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음과 정신을 맑게하고 피로회복과 스트레스 해소 탁월
인자요산(仁者樂山)
옛부터 어진 사람은 의리에 만족하여 몸가짐이 무겁고 덕이 두터워
그 마음이 산과 비슷하므로 자연히 산을 좋아한다고 하였다.
풀색이 피로를 풀고 지구력을 높인다
풍요한 숲속에서 피로는 60퍼센트가 빨리 회복되고 지구력은 15퍼센트나 더 높아 진다.
숲속을 걸으면 기분이 상쾌해 진다는 것은 의학적으로 뒷받침되어 있다.
예로부터 산을 좋아하는 사람이 건강하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풀잎냄새를 맡게되면 보통 공기만을 들이쉰 사람보다 물질대사가 좋아진다.
나뭇잎이나 풀잎에서 나는 '피톤치드'라는 향기의 성분에는 '테르펜유, 알데히드류, 에스테류'등이 있는데
이것이 후각세포를 자극하고 교감신경을 활성시키므로 대사과정이 좋아진다.
도시 사람 가운데서 성인병이 많은 원인의 하나가 바로 녹색식물의 향기를 마시는 양이 급격히 줄어든데 있다고 한다.
큰나무를 끌어 안으면 마음이 상쾌해진다.
자료에 의하면 큰나무를 끌어 안으면 몸에서 기묘한 작용이 일어나는데
큰나무를 끌어 안은 후 심리압력이 재빨리 줄고 그날의 정서가 안정되며 정신이 맑아 진다. 전자기술을 도입하여 몸과 큰나무가 한덩어리로 되면 몸에서 마음을 불쾌하게 하는
호르몬인 '아드레날린'이 빨리 없어지고
사람들의 정신을 분발시키는 호르몬이 즉시 생긴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람은 1년에 적어도 200시간은 자연속에서 지내는 것이 좋다.
다섯가지 색깔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푸른색은 간에 들어가 작용한다.
(간장+쓸개+나무+신맛+푸른색+화내는것+근육+봄+바람+동쪽+눈+외치는것+지리고누린내+눈물)
2, 붉은색은 심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심장+소장+불+쓴맛+붉은색+기쁨+피+여름+열+남쪽+혀+말하는것+단내+땀)
3, 노란색은 비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비장+위+흙+단맛+노란색+생각+살+늦여름+습기+중앙+입+노래하는 것+향기로운냄새+입속에 침)
4, 흰색은 폐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폐장+대장+쇠+매운맛+흰색+슬픔+피부+가을+건조+서쪽+코+우는것+비린내+콧물)
5, 검은색은 신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신장+방광+물+짠맛+검정색+두려움+뼈+겨울+추위+북쪽+귀+신음하는것+썩는냄새+가래)
여덟가지 맛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신맛은 간에 작용하여 수렴작용을 한다. 심장 동력의 절약, 축적을 한다. 물질은 거두어 들인다.
2, 쓴맛은 심장에 작용하여 조한 것을 없앤다. 심장의 동작을 억제하고 가라앉힌다.
물질을 굳히고 열을 빼앗는다.
3, 단맛은 비장에 작용하여 조화시키고 완하시킨다. 영양을 돕고 보혈하며 소화기를 부드럽게한다.
긴장을 완화한다.
4, 매운맛은 폐장에 작용하여 눅혀주고 퍼져나가게 한다.
혈액순환을 왕성히하고 호흡을 깊게하고 조온한다. 발산하고 따뜻하게 한다.
5, 짠맛은 신장에 작용하며 굳은 것을 부드럽게하고 녹인다.
피를 부드럽게하고 급한 것을 늦춘다.
물질을 부드럽게 만들거나 축축하게 한다.
6, 싱거운맛은 7규를 잘 통하게 하고 배설을 잘하게 한다.
7, 향내나는 맛은 비장에 작용하고 땀을 내고 피를 맑게한다. 기분을 경쾌하게 한다.
8, 담백한 맛은 신장에 작용하고 피를 안정시키고 잘 스며들 게 한다.
