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柴 (땔나무 시)
중세 중국과 한국의 성씨. 후주의 황성으로 송에 선양한 이후로는 송의 황성인 조씨 다음가는 왕작 가문이자 최고 귀족으로 대우받았다.[1] 한국의 경우 태인 시씨 등이 있다. 2015년 기준 총 인구 2,114명이었다.
현대 중국에서는 130위정도의 성씨이다. 95.3%가 한족인 성씨이다.
2. 施 (베풀 시)
한국과 중국의 성씨. 2015년 기준 총 인구 2,235명. 한국의 절강 시씨(浙江施氏)는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에서 귀화한 무장 시문용을 시조로 삼으며, 절강은 중국의 저장성을 의미한다. 시씨식사사는 시(施)씨가 사자를 먹는 내용의 시다.
상당한 양반혈통 집안으로 영남학파들이 시씨를 존경하며 매우 따랐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왕이 직접 세워준 사당이 있을 정도로 명문가이다. 후손들은 재야에 파묻혀 사는걸 좋아했는지, 혹은 시문용의 유언 때문인지 조선시대에 시문용 이외의 유명 인물은 없다. 고령군에서 고령 땅 10분의 1을 차지할 정도의 위세를 보였으며,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큰 규모의 지주였다. 구휼미를 무상으로 푸는등의 구제 활동을 많이 실시하여 당시 고령 주민들은 "시(施)씨가 나랏님이다" 라고 하였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막대한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는 바람에 예전의 위세를 자랑하지는 못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송나라 시절 20위정도의 흔한 성씨였으나 현대에는 100위정도의 성씨이다. 대부분 장쑤성, 절강성에 거주하고 있다. 97%가 한족인 성씨이다.
첫댓글 시씨는 있음!!! 검색해도 나옴!! ㅎㅎ
향아님 감사해용~♡♡♡
@강여울(엘레강수) 개?? 강쥐??
@강여울(엘레강수) 시바견 인가요?
시바는 아닌것 같은데
@쏭쏭 시쮸아녀여?ㅋㅋ
@1집 부족한 사랑 시바종 ㅋㅋㅋㅋ ㅋㅋㅋㅋ 😆
@강여울(엘레강수) 얘가 시바
@1집 부족한 사랑 어제예기하시지그래슈~
시바종 😂 ㅋㅋ
야는시츄
@강여울(엘레강수) 시츄가 주인 씅질 닮는대유. 😆
@강여울(엘레강수) 어제 실방 듣다가 잠들어 버려서 안타까비 못 들었자나요
@향아
역시 향아님. 잘 알았읍니다❤️
처음 들어본 성 시씨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주셨네요. 향아님 고맙습니다 🙏
시보레에서 빵! 빵! ㅎ
양반가문이었네요.,ㅋㅋ
감사합니다 .
모르고지날뻔한 비록 중국 성씨지만 알게된 계기가 되었네요
향아님 감사합니다
한국에도 중국에도 있는 성씨입니다.
지금도 고령에 시씨가 있을까요
아침 출근길에 쉐보레 차 앞에 지나가는거 보고 우와~~시보레다~~ㅎㅎ
ㅋㅋㅋㅋ 😆
부조칸사랑님 고령에 시씨.부자친구 많아여~제친구는.시주호.
네 취급주의님 감사 합니다
여전히 시씨는 부자군요 고령이 부자동네라니 이제야 알았네요
시방 잘 읽었습니다~~~ 감사 합니다!!!
선비 같으신 향아님,좋은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