를 지낼
때에는 기부(記付)라고 한다
행효손자(行孝孫子) 김 OO 복위(伏爲)
망고조부(亡高祖父) 김해후인(金海后人) 김 OO 영가(靈駕)
(망엄부(亡嚴父), 망자모(亡慈母) 后人 孺人 靈駕)
남자인 경우: 선 엄부 해주후인 (무상) *** 영가
先 嚴父 海州后人 無常 *** 靈駕
여자인 경우: 선 자모 남양유인 (보리심) @@@ 영가
先 慈母 南陽孺人 菩提心 @@@ 靈駕
위패
오로지 아버지 어머니의 제사만 모시는 관계로 불교에서는
그 위폐를 쓰는 법도 유교식과는 아주 다르다.
한가운데 '나무아미타불' 의 여섯 자 부처님의 명호를 모신다.
그리고 왼쪽으로는 모든 조상님들의 위폐를 모시는데,
만약 그 집안이 김해김씨이며 제주가 김아무개라하면
위폐의 오른쪽 하단에는 '효행자 김아무개 복위' 라 쓰고,
중앙에 '김해김씨 누대조상 각각등 영가' 라 쓴다.
첫댓글 행복한 수요일 입니다 즐거운 마음으로
아침을 맞이하시고 웃는일 가득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수요일 빨간장미와 함께 사랑의 안부전해드려요^^
사람이 사람에게 줄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언제나
변함없는 마음입나다 기분좋은 수요일 되세요
이세상에 영원 한것은 없습니다
오늘 이시간도 다시 오지 않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오늘도 아름다운
웃음이 많은 하루 만들어
가시고 행운가득한날 되세요
오늘도 꽃처럼 예쁘고 행복한 하루 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저녁시간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