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우스피스 부분 명칭부터 천천히 잘 기억하시고 글을 읽으시기 바랍니다]
MASTER LINK MOUTHPIECE (Early 1930s):
1930년대 오토링크에서 처음으로 만든 마우스피스는 MASTER LINK 이였습니다. 이넘들은 피스테이블 옆과 아래쪽을 깍아내어 리가춰를 밀어넣게 제작되었는데,후기 모델들은 FOUR****(아래그림참조) 모델과같은 '밴드형 리가춰'로 바뀌었다.
이 피스들은 매우 낮은 배플과 큰 챔버, 그리고 독특하게 매우 작은 팁오프닝- 통상 3,4호 -과 길고 깊은 페이싱을 가졌고, 소리는 아주 따뜻하며 어두웠습니다(warm & dark).
이 피스는 'Coleman Hawkins'를 위해서 만들어졌다고해서 'HAWKINS SPECIAL'이라 불리웠습니다.
FOUR**** MODEL (1935):
그 다음의 모델은 FOUR**** 피스인데, 이 이름은 동 시대의 네명의 섹서폰 스타들: Charles Strickfaden, Henry Wade, Pat Davis, and Ross Gorman -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것.(이 스타들은 스탠다드풍의 strap type ligature를 채용했다는걸 제외하곤 아주 똑같은 전기모델의 마우스 피스를 사용했었다)
이 피스에서 리드를 고정시켜주는 황동판(brass plate)는 아주 두꺼워서 리드의 떨림을 감쇄시키는 'deadening affect'가 있다. 상기의 두 모델은 뒤이어 나오는 오토링크피스에 있는 뒷면의 볼록나온 '리가춰릿지'가 없다. 이 두 모델은 시리얼넘버가 없고 모두 생크부분에 'New York'이라 표기했다. 이 피스를 사용한 유명 연주자는 'Ben Webster' 'Coleman Hawkins'였으며 '콜맨 호킨스'는 후에 버그라센으로 바꾸었다.
이 피스의 독특한 페이싱중 '콜맨호킨스'를 위해 디자인한 것으로 이를 'HAWKINS SPECIAL'이라 옆에 써넣었고 또 다른 것은 'VIDO MUSO model이 있었다.
THE FIRST HARD RUBBER MOUTHPIECE
최초의 하드러버 마우스피스
1930년대에, 오토링크社에서 최초의 하드러버 피스를 제작하였다. 이 넘들은 메탈피스에 비해 좀 쌌고-가격 면에서만 보자면- 오토링크 피스 제작 역사상 최대의 '챔버'와 가장 낮은 '배플'을 가졌다. 흥미롭게도 이 넘들은 작은 오프닝 사이즈에서라야 최적의 연주를 해주는 경향이 있으며 시리얼 넘버와 팁 오프닝은 테이블에 새겨져있다. 피스 후면에 'Otto Link'라고 비스듬히 새겨져있고 아름다운 체인 무늬가 바디를 둘러싸고 있으며 메탈피스와 매칭되는 매혹적인 생크로 가공되었다.
"TONE MASTER" METAL:
오토링크사는 메탈피스 상부에 '릿지'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이는 리가춰의 센타를 잡아주기 쉽게하기 위한 것이였다.
이 피스들은 뉴욕에서 만들어졌는데 옛모델보다는 좀 더 돌출부를 두었다. 아주 길고 깊은 'facing'을 가졌고(구 모델들 처럼) 작은 오프닝에서 연주가 좀더 잘된다. 이 것들은 -아주 드물게는- 아주 큰 오프닝으로도 만들어졌지만(7,8호 같은 정도) 역시나 길고 깊은 페이싱을 갖고있어 이것으로 반응도를 짧게하는 효과가 있다고...(which curtailed their responsiveness.)
'TONE MASTER' 모델의 금장도금 아래는 은장도금으로 되어있고 시리얼 넘버는 옆에, 팀오프닝은 테이블에 찍혀있다. 리가춰는 이 시기부터 진정한 개선을 가져왔다. 리드가 접촉하는 플레이트는 더욱 얇아졌고 이로써 리드가 더욱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게 되었다. 리가춰의 엄지스크류에 'OTTO LINK'라 새겨진 걸 볼 수있다. 초기의 모델들은 작은 4 자릿수의, 후기 모델은 큰 3자릿수의 글자로 시리얼 번호가 있다.
