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고분과 의식주 문화(3) |
◈학습 목표◈ ◆고분이 고대인의 정신의 산실임을 이해할 수 있다. ◆고분에서 발굴된 유물에 역사적 상상력을 펼쳐 고대인의 생활을 유추해 낼 수 있다. |
1) 신분에 따라 다양한 삶을 살다
① 의생활: 신분에 따라 의복이 다름(남녀 모두 저고리와 바지)
귀족 | 비단, 명주실로 짠 직물옷, 금속 장식의 장신구 착용 |
평민 | 실로 짠 베옷 |
② 식생활: 농경의 발달에 따라 먹거리가 풍성해짐, 솥과 시루에 삶고 찌고, 토기에 조리
귀족 | 6세기 이후 벼농사가 확대되면서 소수 지배층은 쌀이 주식 사냥과 사육으로 얻은 가축과 과일, 해산물이 부식 |
평민 | 콩, 보리, 조, 수수가 주식 가뭄 시에는 도토리나 나무껍질 |
③ 주생활: 기능과 신분에 따라 다양
쪽구들(온돌)을 깔고 부뚜막과 아궁이를 이용해 난방과 조리
귀족 | 기와집(탁자와 침상, 고깃간, 수레간, 곡식 창고를 갖춤) |
평민 | 초가집, 귀틀집, 다락집 |
|
|
*신라 금령총에서 출토된 도제 기마 인물상이다. 신라의 신분제도를 뚜렷이 알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앞은 주인이며 뒤의 기마상은 종자이다. 특히 이 기마상들은 신라의 복식을 연구하는 기본 자료이다. |
|
1. 다음은 대만 국립 고궁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당나라 때 화가 염립본(?∼673)이 그린 '왕회도' 중 고구려, 백제, 신라 사신들의 모습을 복원해 그린 것이다. 그 중 고구려 사신은 어느 사람일까? 그 근거는 무엇인가?
|
1-1. 이미 본 적이 있는 벽화입니다. 어느 나라 어느 고분의 것인지 적어 보세요. 정답은 게시물 가장 아래에 있습니다. |
|
1-2. 가야 복천동 고분에서는 위의 화려한 귀걸이가 아니라, 소탈한 모양의 귀걸이들이 발굴되었다. 이를 통해 역사학자들은 어떤 사실을 알 수 있었을까? 답을 구성했다면, 아래 그림을 눌러보자. 답과 직접 연관된 사진을 볼 수 있다. 정답은 게시물 가장 아래에 있습니다. |
삼국시대에 귀족들은 탁자에 음식을 차려 먹었다. 고구려 벽화에는 손님 맞이 상을 준비하는 주인장과 하인의 모습을 크기에서 부터 다르게 그리고 있어 고구려가 신분제 사회 임을 보여준다. 또 식탁 위의 음식이 산처럼 쌓여있어 귀족들은 먹을 것도 풍부했음을 잘 알 수 있다.
|
|
*삼국 시대 사람들이 사용하던 조리 도구와 식기류이다. 상식과 순발력을 발휘하여 답을 적어 보자.
|
1-6. 한성백제박물관 전시관에서 볼 수 있는 한성에 살던 백제인들의 밥상이다. 귀족의 밥상인지, 평민의 밥상인지 적으시오. 이 밥상은 의 밥상이다. 이 밥상은 의 밥상이다. |
*아래 자료를 보고 고구려 귀족집의 부엌과 창고에 대해 아래 필수 단어를 넣어 설명해 보자. [부뚜막, 아궁이, 고기, 수레, 창고, 반려견] 고구려 안악 3호분 벽화 |
* 발굴된 고구려 부뚜막이다. 아래 아궁이와 부뚜막 그림을 보고 고구려인들의 부엌 모습을 상상해 보자. 평안북도 운산군 동신면 용호동 1호 무덤 출토 고구려 부뚜막 국립민속박물관 자료 |
2-1 고구려, 신라, 가야의 집을 알 수 있는 토기들이 남아 있다. 여러분의 신통력을 테스트 해 보자. 아래 집들 중 고구려인의 기와집은 몇번 일까? 또 아래 두집 같은 다락집은 어떻게 집 안으로 들어갈까? 현대에도 높은 곳에 올라갈 때 쓰는 도구이다. 교과서 36쪽을 참고하여 3글자로 발표해 보자. [고구려 집은 번 이다. 아래 집들은 을 이용하여 집안으로 들어간다.] 2-2 교과서 36쪽에 나와 있는 대구 달성 현풍 출토의 집이다. 교과서를 참고하여 답해 보자. 아래 집은 지붕을 무엇으로 덮었을까? 또 이런 집을 흔히 무슨 집이라고 하는가? [이 집의 지붕은 으로 덮었다. 이런 집들을 이라고 부른다]
2-3 지붕 위 동물은 무엇이며, 무엇을 하려는 모습을 집모양 토기에 나타냈을까? 정답은 게시물 가장 아래에 있습니다. |
*한성백제박물관에서 구현한 백제인의 집 상상도이다. 현대의 원룸같은 구조이다. |
*백제 부여 왕궁리 유적에서는 대형 화장실이 발굴되었다. 정말 이런 모습이었을까? 무엇을 근거로 이런 복원도가 탄생했을까? 이 화장실에서 어떻게 여성들이 용변을 볼 수 있었을까? 화장지가 없던 시절, 어떻게 뒷처리를 했을까? 역사, 정말 흥미롭도다!!
