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
2학기에 들어서면서 과외를 하다가 중학교를 다니는 학생이 2학기에는 시험을 안본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시험을 당장은 보지 않아서 다행이지만 2학년이걱정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자유학기제를 조사하다보니 자유학기제 실험 실시에 대한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자유학기제는 시험에 대한 부담감에서 벗어나 미리 자신들의 진로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니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학교에 갓 들어온 학생들을 학교에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역할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아일랜드에서 이와 비슷한 전환학년제의 성공사례도 있다. 하지만, 중학교인 경우 그 한학기를 시험에서 벗어나 진로 탐색을 위한 수업을 하다보니 고등학교 입시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오히려 사교육으로 사람들이 몰릴 수도 있다. 중학교에 적응을 하는 것 중 앞으로 2년동안 시험을 보는 것도 포함이 되니 오히려 시험이 다시 생기게 되면 혼란을 줄 수 있다. 아일랜드인 경우 40년이라는 긴 시간을 들여 성공을 해냈는데 우리는 너무 성급하게 적용을 하였다. 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중학교의 전체적인 시험방식과 진로탐색의 병행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당장의 실행이 아니라 입시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새로운 시도에 대해 너무 베타적으로 생각한 것 같지만, 성급히 적용하는 것보다 많은 대책 강구를 통해 성공하는 것 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자유학기제를 급히 도입하는 대신 그전에 입시에 대한 전체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첫댓글 자유학기제의 문제점에 대해서 잘 짚어 본 듯합니다. 그런데 고등학교 진학 대책, 중학교 시험 방식과 진로 탐색 방향, 입시 인프라 등의 입시 전반 대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더 좋겠습니다.
네 감사합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