Otto Link "TONE MASTER"를 사용한 뮤지션들:
Ben Webster (tenor)/Lester Young (tenor) / Coleman Hawkins (tenor) / Georgie Auld (tenor) /Buddy Tate (tenor)/Charlie Barnett (tenor) / Benny Carter (alto) / Vido Muso (tenor)
"RESO CHAMBER" HARD RUBBER:
이 하드러버 피스들은 '톤마스터'와 함께 만들어졌으며 'RESO CHAMBER'라고 뒷면에 원형으로 써넣었다. 아주 초기 제품은 팁오프닝을 써 넣지 않았지만 후에는 테이블 아래에 써넣었다. 'dark mellow'한 sound를 가졌다.
RESO CHAMBER를 사용한 뮤지션:
Woody Herman (clarinet) / Bud Freeman (tenor) / Georgie Auld (clarinet) / Joe Allard (alto, clarinet)/Joe Marsala (clarinet) / Vido Musso (clarinet)
"SUPER TONE MASTER" (1950s) - THE 'DOUBLE BAND' MODELS:
최초의 'SUPER TONE MASTER' 피스는 made in New York 이었고 그렇게 생크에 새겨넣었다. 이 넘들은 시리얼넘버를 갖고있으며 이는 후기의 'TONE MASTER'피스와 아주 똑같다. 팁오프닝은 테이블위에 새겨넣었다.
이 피스들은 생크부분에 둘러 쳐져있는 두개의 평행선이 특징적인데 그래서 이 넘들은 'Otto Link double band mouthpieces' 로 알려져있다. 초기 모델은 아주 긴 'bite plate'를 갖고있다가 결국은 좀더 짧은 '바이트플레이트'로 교체되었다. 'NY TONE MASTERS'처럼 금장도금 밑에는 은장도금이 되어있다.
초기의 리가춰는 NY TONE MASTER에 비해 리가춰엄지스크류에 '오토링크'라고 새기는걸 빼 놓은것 말고는 차별화되어 보이는데 이 것들은 특별한 리드플레이트의 디자인으로인해 모든 오트링크 리가춰중 최고의 사운드를 갖고있다.
THE MOVE TO POMPANO BEACH, FLORIDA: '플로리다 폼파노비치'로의 이전
1950년대 초 '수퍼톤마스타'피스를 만드는 동안 오토링크사는 플로리다 폼파노비치로 이사를 갔다. 'made in Florida' 피스는 몇가지를 제외하곤 초기의 '수퍼톤마스타'와 흡사해보였는데 시리얼넘버를 좀더 크게썼고 생크 부분에 'NEW YORK'이라고 표기를 안했다. 이들 피스의 소리는 '팁레일' 바로 뒷편의 뱃플을 약간 더 두었기 때문에 좀더 밝은소리를 내었다.
흥미롭게도 오토링크사는 금장도금 밑에 은장도금대신 니켈도금을 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금장도금은 원재료인 황동에 잘 고착되지 않았기때문에 중간도금재가 통상 사용되었기 때문이었다. 실버는 잘 도금은 되지만 금과 마찬가지로 무르기때문에 금방 닳았었다. 니켈이 좀더 단단하기에 좀더 오래 갔었지만, 금은 또 니켈에 잘 도장되지않았었다. 오늘날 우리가 볼 수있는 많은 'Florida mouthpieces'들이 니켈-실버 색으로 빛이나는건 금장도금이 세월따라 마모되고 니켈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1950년대엔 뮤지션들이 큰 사이즈의 팁오프닝으로 연주하기 시작했는데 오토링크사는 이를 간파하고 큰 사이즈의 피스를 생산하기 시작하여 표준형 훼이싱의 사이즈는 '10호'까지 올라갔다. 이전의 표준 팁오프닝 사이즈는 크다고해도 불과 '5*'였다. '페이싱'은 'NY'모델에서부터 급진적으로 바뀌었는데 'NY'모델처럼 '긴 페이싱의 좁은 팁오프닝'을 채용하는대신 '중간 페이싱에 좀더 큰 팁오프닝'을 채용하기 시작했다. 초기 버전은 'NY Otto Links'처럼 매우 얕은 'shallow roll-over' 뱃플을 가졌지만 'double band model'이 끝나가는 무렵엔 오토사는 좀더 많은 'roll-over'를 피스 뱃플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소리는 좀더 밝은 색을 띄었다.(위 아래 그림을 비교해보세요~)
리가춰는 스크류가 좀 얇아지고 'cross-hatch' 형태로 되어있다.