2003년 4월부터 익산 왕궁리유적을 발굴하던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조사단은 아주 큰 규모의 구덩이를 찾아냈다. 길이가 10.8m나 되고 폭 1.7~1.8m에, 잔존깊이가 3.1m나 되는 대형 지하구덩이였다.구덩이에서 기와와 토기, 짚신, 나무자재와 나무막대를 비롯해 밤껍질이나 콩류, 참외씨 등이 나왔다. 무엇보다 수분이 가득 포함된 유기물이 두껍게 쌓여있었다. 이런 경우 과일이나 곡물, 물을 저장하는 지하창고로 판단하는 게 보통이었다. 조사단도 마찬가지였다. 도드래를 연결하여 유기물 흙을 파내기 시작했다. 그런데 좀 이상했다. 유기물에서 지독한 악취가 풍겼다... - 경향신문 202.9.19. 이기환 기자의 흔적의 역사 '백제 화장실에서 맡는 인간의 냄새' 기사 중에서 아래 복원도 그림을 누르면 용변 중인 백제인을 만날 수 있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2011년 제작한 부여 왕궁리 유적 대형 화장실복원도 |
|
귀찮다 하지 말고 아래 그림을 클릭해서 가보면, 질문이 한번에 해결된단다!" https//cafe.daum.net/edusonghistory/1hwL/28 |
*고구려에는 곡예단 공연도 있었다. 나들이를 가서 곡예단을 초청하여 주인 부부와 시종들이 함께 즐기는 광경이 고구려 수산리 고분 벽화에 남아 있다. 벽화 속의 그림을 통해 고구려인의 여가 생활과 놀이 문화를 이해해 보자. 고구려 평안남도 남포시 강서구역 수산리 고분 벽화 속의 곡예단 공연 * 마지막으로 질문 하나 더! 위 그림에서 일산이라고 하는 햇빛을 가리는 우산을 들고 있는 여성들과 곡예단은 왜 난장이 같이 그려져 있을까? 정답은 게시물 가장 아래에 있습니다. |
◐과제 부과◑ ‘모둠 과제로 삼국 시대와 가야 중 한 나라를 선택하여 대형 전지에 의식주 생활 모습을 상상하여 그린 후 채색까지 하여 제출할 것'
|
1. ♪♬고구려는 절풍이라는 모자를 쓰고 머리에 깃털을 꽂아 장식한답니다. 3번 사신이 머리에 깃털을 꼽고 있으니 정답은 3번입니다.~~♪♬
1-1. ♪♬너무 쉬웠나요? 춤무덤 혹은 무용총 벽화입니다. 정말 물방울 무늬 옷이 화려하지요?~~♪♬
1-2.♪♬삼국시대에 귀걸이는 흙수저인 평민들도 했답니다. 링크한 사진은 순장 무덤에서 발굴된 하녀 송현의 인골한 것인데
유골의 귀 부분에 있던 귀걸이를 복원 그림에 달아 주었어요♪♬
1-3.♪♬삼국시대 사람들이 먹던 곡식은 쌀, 조, 팥, 콩이며 부식으로는 소, 돼지, 사냥으로 잡은 사슴 고기를 먹었다♪♬
1-4.♪♬생선 요리, 닭 요리, 삶은 계란, 감, 밤, 복숭아 등의 과일을 차려 내왔겠지요~♪♬
1-5.♪♬1.시루 2.솥 3. 칸 4.세발 5. 절구 6. 맷돌 7. 삼각형 8. 도마 9. 왕 10.주전자♪♬
1-6.♪♬귀족, 평민♪♬
2-1. ♪♬고구려 집은 1번, 사다리를 통해 들어갑니다.♪♬
1번은 고구려 평양시 평양 철토 부근 출토 집모양 토기
2번은 신라 경주 북군동 기와집모양 토기, 단 8세기 것이므로 통일신라 기와집 형태일 수 있음
3번은 가야 창원 다호리 집 모양 토기
4번은 가야 함안 말이산 집 모양 토기
가장 아래 집은 가야 대구 달성 출토 집 모양 토기
2-2 .♪♬짚, 초가집♪♬
2-3.♪♬고양이, 토기에 2마리의 쥐가 조각되어 있어요. 바야흐로 쥐를 잡으려고 하고 있지요.♪♬
반영하는 것입니다.♪♬
3. ♪♬풍납토성 안에서 제사 지내는 의식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우물에 토기를 던져 넣어 제사를 지낸
사례가 있다고 하는군요. 삼국인의 신앙 생활을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발굴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