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노 전 대통령의 정치 인생이 충청권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지역민들은 안타까운 심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노무현 후보를 대통령에 당선시킨 것이 바로 충청인이었고, 그의 핵심 공약인 행정중심복합도시(당초 신행정수도)가 여전히 충청인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기도 하다. 충청권, 2002년 대선서 ‘바보 노무현’ 대통령 만들어 또 하나, 대통령 재임 당시 발생한 탄핵 역풍이 현재의 지역 국회의원 중 상당수를 정계에 입문시켰다는 점 등을 볼 땐 이런 인연이 없어 보인다. 2002년 대선 당시로 돌아가 보자. ‘바보 노무현’이 대통령에 당선된 데는 충청인의 역할이 컸다. 그의 핵심 공약인 신행정수도 건설 공약에 총 유권자수의 9.9%로 캐스팅 보트인 충청권은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줬다. 노무현 후보는 대전과 충남, 충북에서 이회창 후보를 7%~15% 가까이 앞서며 승기를 잡았다. 이런 탓에 당시 언론들은 “충청도가 노무현을 당선시켰다”고 보도했다. 이렇게 해서 '노무현과 충청도'의 인연은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탄핵역풍으로 2004년 17대 총선서 열린우리당 충청권 압승 그렇게 당선된 노무현 대통령의 정치인생은 순조롭지 못했다. 2004년 3월, 우리나라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 탄핵안 가결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그 때 국회에 처음 입성한 권선택·박상돈·이상민·양승조 의원 등은 지금은 당을 달리 하지만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 후폭풍 덕(?)을 입은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2004년 10월 신행정수도 위헌 판결…충청 정치판 지각변동 노무현 대통령의 공약인 신행정수도 건설이 2004년 10월 헌재의 위헌판결을 받으면서 충청권은 큰 충격과 혼돈에 빠져들었다. 연기군을 중심으로 충청권 전체가 연일 들끓었고 집회 등이 잇따랐다. 정치권은 곧바로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마련에 분주했고, 2005년 3월 12부 4처 2청을 연기·공주로 이전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특별법’이 가결되기에 이른다.
이밖에도 노무현 전 대통령과 충청권의 인연은 많다. 대통령 별장인 충북의 청남대를 전면 개방한 것도 그였고, 최 측근인 민주당 안희정 최고위원이 충남 논산 출신이라는 점도 노 전 대통령을 더욱 살갑게 만들어 왔다. 세종시법 통과 지연 등 행정중심복합도시 ‘미완의 과제’ 남겨 노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에 충청인 모두의 마음이 더욱 무거워지는 이유는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라는 미완의 과제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일부 의원들은 “세종시 망국론”을 외치며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고, 당연히 이행돼야 하는 이전기관 변경고시 등도 이명박 정부 출범 1년이 지나도록 감감 무소식이다. 세종시법은 17대 국회를 넘어 2월, 4월 국회에서조차 마무리 짓지 못한 채 6월로 넘겨진 상태다. 이 역시 통과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 대전시당 선병렬 위원장은 “노무현 전 대통령은 신행정수도 공약으로 충청권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당선됐다. 그는 ‘충청권이 국가의 중심 역할을 맡아야 국가의 미래에 희망이 있다’는 신념을 가졌던 분”이라며 “6월 국회에서 세종시법을 반드시 통과시켜 노 전 대통령이 못 다 이룬 과제를 완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충북경실련은 23일 논평을 내고 “역대 대통령 중 유일하게 우리나라의 수도권과밀집중과 지방 황폐화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 살리기 3대 특별법을 제정해 행정도시·혁신도시 등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비롯한 지방분권 및 국가균형발전정책을 강력히 추진하다가 퇴임 후 곧장 지방으로 낙향한 대통령으로 국민들 가슴속에 길이 기억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첫댓글 충청권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차별받고 있는 지방을 살려야만 나라가 사는 길입니다. 삼가 영면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