건강색과 건강하지 않은 색
1, 붉은색: 생기있다(심기왕성) 생기없다(심기쇠약)
2, 흰 색: 생기있다(폐기왕성) 생기없다(폐기쇠약)
3, 누른색: 생기있다(비기왕성) 생기없다(비기쇠약)
4, 푸른색: 생기있다(간기왕성) 생기없다(간기쇠약)
5, 검은색: 생기있다(신기왕성) 생기없다(신기쇠약)
승강부침(升降浮沈)
1, 가볍고 속이 빈 것은 뜨고 올라가며 무겁고 속이 실한 것은 가라앉고 내려간다.
2, 맛이 희박한 것은 올라가고 생기게 한다.(봄을 상징한다.)
기가 희박한 것은 내려가고 수렴한다.(가을을 상징한다.)
기가 진한 것은 떠오르고 자라게 한다.(여름을 상징한다.)
맛이 진한 것은 가라앉고 감춘다.(겨울을 상징한다.)
3, 맛이 슴슴한 것은 변화하고 번성하게 한다.(늦은 여름을 상징한다.)
4, 기와 맛이 모두 희박한 것은 뜨고 올라가며 맛이 후하고 기가 희박한 것은 가라앉고 내려간다.
맛이 희박하고 기가 후한 것은 뜨기도 하고 가라앉기도 한다. 기와 맛이 모두 후한 것은 내려간다.
5, 신 것과 짠 것은 올라가지 않으며 매운 것과 단 것은 내려가지 않는다.
찬 것은 뜨지 않으며 더운 것은 가라앉지 않는다.
약초의 위와 아래, 속과 겉의 작용
1, 흙속에 있는 뿌리에서 그의 절반 위쪽은 약기운이 위로 올라가고 절반 아래는 밑으로 내려간다.
2, 가지로 된 약의 기운은 주로 팔다리로 간다.
3, 껍질로 된 약의 기운은 주로 피부로 간다.
4, 속대가 있는 줄기약은 주로 속으로 들어가고 또 장부로 들어간다.
5, 질이 가벼운 것은 위로는 심장과 폐에 들어가 작용하고 아래로는 간과 신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6, 속이 빈 약은 발산시키는 작용을 한다.
7, 속이 실한 약은 속을 다스린다.
8, 마른 약은 기에 간다.
9, 윤택한 약은 혈에 간다.
5미상극(五味相克)
1, 신맛을 가진 약초는 근육 즉 힘줄을 상한다.
신맛은 졸아들 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힘줄을 가드라들 게 한다.
매운맛은 신맛을 이긴다.
2, 쓴맛은 기를 상한다. 또는 기를 사한다. 짠맛은 쓴맛을 이긴다.
3, 단맛은 살을 상한다. 단맛은 늘어지게 한다. 신맛은 단맛을 이긴다.
4, 매운맛은 피모를 상한다. 주리를 열어서 발산시킨다. 쓴맛은 매운맛을 이긴다.
5, 짠맛은 혈을 상한다. 짠맛은 배설시킨다. 단맛은 짠맛을 이긴다.
다섯가지 병에 금하는 것(五病所禁)
1, 신맛이 있는 약기운은 근육 즉 힘줄에 작용하여 힘줄을 가드라들 게 한다.
2, 쓴맛을 가진 약기운은 뼈에 작용하여 뼈를 잘 쓰지 못하게 한다.
3, 단맛을 가진 약기운은 살에 작용하여 기가 몰키게 한다.
4, 매운맛을 가진 약기운은 기에 작용하여 기가 더욱 허해지게 한다.
5, 짠맛을 가진 약기운은 혈에 작용하여 혈을 엉키게 하고 갈증이 생기게 한다.
오장에 대한 오미의 보사
1, 간장
간이 몹시 조여들면 급히 단맛이 있는 감초를 써서 완화시켜주고
신맛이 있는 메함박꽃뿌리를 써서 사해주어야 한다.
간이 실하면 감초를 써서 간의 아들격이 되는 심장을 사해준다.
발산시키려면 매운맛이 있는 궁궁이를 써서 흩어지게 하고 매운맛을 가진 족두리풀을 써서 보한다.
간이 허하면 지황, 황경피로 간의 어머니 격이 되는 신장을 보한다.
2, 심장
몹시 늘어져 있으면 급히 신맛을 가진 오미자를 써서 수렴하고 단맛을 가진 감초, 인삼, 단너삼을 써서 사해준다.
심장이 실하면 감초를 써서 심장의 아들격이 되는 비장을 사하고 연하게 하려면 급히 짠맛을 가진 망초를 쓴다.