"SUPER TONE MASTER" (1950s -1973) - NO USA & USA MODELS:
플로리다 모델 이후 세대엔 시리얼 넘버가 없으며 '슈퍼톤마스터'란 이름이 생크에 둘러쳐져있는 두개의 밴드 사이에 위치한다. 후기 모델 모두는 '슈퍼톤마스터'라고 써있는 반대편에 'USA'라고 두개의 밴드 사이에 찍혀있지만 초기의 이 모델은 그렇지 않았기에 이런 연유로 초기 모델을 'No USA model'이라 간주한다.
초기의 'no USA models'은 아주 높고 깊은 아크형태의 롤-오버 뱃플을 가졌는데 이로써 소리는 아주 밝았졌지만 이 롤-오버 는 완전 수작업에 의존한 것이였기에 피스 개개 마다의 소리 차이는 아주 다양하고 큰 차이가 있었다. 'no USA model'이 끝나는 무렵 오토사는 길고 플랫한 뱃플(elongated flat baffle)을 채용하기 시작했는데 이로써 소리는 좀 덜 울리지만 따뜻하고 풍부한 투사음으로, 오토링크사를 유명하게 만들었다.
스크류 윗부분에 'OTTO LINK'라고 다시 써넣었지만 1년후에 다시 없앴다. 그 외에는 아주 동일한 모델이다.
1960년대에 와서 'USA'라는 스탬프를 생크에 'SUPER TONE MASTER' 라고 쓴 그 반대편에 찍었다. 이 피스들은 후기 "no USA" 모델들 처럼 'step baffle'을 갖고있다. 모두 금장도금 밑에 닉켈도금이 되었고 역시나 금장이 니켈에 잘 고착되지 않았던 관계로 정상적인 사용에도 금은 벗겨지고 니켈이 드러나 보이는게 통례였다.
이들 리가춰는 테너섹서폰용은 T자를, 알토용은 A자를, 바리톤용은 무표시를 스크류에 했으며 이전의 모든 'TONE MASTER' 나 'SUPER TONE MASTER' 리가춰에서 처럼 초기제품은 리가춰 바디에 스크류가 좀더 잘 붙으라고 튀어나온 주물을 붙였는데 나중엔 이런 모양을 없앴다.
해가 거듭되면서 오토사는 고객들에게 'refacing' 써비스를 하기 시작했는데, 이 글을 읽는 당신 역시 피스의 페이싱을 다른 형태로 바꾸거나 팁 오프닝을 변경시키려면 회사로 보내면 된다.
SLANT SIGNATURE HARD RUBBER "TONE EDGE":
(경사지게 싸인된...이라는 뜻) 하드러버 '톤엣지'
최초의 플로리다 러버 'TONE EDGE' 피스는 오토링크라고 45도 각도로 피스 뒷면에 새겨졌기에 'Slant Signature Otto Links'라고 인지되었다. 처음 버전은 팁오프닝이 테이블에 찍혀있었고 생크는 둥글었으며 후에 나온 'Florida' 모델들보다는 약간 챔버가 크다. '스랜트 시크네이처 톤엣지' 모델은 'SUPER TONE MASTER'의 하드러버 버전이고 여전히도 오토링크 최고의 러버 피스로 희구되고있다.
여기엔 세가지 모델로 생산이 되었었는데 첫째 모델은 페이싱 스탬프가 테이블에 찍혀있고 셋중 가장 어두운 소리였다(They were the darkest of the three models. - 아마 소리의 색갈이라 판단됨. 아래 그림에서보면 맨 왼쪽의 것인데 피스의 색은 오히려 갈색이 약간 도는 검은색)
두번째 모델은 페이싱 넘버가 측면에 찍혀있고 무척 넓은 테이블을 가졌고 현저한 기계적 흔적이 테이블 표면에 있다.
