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arirangp
 
 
 
카페 게시글
통합 게시판 스크랩 약용, 식용잡초 목록-4
오로라 추천 0 조회 169 08.07.25 10:40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64.큰앵초

모양: 깊은 산 속의 나무 그늘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꽃은 7∼8월에 붉은빛 자주색으로 피고, 

식용:  어린순을 나물.

약용: 뿌리를 앵초근(櫻草根)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해수·가래·천식에 효과가 있다.

 

65.녹양박하        

모양: 서양박하의 중 스피어민트를 말하며,

식용: 말리거나 또는 날것으로 많은 음식, 특히 사탕·음료·젤리·샐러드·치즈·고기·생선·소스·열매·야채 등의 맛을 내는 데 쓴다. 주요성분은 카르본(carvone)이다.


66.고마리 

모양: 고만이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들이나 냇가에서 자란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 꽃이 뭉쳐서 달린다. 꽃의 형태와 피는 시기, 잎의 생김새 등에 변이가 많으며 메밀과 비슷하다.

식용: 어린 풀은 먹고

약용: 줄기와 잎지혈제로 쓴다.

 

67.털여뀌

모양: 꽃은 7~8월에 붉은색으로 피는데, 동남아시아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식용: 어린 잎은 식용하며,

약용: 민간에서는 포기 전체를 이뇨·해열·진통 등에 약으로 쓴다. 
  

 68.솔나물 

     

모양: 큰솔나물·송엽초·황미화·봉자채.  꽃은 6∼8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식용: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69.장구채

 

모양: 꽃은 7월에 피고 흰색이며,

약용: 종자를 최유(催乳)·지혈·진통제로 사용한다.

식용: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70.메꽃

식용: 땅속줄기와 어린 순을 나물로 먹으며,

약용: 전체를 이뇨,강장,피로회복 등에 효능이 있어 방광염,당뇨병,고혈압 등에 사용한다.

 

71.쇠뜨기      

식용: 생식줄기는 식용,

약용: 영양줄기는 이뇨제로 사용

 
72.절굿대

모양: 국화과. 개수리취·절구대라고도 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남자색이며,

식용: 어린잎은 식용하고

약용: 뿌리를 부스럼 치료에 사용.


73.톱풀

    

모양: 꽃은 7∼10월에 핀다.

식용: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며

약용: 성숙한 것은 포기 전체를 건위제·구풍제·진경제·소염제로 사용한다. 
     
74.까실쑥부쟁이

 

모양: 꽃은 두상화로 8∼10월에 줄기 끝에서 자주색 또는 연보라색으로 피고,

식용: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75.며느리배꼽     

식용: 어린 순은 나물로,

약용: 성숙한 것은 약용으로 이용.

긴 잎자루가 다소 올라 붙어서 배꼽같이 보인다고 하여 며느리배꼽이라는 이름이...


76.제비꽃

모양: 장수꽃·병아리꽃·오랑캐꽃·씨름꽃·앉은뱅이꽃·자화지정(紫花地丁)이라고도 한다.

식용: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약용: 풀 전체를 해독·소염·소종·지사·최토·이뇨 등의 효능이 있어 황달·간염·수종 등에 쓰이며

향료로도 쓰인다.

 

77.쇠무릎

       

모양: 산현채(山見菜)·대절채(對節菜)·쇠물팍·쇠무릎지기·은실·백배·마청초라고도 하며,

식용;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로는 술을 담근다.

약용: 뿌리를 이뇨·강정·통경에, 민간요법에서는 임질과 두통약으로 쓴다. 
      
78. 까치수염

 

모양: 까치수영·꽃꼬리풀·개꼬리풀. 6∼8월에 흰색 꽃, 어린 순은 식용,

약용: 생리불순·백대하·이질·인후염·유방염·타박상·신경통에 효과가 있다.


79.멸가치

        

모양: 응달의 습기 있는 곳에서 자라며, 꽃은 백색으로 8∼9월에 피고

식용: 어린순은 나물. 

 

80.쇠비름 
                         

모양: 전세계의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하며 밭이나 밭 주변에서 많이 자라는 잡초이다.

식용:  나물로 이용하는데, 서양에선 샐러드로 이용하기도 한다.

 

81.꿀풀
 
식용: 가지골나물. 봄에 어린순을 식용.

약용: 생약 하고초(夏枯草)는 꽃이삭을 말린 것이며, 임질,결핵,종기,전신수종,연주창에 약으로 쓰고 소염제,이뇨제로도 쓴다.