짠맛을 가진 약을 가지고 보하려면 택사를 쓴다.
심장이 허하면 생강을 써서 심장의 어머니격이 되는 간장을 보한다.
3, 비장(지라)
비장이 몹시 습하여 괴로워 할 때는 급히 쓴맛을 가진 흰삽주를 써서 마르게 하며 쓴맛을 가진 황련을 써서 사한다.
비장이 실하면 뽕나무뿌리 껍질을 써서 폐를 사하고 완화시키려면
급히 단맛을 가진 감초를 쓰며 단맛을 가진 인삼으로써 보한다.
비장이 허하면 볶은 소금을 써서 어머니격이 되는 심장을 보한다.
4, 폐장(허파)
기가 몹시 치밀어 오를 때는 급히 쓴맛을 가진 가자를 써서 내리눌러야 하며
매운맛을 가진 뽕나무뿌리 껍질을 써서 사해야 한다.
폐가 실하면 택사를 써서 그 아들격이 되는 신을 사하고 수렴시키려면
급히 신맛을 가진 백작약을 써서 수렴하고 신맛을 가진 오미자로 보할 것이다.
폐가 허하면 오미자를 써서 그 어머니격이 되는 비장을 보한다.
5, 신장(콩팥)
몹시 마르면 급히 매운맛을 가진 황경피와 지모를 써서 눅혀주며 짠맛을 가진 택사를 써서 사해야 한다.
신이 실하면 백작약을 써서 그 아들격이 되는 간장을 사하며 든든하게 하려면
급히 쓴맛을 가진 지모를 쓰고 또한 쓴맛을 가진 황경피를 써서 보한다.
신장이 허하면 오미자를 써서 그 어머니격이 되는 폐를 보한다.
임신부 금기약
1,오두 2,부자 3,천웅 4,오훼 5,측자 6,야갈 7,양척촉 8,육계 9,천남성 10,끼무릇 11,파두 12,버들옻 13,원화 14,박새뿌리 15,미어 16,율무쌀 17,쇠무릎풀 18,주염나무열매 19,나팔꽃씨 20,후박 21,회화나무열매 22,복숭아씨 23,모란뿌리껍질 24,꼭두서니뿌리 25,당근 26,띠뿌리 27,마른옻 28,패랭이꽃 29,려여 30,천마싹 31,삼릉 32,견초 33,화살나무 34,통초 35,홍화씨 36,소목 37,보리길금 38,아욱씨 39,대자석 40,상산 41,수은 42,석분 43,노사 44,비석 45,망초 46,유황 47,석잠 48,석웅황 49,거머리 50,등에 51,원청 52,반묘 53,지담 54,거미 55,도루래 56,왕지네 57,갈상정장 58,의어 59,뱀허물 60,도마뱀 61,비생 62,자충 63,저계 64,책선 65,굼벵이 66,고슴도치가죽 67,우황 68,자향 69,자황 70,토끼고기 71,게발깍지 72,개고기 73,말고기 74,나귀고기 75,양간 76,잉어 77,하마 78,추선 79,게 80,거북이와 자라 81,생강 82,달래 83,참새고기 84,마도
(출처: 중국 "본초강목")
같이 먹어서는 안되는 음식물들(음식금기)
1, 돼지고기에는 생강, 메밀, 아욱, 고수, 매화열매, 볶은콩, 쇠고기, 말고기, 양의 간, 노루고기, 사슴고기, 자라고기, 메추리고기, 나귀고기, 남생이고기등을 금한다.
2, 돼지간에는 물고기회, 메추리고기, 잉어창자등을 금한다.
3, 돼지염통과 폐에는 엿, 백화채, 오수유 등을 금한다.
4, 양고기에는 매화열매, 팥, 콩장, 물고기회, 돼지고기, 메밀, 식초, 젖졸임, 물고기, 젓갈 등을 금한다.
5, 양의 염통과 간에는 팥, 생후추, 고순, 매화열매를 금한다.
6, 흰개의 피에는 양고기와 닭고기를 금한다.
7, 개고기에는 마늘, 소창자, 잉어, 두렁허리 등을 금한다.
8, 당나귀고기에는 오리고기, 지치, 형개, 차, 돼지고기를 금한다.
9, 소고기에는 기장쌀, 부추, 염교, 밤, 생강, 돼지고기, 개고기를 금한다.