세번째 모델은 페이싱 넘버가 역시 측면에 있지만, 생크에 'USA'라고 추가로 찍어넣었다. 뒤의 두가지 모델은 약간 더 배플을 두었기에 다소 쏘는 소리를 낸다. 보다 큰 팁오프닝들이 시장에서 성공하기 시작했다.
VINTAGE OTTO LINK HARD RUBBER MOUTHPIECE LIGATURES:
빈티지 오토링크 하드러버 피스용 리가춰
오토링크는 두가지의 유사한 스타일의 리가춰가 'NY' 과 'Florida' 모델에 사용되었는데 테너는 'T'자가 알토는 'A'자가 뒤에 새겨졌는데 빈티지에 따라서는 이러한 스탬프가 3가지의 다양한 글자체로 찍혀있다.
그 리가춰들은 두가지 다른 스크류-헤드의 모양에따라 두가지 다른 '캡'이 생산되었다. 'NY' 모델은 끝이 막혀있는 반면 '플로리다' 모델은 끝이 오픈되어있고 메탈피스 캡에서의 그것과 유사하게 보인다. 리가춰는 매우 두꺼운 황동으로 만들어졌고 묵직한 사운드를 내게하였다.
TRANSITIONAL EARLY BABBITT "SUPER TONE MASTER" (1974):
과도기의 얼리바빗 슈퍼톤 마스타
이 피스들은 플로리다에서 만들었으나 거기서 완성되진 않았다 이 넘들은 인디아나의 'Elkhart' 공장으로 1974년도에 이전된 이후 거기서 마무리된 것 들이다. 이 피스들은 여지껏 만들어진 어떤 오트링크 피스보다 더 baffle과 floor에 재질을 채워넣었기에 유니크한 사운드를 만들어낸다. 이것은 그 피스들에게 마무리 작업이 좀 덜 가해져서 그리된것들이다.
이 피스들은 비교적 작게 뚫린 구경과, 플로리다 모델처럼 금장도금 밑에 니켈도금을 했다. 또한 얼리바빗 모델처럼 피스 몸통 측면에 큰 글자체로 숫자를 찍었다. 모든 플로리다 모델은 수작업으로 페이싱을 했는데 테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혹 가끔은 사선 방향으로 라인을 남기게되었다. 이러한 라인들은 테이블 평면작업시의 '신드페이퍼' 때문에 생긴것으로 이러한 전통적인 피스들은 그라인딩 휠이 장착된 '페이싱머신'을 사용한 최초의 작품들이다. 이 새로운 '페이싱머신'은 피스 테이블 면에 아주 독특한 '데님(면직물)'같은 그라인딩 마크를 남겼다.
EARLY BABBITT "SUPER TONE MASTER" (1975 to 1979):
얼리바빗 슈퍼톤 마스타(1975 ~ 79)
이 피스들은 오토사가 인디아나의 엘크하트로 이전후 그곳 '바빗공장'에서 처음 만들어진 것들이다. 이 피스들은 아주 좋은 'projection'을 갖는 경향이 있으며 'high step-baffle'을 두었기에 아주 밝은 소리를낸다. 'window'는 팁 부분에서 좁아져서 초기의 '플로리다'모델 보다는 좀더 모아지는 소리를 낸다. 이 넘들은 몸통 측면에 좀더 큰 글자체로 숫자가 찍혔고 좀더 구경을 크게 뚫었으며 금장도금 밑에 은장도금을 했다. 금속의 소프라노피스는 아주 작은 챔버로 영구히 바뀌어 좀더 밝은 소리를 제공한다. 역시나 새로운 페이싱 기계 덕에 독특한 데님무늬가 피스 테이블에 남았다.
이 피스에 장착된 리가춰는 다시한번 변경이 되었는데 아주 크고 플랫한 엄지스크류가 부착되었다.
