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 2월 25일
오전 10시45분
북한의 미그 19기 한 대가
연평도 상공 서해
북방한계선을 넘었다.
전국에 경계경보가 발령됐고,
공군의 전투기들이
대응에 나섰다.
발포할 필요는 없었다.
조종사인 이웅평 상위가
날개를 좌우로 흔들며
귀순 의사를 밝히고
있었기 때문이다.
공군은 그를 수원
공군기지로 유도했고,
미그 19기는 오전 11시4분
무사히 착륙했다.
북한의 개천비행장을
이륙한 지 30여분 만의 일이었다.
당시 미그 19기는
북한의 최신 전투기였다.
이를 몰고 온 보상으로
15억6000만원의
보로금이 지급됐다.
현재 가치로
60억원이 넘는 돈이다.
이웅평의 귀순은
큰 사건이었다.
남북 체제 경쟁이
한창이던 시절,
그는
해안가에 떠내려온
라면 봉지에 적힌
‘변질된 제품은 교환해 준다’
‘계란을 풀어서 먹으면 좋다’ 등의
문구를 보고 귀순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한 사내의 실존적 결단은
이렇게 신화가 됐다.
한 마리의 제비가
봄을 불러오지 않듯
이웅평의 귀순도
혼자만의 비행이 아니었다.
76년 9월
소련 공군의 중위가
미그기를 몰고
일본을 거쳐 미국으로 망명했다.
83년 8월에는
중국 인민해방군
시험비행단 소속 조종사가
미그 전투기를 몰고
한국을 통해 대만으로 귀순했다.
영원할 것 같았던
철의 장막에 균열이
가고 있었던 것이다.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 이후
우리가 알던 세계 질서도
급변하고 있다.
미국이 러시아와
협상에 나선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장에 투입된
북한군 포로의 소식이
가슴을 아프게 한다.
이들이
한국행을 원한다는데
거대 야당은 별다른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다.
북한군 포로도
법적으로 우리의 국민이다.
살인 드론에 쫓겨
날아온 다친 제비들을,
대한민국은
끌어안아야 한다.
조간에서 발췌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살인 드론에 다친 제비
차라리
추천 2
조회 35
25.02.26 10:51
댓글 4
다음검색
첫댓글
그럼요
아무리 술을 많이 마셔도
자기 할 일 다하면 알콜 중독 않이고
할 일 하지 못하면
조금만 마셔도 알콜 중독이래요.
그런데 여기에 거대 야당 들먹이는건
아닌것 같아요.
이런공간에선 자신의 편향적인 속내를 옮겨오는건 거북합니다
작금
이 나라를 좌지 우지 하는 그룹은
야당 이라네요
여당이 해야 하는데 여당이 심이 없나바요
다 아는 사실 이니 야당이던 여당이던
할 일 하면서 대통령 놀이 하라는 뜻이것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