10, 소간에는 메기를 금한다.
11, 소젖에는 생선과 신 것을 금한다.
12, 말고기에는 묵은쌀, 생강, 돼지고기, 도꼬마리열매, 입쌀, 사슴고기를 금한다.
13, 토끼고기에는 생강, 귤껍질, 겨자가루, 닭고기, 사슴고기, 수달의 고기 등을 금한다.
14, 노루고기에는 매화열매, 추리, 생채, 집비둘기고기, 새우 등을 금한다.
15, 사슴고기에는 생채, 고포, 포어, 닭고기, 꿩고기, 새우 등을 금한다.
16, 닭고기에는 마늘, 겨자가루, 생파, 찹쌀, 추리씨, 물고기즙, 개고기, 잉어, 토끼고기, 수달
의 고기, 자라고기, 물닭고기 등을 금한다.
17, 계란은 16번의 닭고기 금기와 같다.
18, 꿩고기에는 메밀, 나무에 돋는 버섯인 목이버섯, 마고, 호두, 붕어, 돼지간, 은어(점어), 사슴고기를 금한다.
19, 물오리고기에는 호두, 나무에 돋는 버섯을 금한다.
20, 오리알에는 추리씨와 자라고기를 금한다.
21, 메추리고기에는 균자(菌子), 나무에 돋는 버섯을 금한다.
22, 참새고기에는 추리씨, 장, 생간을 금한다.
23, 잉어에는 돼지간, 개고기, 닭고기를 금한다.
24, 붕어에는 맥문동, 겨자가루, 마늘, 엿, 돼지간, 닭, 꿩, 사슴, 원숭이의 고기 등을 금한다.
25, 청어에는 콩과 미역을 금한다.
26, 황어에는 메밀을 금한다.
27, 농어에는 졸인젖을 금한다.
28, 철갑상어에는 마른참대순을 금한다.
29, 회어에는 멧돼지고기와 물닭고기를 금한다.
30, 메기에는 소간, 사슴고기, 멧돼지고기를 금한다.
31, 황상어에는 형개를 금한다.
32, 미꾸라지와 두렁허리에는 개고기를 금하며 뽕나무불로 끓이지 말아야 한다.
33, 젓갈에는 콩, 미역, 보리, 장, 마늘, 녹두를 금한다.
34, 물고기생선에는 소젖과 신 것을 금한다.
35, 자라고기에는 비름, 박하, 개채, 복숭아씨, 계란, 오리고기, 돼지고기, 토끼고기를 금한다.
36, 게에는 형개, 감, 귤, 대추를 금한다.
37, 새우에는 돼지고기, 닭고기를 금한다.
38, 등과 귤에는 빈랑과 수달의 고기를 금한다.
39, 추리에는 꿀, 신좁쌀죽옷물, 오리고기, 참새고기, 닭고기, 노루고기를 금한다.
40, 복숭아에는 자라고기를 금한다.
41, 대추에는 파, 물고기를 금한다.
42, 비파잎에는 더운국수를 금한다.
43, 양매에는 생파를 금한다.
44, 은행씨에는 뱀장어를 금한다.
45, 자고에는 오수유를 금한다.
46, 여러 가지 오이류에는 기름떡을 금한다.
47, 사탕에는 붕어, 참대순, 규채를 금한다.
48, 메밀에는 돼지고기, 양고기, 꿩고기, 황어를 금한다.
49, 기장쌀에는 규채, 꿀, 소고기를 금한다.
50, 녹두에는 잉어회와 비자를 금한다.
51, 볶은콩에는 돼기고기를 금한다.
52, 생파에는 꿀, 닭고기, 대추, 개고기, 양매 등을 금한다.
53, 부추와 염교에는 소고기와 꿀을 금한다.
54, 고수에는 돼지고기를 금한다.
55, 호산(胡蒜)에는 물고기회, 물고기젓갈, 붕어, 닭고기, 개고기를 금한다.
56, 비름에는 고사리와 자라고기를 금한다.
57, 백화채에는 돼지염통과 허파를 금한다.
58, 매화열매에는 돼지고기, 양고기, 노루고기를 금한다.
59, 오리와 지치에는 나귀고기를 금한다.
60, 생강에는 돼지고기, 소고기, 말고기, 토끼고기를 금한다.