EARLY BABBITT "TONE EDGE": (1974 to 79):
얼리바빗 톤엣지(1974 ~ 79)
이 피스에 처음으로 'Otto Link'라는 글자를 피스 뒷면에 똑바로 가로로 써넣었다. 이 넘들은 생크에 'USA'라고 써넣었고 보다 큰 내구경을 갖고있다. 아마도 '플로리다모델'과 동일한 정도의 배플을 두었지만 아주 약간 좁은 'window'를 갖고있다. 하드러버의 경우 알토용은 'baffle'과 'floor'에 좀더 질량을 두어 쏘는 소리를 강조했다. 소프라노용은 좁은 챔버방식으로 옮겨갔기에 (빈티지 셀마 솔로이스트 피스 보다는 약간 큰 정도..) 빈티지 셀마의 사운드와 유사한 아주 아름다운 소리를 낸다.
CURRENT MODELS (1980 TO PRESENT):
현재의 모델 (1980년 이후 주욱~)
이 피스들은 메탈이나 하드러버 모두 빈티지 모델보다는 피스 바닥의 재질을 얇게하여 비교적 어두운 소리를 내는 경향이있다. '팁'은 역시 약간 좁아졌다. 처음의 이 모델은 아주 긴 몸통이였는데 단지 이삼년간만 그렇게 하다가 결국 그들의 전통적인 길이로 회귀하였다. 1990년 후반부에 오토사는 테너용으로 'New York model'을 만들었는데 이 녀석들은 팁부분에서 가로로 넓어졌고 챔버도 더 커졌다
이 모든 금속모델들은 금장도금 밑에 은장도금으로 되었고 큰 글자로 생크부분에 팁 홋수를 찍었다. 이것에는 'long body'와 'standard ' 그리고 'NY' 모델이 있다. 아래의 그림에서보면 현재의 'NY Otto Link' 모델을 맨위에있고 그아래 1980년대의 'long body' 모델과 맨아래, 위의 것들과의 비교를 위해 'Florida model' 사진을 실었다.
하드러버의 테너 피스는 좀더 어두운 소리로 배플이 시작되는 바로 뒤에 거의 오목한부분이 있다. 알토용 피스의 경우 배플을 많이 두어(특히나 하드러버피스의 경우...) 마치 얼리바빗 하드러버에서처럼 쏘는 소리가 많이난다. 아래의 것은 테너용 피스 사진임.
Meyer Mouthpieces
[MEYER "TRUE FLEX" FACING]
이게 최초의 Meyer Brothers의 마우스피스로, 뉴욕에서 만들어졌다. 이 넘들은 피스테이블위를 파내어 'Meyer "True Flex" Facing'이라는 글을 써서 그곳에 끼워넣었다. 파낸 곳에서 리드가 더 자유롭게 진동되도록 고안한 것 이지만 이 개념은 그리 잘 맞아 떨어지지 않았는데, 이는 리가춰가 이 파내어진 부위 바로 위에서 부드러운 리드를 아래로 압착해서 리드를 변형시키기 때문이였다. 젖은 리드의 바닥은 퍼져서 테이블로 침착하였기에 리드 바닥이 더욱 변형이되었고 평평해지지 않았다.
이 것들은 챔버 사이즈가 표시되지 않았는데 뒤에 나온 'Meyer Brothers' 피스의 챔버보다는 약간 컸었고 따라서 투사력과 치고나가는 맛이(projection and punch...이거 전문용어로 어케 해석???..ㅠ.ㅜ..) 약간 약했다. 'MeYer'라고 피스 뒤에 길이로 적어넣었다. 아주 드믄 버전으로 투명 플라스틱제품도 있는데 그 점 이외엔 "True Flex"모델과 동일하다.
[Vintage Meyer Metal Mouthpiece:(빈티지 메이어 금속피스)]
'Ike Quebec'(유명연주자의 이름)은 그의 'Buescher Aristocrat' 테너 색소폰에 이 것들중 하나를 사용했었다. 추측컨대 그건 아마도 오래된 구형의 'Otto Link' - 외벽이 잘 파여진 형태의 Master Link가 아니였을까한다.
이것- 메이어금속피스는 단단한 은과 황동으로 매우 잘 마감되어졌고 슬라이드형태의 리가춰가있는 피스였다. 클라리넷용 으로도 있었는데 그것은 안쪽 벽과 챔버가 둥글게 만들어져 색서폰 피스와 비슷하게 만들어진 독특한 형태의 피스다.
[Meyer Brothers New York:(메이어브라더스뉴욕)]
메이어피스중 가장 많이 희구되는 피스가 'Meyer Bros'의 뉴욕 모델이다.
