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 노사정 사회적 합의에 한 걸음 가까워졌다
택배시장의 노사 갈등이 피크를 지나고 있다. 현재까지 언론보도에 따르면 16일택배노조는 민간 택배사업자들과 잠정 합의안을 도출하고 파업을 철회하기로 결정 했다. 이제 우정사업본부와의 협상만 남은 셈이다. 작년부터 이어진 노조 파업의 쟁점은 택배기사들의 분류작업 배제 시점과 노동시간 감축에 대한 수수료 보전 문제였다. 이번 합의안에서는 택배기사가 2022년부터 분류업무에서 완전히 제외되며, 이를 지키기 위해 한진과 롯데택배는 연말까지 분류인력을 CJ대한통운과 유사한 3~4천명으로 늘릴 방침이다. 또한 최대 근로시간을 주 60시간으로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초과할 경우 할당된 물량과 구역을 조정하게 된다. 대신 이 경우 감소할 수 있는 소득에 대한 보전은 통과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택배가격 인상 없이는 추가 비용부담도 어렵다는 점을 확인
이번 파업 철회로 택배산업은 사회적 합의를 위한 마지막 고비를 넘었다. 노조 비중이 가장 높은 우체국택배가 막판 진통을 겪고 있으나 논의 양상은 민간 사업자 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만약 분쟁이 장기화되면 우정사업본부가 택배사업을 아예 철수할 수 있어 오히려 다른 택배업체들에게 호재다. 더욱 중요하게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단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에 노조와 정부 모두 공감하고 있음이 분명해졌다. 이미 택배 3사는 4월부터 단가를 10%가량 올렸는데, 노조의 주장과 산업연구원의 권고안은 인상폭을 15%까지 보고 있다. 갈등이 완전히 해소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앞으로 추가 비용 투입이 다시 문제되더라도, 이에 상응하는 운임 인상이 함께 수반될 것이라는 점에서 택배 수익성에 대한 우려는 제한적이다.
CJ대한통운은 이러한 혼란이 오히려 좋아
2021년 택배시장 변화는 CJ대한통운에게 가장 유리하다. CJ대한통운은 업계 최초로 서브터미널에 자동화 설비를 구축하는 등 근로환경 개선 투자에 앞서있기 때문 이다. 그만큼 올해 비용부담이 가장 적다. 그동안 노조 쟁의의 대상이 1위 CJ대한 통운에 맞춰져 왔다면 이제는 2~3위로 넘어왔다. 실제로 CJ대한통운은 한진과 롯데에 비해 3배 이상 많은 물량을 처리하지만 노조와 약속한 분류인력 투입은 4천명 내외로 3사 모두 비슷하다. 결국 향후 ESG 관련 투자가 늘어날수록 단가인상이 급해지는 것은 경쟁사다. 시장우위가 더욱 강화된 CJ대한통운에 대해 ‘매수’ 의견과 목표주가 23만원을 유지한다. 당장 2분기 이익부터 격차가 드러날 것이다. 한진의 경우 인상 효과와 분류인력 비용 증가 가능성이 아직 불확실하다. 대신 2021F PBR이 0.5배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단기 트레이딩 기회는 유효하다.
한투 최고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