61, 겨자에는 붕어, 토끼고기, 닭고기, 자라고기 등을 금한다.
62, 마른참대순에는 사탕, 철갑상어, 양의 염통과 간을 금한다.
63, 나무에 돋은 버섯에는 닭고기, 물오리, 메추리 고기를 금한다.
64, 호두에는 물오리와 꿩 고기, 술을 금한다.
65, 밤에는 소고기를 금한다.
66, 홍시에는 술을 금한다.
67, 감과 배에는 게를 금한다.
68, 꿀에는 파, 상추를 금한다.
(출처: 중국 "본초강목")
병치료에 해로운 음식물
1, 열병을 앓은 뒤에는 순채를 먹지 말것이다.
2, 고질병이 있으면 곰고기를 일생동안 먹지 말 것이다.
3, 목욕전에는 복숭아를 먹지 말것이다.
4, 죽을 먹은 뒤에는 끓인물을 먹지 말것이다.
5, 뜨거운 고기국을 먹은뒤에는 찬물을 먹지 말것이다.
약을 만들 때 금기하는 것
1, 철을 금기하는 약
뽕나무뿌리껍질, 뽕나무가지, 뽕나무겨우살이, 석창포, 익모초, 모과, 향부자, 꼭두서니, 모란뿌리껍질, 두충, 지모, 황경피, 천문동, 인동덩굴, 백마경, 용담초, 나무에 달린채로 마른 복숭아, 골쇄보, 구기자뿌리껍질, 저령 등이다.
2, 구리를 금기하는 약
육두구
3, 구리와 철을 금기하는 약
지황, 은조롱, 현삼, 시호, 몰식자
4, 소금을 금기하는 약
모든 뿔로 된 약
5, 불을 금기하는 약
뽕나무겨우살이, 빈랑, 생당쑥, 모든향 등이다.
약을 먹는 방법
1, 병이 가슴 위에 있으면 식후에 약을 먹는다.
2, 병이 명치아래에 있으면 식전에 먹는다.
3, 병이 팔다리와 혈맥에 있으면 빈 속에 먹는 것이 좋은데 아침 식전에 먹는 것이 더 좋다.
4, 병이 골수에 있으면 배가 부를 때 먹는데 밤에 먹는 것이 좋다.
5, 병이 몸 윗도리에 있으면 약을 센 불로 멀겋게 달여서 천천히 마시는 것이 좋다.
6, 병이 아랫도리에 있으면 약한 불로 진하게 달여서 빨리 마시는 것이 좋다.
7, 병이 윗도리에 있을 때에는 약을 조금씩 여러번에 마신다. 그러면 약기운이 윗도리에 많이 간다.
8, 병이 아랫도리에 있을 때에는 약을 단번에 많이 마신다. 그러면 약기운이 아랫도리로 많이 내려간다.
9, 성질이 찬 약은 덥게 하여 마시고 성질이 더운 약은 차게 해서 먹는 것이 좋다.
성질이 차지도 덥지도 않은 평한 약은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
10, 토할 것 같아서 약을 넘기기 어려울 때에는 천천히 한숟가락씩 먹는다.
11, 신장을 보하는 약은 새벽 4~5시경에 먹는다.
탕약, 산약, 환약, 단약을 만들어 쓰는 방법
1, 병이 몸의 제일 웃 부위에 있으면 약에 술을 더 넣어 달여서 먹는다.
2, 병이 가슴에 있으면 약에 꿀을 더 넣어 달여서 먹는다.
3, 산약이란 보드랍게 가루낸 약이다.
4, 병이 몸아랫도리에 있을 때에는 알약을 아주 크게 만들어 쓴다.
5, 병이 중초에 있을 때 쓰는 알약은 아랫도리의 병에 쓰는 약보다 알을 좀 작게 만들어 쓴다.
6, 병이 윗도리에 있을 때 쓰는 알약은 아주 작게 만들어 쓴다.
7, 된풀로 만든 알약은 더디게 풀리므로 하초에 약기운이 이르게 한다.
8, 술이나 식초로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 것은 헤진 것을 수렴한다.
9, 끼무릇이나 천남성, 습을 없애는 약은 생강즙을 두고 쑨 풀로 알약을 만드는데 그것은 독성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10, 멀건풀로 알약을 만든 것은 먹으면 즉시 풀린다.