이것들은 뚱뚱한 바디(fat-body)에 small, medium, large 챔버의 것들이 있는데 스몰챔버는 아주 밝은 소리를, 그리고 라지챔버는 아주 어두운 소리를 갖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미디엄' 챔버를 선호한다. 하지만 '라지'나 '스몰' 챔버 역시 아직도 매우 좋은 연주를 들려주는 피스들이다. 이 피스들은 마감이 아주 잘(excellent)되어있다. 이 것 들은 내부 벽이 아주 둥글게 만들어져있고 팁 부분에서 작은 roll-over형 배플을 갖고있다. 메이어브라더스의 피스들은 아주 좋은 품질의 하드러버 재질을 사용하였기에 풍성(rich)한 사운드를 만들어낸다고 한다.
공식적으로 'Meyer Bros.' 피스는 세가지 챔버사이즈로 발매되었다고는 하나 실지로는 네가지 모델이 있었다.
네번째가 또다른 '스몰쳄버' 모델인데 스몰챔버 모델 두가지 다 'small-chamber라 표기되었지만 다른 하나는 또 다른 것과 비교하여 아주 작은 챔버를 갖었다. 아래의 사진 중 위의 두개는 두가지의 '스몰챔버' 모델이다. 위에서 왼쪽의 모델은 매우 높은-플로어(high-floor)와 챔버의 뒷쪽도 높은형태를 가졌고 Bore구경 보다는 작은 구경의 둥근형태로 되어있다. 위에서 오른쪽의 '스몰챔버'피스 역시 '하이플로어'이지만 챔버의 뒷쪽은 실제로 bore 구경과 같은 구경으로 연결되어있다.
'미디엄'이나 '라지'쳄버 모델 모두 챔버의 뒷편은 Bore구경과 같은 사이즈였는데 차이라면, 플로어의 높이와 피스 내부 벽같의 거리가 다르다는 것뿐이다. 그것이 '라지'챔버는 '미디엄'과 비교해서 뚜렸하게 컸다. 하지만 흥미로운 것은 '스몰'중 큰 넘과 '미디엄'과 '라지' 챔버는 보기에도 비슷했고 연주를 해도 비슷했다는 것이다.
알토용 피스에 있어서 최고로 대중적인 모델은 '미디엄'쳄버로, 아주 전통적인 음색을 가지고있다. 하지만, 모든 모델이 연주에는 최적이다. 테너용은 알토용 만큼 거의 대중적이진 못하지만 특별히 '스몰' 이나 '라지'쳄버는 매우 특별하고 유니크한 사운드를 갖는 피스들이다. 두가지 모두 아주 희귀하다
'Meyer Bros.(메이어브로스)' 피스는 두가지 빈티지가 내려오는데 초기버전은 챔버사이즈가 테이블 밑에 생크 윗부분에 'chamber'라는 문자와 함께 마크되어있다. 예를 들자면 "MEDIUM CHAMBER" - 뭐 이런 식이다.
후기버전은 피스의 뒷편에 'Meyer Bros'라는 로고 밑 생크 부분에 챔버사이즈를 마크했다. 그 것은 단지 'SMALL', 'MEDIUM,' 'LARGE' 라고만 적었다. 이 넘들은 약간 생크가 길었지만 전체적인 피스의 길이는 똑같았다(전기나 후기 모델 모두...)
Meyer Mouthpiece Boxes:(메이어피스용 상자)
메이어용 상자는 두가지 종류가있다. 'True Flex' 피스와 초기의 'Meyer Bros.' 피스용 상자는 아래 사진중 왼쪽것이고, 후기의 '메이어브로스'용 상자는 오른쪽 사진이다.
Meyer New York USA: Early Model:(메이어 뉴욕 USA ; 초기모델)
이 피스들은 '메이어브로스'의 둥근 내벽과 롤-오버 배플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피스의 몸체는 얇아졌다. 얇아진 바디(THIN-BODY)는 매우 좋은 공명을 만들어내지만 이로써 메이어피스의 천성적인 견고함은 포기해야했다. 그러나 많은 연주자들이 이런 공명성을 좋아한다.