11, 꿀로 알약을 만든 것은 더디게 풀리면서 약기운이 경락을 따라 돌아가게 한다.
12, 황랍으로 알약을 만든 것은 약이 오래 풀리면서 효과가 천천히 나타난다.
13, 탕약이란 탕자는 확 씻어내린다는 탕자의 뜻이 있는데 오래된 병을 낫게 한다.
14, 산약이란 산자는 헤쳐 버린다는 뜻이 있는데 급한 병을 낫게 한다.
15, 환약이란 환자는 완만하다는 완자의 뜻이 있는데 병을 천천히 낫게 한다.
16, 단(丹)은 환(丸)보다 크게 만든것이다.
약 먹을 때 같이 먹어서는 안되는 약 재료들
1, 감초를 쓸 때는 돼지고기, 배추, 바다풀 등을 금한다.
2, 황련 및 호황련을 쓸 때는 돼지고기와 찬물을 금한다.
3, 도꼬마리를 쓸 때는 돼지고기, 말고기, 쌀씻은물을 금한다.
4, 도라지, 매화열매를 쓸 때는 돼지고기를 금한다.
5, 선모를 쓸 때는 소고기와 우유를 금한다.
6, 끼무릇, 석창포를 쓸 때는 양고기, 양의 피, 엿을 금한다.
7, 쇠무릎풀을 쓸 때는 소고기를 금한다.
8, 양기석, 운모, 종유석, 노사, 예석을 쓸 때는 모두 양의 피를 금한다.
9, 자리공을 쓸 때는 개고기를 금한다.
10, 주사, 공청, 경분을 쓸 때는 모든 피를 금한다.
11, 오수유를 쓸 때는 돼지염통과 돼지고기를 금한다.
12, 지황과 은조롱을 쓸 때는 모든 피와 파, 마늘, 무를 금한다.
13, 개암풀열매를 쓸 때는 돼지피와 운대를 금한다.
14, 족두리풀과 박새뿌리를 쓸 때는 살쾡이 고기와 생채를 금한다.
15, 형개를 쓸 때는 나귀고기를 금한다. 또한 황복어와 일체 비늘없는 물고기와 게를 금한다.
16, 차조기, 천문동, 주사, 용골을 쓸 때는 잉어를 금한다. 파두를 쓸 때는 멧돼지고기, 물풀순, 갈대순, 장, 약전국, 찬물을 금한다.
17, 삽주, 흰삽주를 쓸 때는 참새고기, 청어, 배추, 복숭아, 추리를 금한다.
18, 박하를 쓸 때는 자라고기를 금한다.
19, 맥문동을 쓸 때는 붕어를 금한다.
20, 상산을 쓸 때는 생파와 생채를 금한다.
21, 부자, 오두, 천웅을 쓸 때는 마늘과 고수열매를 금한다.
22, 후박, 아주까리씨를 쓸 때는 볶은 콩을 금한다.
23, 자라등껍데기를 쓸 때는 비름채를 금한다.
24, 으아리, 토복령을 쓸 때는 국수물과 차를 금한다.
25, 당귀를 쓸 때는 국수를 금한다.
26, 단삼, 솔뿌리혹, 백복신을 쓸 때는 식초와 일체 신 것을 금한다.
대체로 약을 먹을 때에는 살진 돼지고기나 개고기, 기름기 있는 국물, 회, 비린내와 누린내나는 것,
몹쓸 냄새가 나는 여러 가지 음식을 섞어먹지 말 것이며
생마늘, 고수열매, 생파, 여러 가지 과실과 설사하거나 체하기 쉬운 음식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또한 시체나 더러운 것을 보지 말아야 한다.
*토용(土用): 각 계절마다 있다.
입하 전이 봄의 토용, 입추전이 여름의 토용, 입동 전이 가을의 토용, 입춘 전이 겨울의 토용이다.
그 기간은 각각 18일 간이며, 이 시기에는 비장이 가장 활발하게 움직여서 오장을 보양한다. 토용은 1년에 네번 있는데, 요즈음에는 여름의 토용만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출처: 중국 고의서 '황제내경' 소문(素問)>
인체내의 음기가 많은곳과 양기가 많은곳
1, 음기가 많은 곳: 신체 내부, 속, 오장, 하체, 밥통.
2, 양기가 많은 곳: 신체 외측, 겉, 육부, 상체, 등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