초기의 모델은 외관상 후기의 NYUSA모델과 동일해 보인다. 다만 차이라면 피스 내부를 아주 잘 둥근 내벽으로 만들었다는 것.
Meyer New York USA: Late Model: (메이어 뉴욕 USA ; 후기모델)
이 피스들은 외관상 초기의 뉴욕USA모델과 똑같아보이나, 내부는 아주 달랐다. 후기 모델은 초기의 것보다 내벽이 보다 덜 둥글게 만들어졌으나 배플의 양은 동일했다. 피스 내부의 마감은 훌륭했지만 초기의 것보다는 못했다.
Meyer "Made in USA" Model:(메이어 "Made in USA" 모델)
이게 현재 만들어내는 피스이며 과거엔 1970년까지 '바빗'팩토리 만들어졌었다. 이들은 거의 삼각형의 챔버를 구성하는 편평한 내벽을 가지고있다. 이들이 빈티지 메이어피스 에서는 변경되었지만, 일반적으로 동일한 컨셉을 가지고있고 아직도 좋은 알토용 피스들이다. 이들은 아직도 알토용 피스 업계에서는 스탠다드로 되어있다.
Meyer New York Limited Edition Mouthpiece:
'메이어'측에 의하면 이 피스들은 오래된 '뉴욕피스'의 복제본이라고 한다.
그들은 현재의 그것과는 다른 종류의 러버컴파운드를 사용했고 그래서 한정판으로 이들을 만들었다고...챔버 형태는 후기의 '뉴욕USA'모델과 아주 유사하며 이 피스들에 대한 마감 작업은 스탠다드의 것보다 더 잘 처리되었다.
**잘 활용들 하세요...^^*
Dmitri Shostakovich - Jazz Suit No.2 IV 'Waltz II'
[BAFFLE형태별 사운드 비교]
1. The Straight Baffle(스트레이트형 배플)
스트레이트형 배플은 모든 음역대에서 매우 일정한 사운드를 나타내며 거의 -절대로- 거칠거나 아주밝은 소리를 내진 않는다.
2. The Roll-Over Baffle(롤-오버 배플)
롤-오버 배플은 날카롭거나 그르렁대는 소리를 갖는데, 대부분의 재즈 연주자들이 선호하는 타입이다.
3. The Step Baffle(스텝 배플)
스텝형태로 롤-오버형이 아닌 피스는 밝은 사운드를 내도록 만들어졌다. 이 넘들은 역시 모든 배플형태에서 최고의 쏘는 소리를 갖는다. 이 형태는 데이브과데라의 마이클브레커 모델로 인해 유명하게 되었다.
4. The Concave Baffle
이것은 아주 희귀하고도 드물게 사용된 배플로, 매우 어둡고 거의 둔한 톤을 만들어내며 극단적으로 프로젝션性이 없다. 그래서 그것은 거리를 두고 들어보면 어택이 강하지않고 사운드도 둔하다. 따라서 너무 밝게 연주하는 경향이 있는사람들에게나 혹은 매우 어두운 연주나, no projection이나, 약간의 back pressure를 추구하는 이에게 적당하다.
5 요약 하자면...
부는스타일, 구강 내부구조, 복압, 앙부쉬어 등의 모든 것들이 연주자가 창조해내는 결과적인 사운드에 영향을 준다. 마우스피스의 배플의 역활은 연주자의 부는스타일..등등 의 factor와 함께 아주 중요하다.
당신은 어떤 유명연주자와 같은 소리를 내고싶어서 그와 똑같은 셑-업으로 시도했지만 그와 같은 소리를 내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달은적은 없는가? 이것은 모두 위에서 언급한 모든 팩터들 때문인 것이고, 이것이 또한 그들의 앨범이나 sound-bite에서 그들의 셑업을 카피한것 만으론 충분히 작동하지 않는 이유인 것이다.
배플을 조정하고 -그러나 피스의 다른 부분은 그대로 남겨두면, 통상적으로 그러한 차이점들이 보완될 것이다. 실로, '배플'은 전체 색서폰과 마우스피스의 컴비네이션에 있어서 진정으로 아주 마력적이면서(magical) 흥미로운 부분이다
*** 아래에 네가지 배플 형태를 비교목적으로 나란히 게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