82.활나물

  

모양: 구령초, 불지갑. 7∼9월에 하늘색 꽃이 피고,

식용: 봄에 어린순을 채취하여 데쳐서 말린 뒤 물에 불려서 나물로 볶아 묵나물로 먹으며, 활나물은 자양강장 효능이 뛰어나서 노인들의 신기음허로 인한 다뇨, 양기허쇠 등의 증상에 주로 사용하고,

약용: 한방에서 지상부를 야백합이라 하여 이뇨제나 뱀독의 해독에 이용하며 항암성분도 있어 자궁경부암, 폐암, 직장암, 유방암, 위암, 간암, 백혈병 등의 보조 치료제

 

83.무늬둥글레
 
모양: 흰 얼룩무늬와 줄무늬가 있는 것 두 종류가 있다. 

식용:  봄철에 어린 잎과 뿌리줄기는 식용한다.

약용; 뿌리와 줄기는 강장·강정에도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노약자나 허약한 사람의 기운을 돕는 약재로 쓴다.

 

84.좁쌀풀 

   

모양: 꽃은 6∼8월에 피고 황색이며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식용; 어린 순은 식용한다. 

 

85.흰제비꽃 
  
모양: 꽃은 4∼5월에 순백색으로 피고,

식용;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약용: 풀 전체를 해독·소염·소종·지사·최토·이뇨 등의 효능이 있어 황달·간염·수종 등에 쓰이며 향료로도 쓰인다. 

 

86.애기나리 

  

모양: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고,

식용: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약용: 뿌리줄기를 보주초(寶珠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몸이 허약해서 일어나는 해수·천식에 효과가 있고, 건위·소화 작용을 한다.

87.종지나물

모양: 미국제비꽃. 1945년 8·15광복 이후 미국으로부터 들어온 귀화식물로 한국 토착종인 제비꽃류와 비슷함. 꽃은 보라색으로 4∼5월에 피는데 이따금 흰색이나 황록색 꽃이 피기도 한다. 잎의 식용: 모양이 종지처럼 생겼고 ,나물로 먹을 수 있다고 하여 종지나물이다.

88.참나물 

 
 

모양: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6∼8월에 흰색 꽃이 피며 

식용: 연한 부분을 생식하거나 김치로 담근다.

 

89.애기수영 

  

식용: 연한 줄기와 잎은 먹는다.

약용: 잎과 줄기를 소산모(小酸模)라는 약재로 쓰는데, 항암 효과가 있으며, 폐결핵으로 인한 각혈에 지혈 효과가 있다. 꽃은 5∼6월에 붉은빛이 도는 녹색으로 핌

90.지치

모양: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약용: 한방에서는 뿌리를 자초(紫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토혈·코피·소변 출혈·홍역에 효과가 있고, 화상·동상·습진·발진·피부궤양 등에 소독약으로 외용한다. 과거에는 자주색 염료로 사용

 

91.달개비

 

모양: 닭의장풀, 닭의밑씻개라고도 한다.

식용: 봄에 어린잎을 식용.

약용: 한방에서 잎을 압척초(鴨衫草)라는 약재로 쓴다.

열을 내리는 효과가 크고 이뇨 작용을 하며 당뇨병에도 쓴다. 생잎의 즙을 화상에 사용한다.

 

92.진득찰 

  

약용: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약재로 쓰는데, 관절염·사지마비·중풍·고혈압·두통·어지럼증·급성간염·황달·종기·피부가려움증·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93.갈퀴나물

식용: 녹두루미, 어린 순은 4월경에 채취해 나물로 만들어 먹고 가축의 사료로도 쓰인다.

약용: 류머티즘 동통·관절통·근육마비·종기의 독기·음낭습진 등의 치료에 사용.   

                   

94.쥐오줌풀

    

식용: 어린순은 나물,

약용: 뿌리는 약재-정신불안증·신경쇠약·심근염·산후심장병·심박쇠약·생리불순·위경련·관절염·타박상에 효과가 있음. 

 

95.바디나물

식용: 어린순은 나물,

약용: 뿌리를 전호(前胡)라는 약재로 씀. 해열·진해·거담 작용(감기·천식)

   
96. 양지꽃

 

식용: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약용: 치자연(雉子筵)이라고 하여 약용으로 쓰인다. 뿌리는 피 속의 독을 제거하고 피를 멎게 하며, 잎과 줄기는 소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양지꽃을 뱀딸기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뱀딸기의 꽃받침은 꽃보다 큰 반면 양지꽃의 꽃받침은 꽃보다 작다.

 

97.질경이 

 

모양: 생명력이 강해 차 바퀴나 사람의 발에 짓밟혀도 다시 살아난다 하여 질긴 목숨이라는 뜻에서 질경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마차나 달구지 등이 다니는 길에서 쉽게 볼 수 있다고해서 차전초라고도 한다. 조개를 닮았다고 해서 배합조개 또는 뱀조개씨 등으로도 불리며 지방마다 부르는 이름이 다양하다.

식용: 잎은 나물로 만들거나 국을 끓여 먹는다.

약용: 만병통치약으로 불릴 정도로 활용 범위가 넓고 약효도 뛰어난 식물이다.

질경이 씨를 물에 불리면 끈끈한 점액이 나오는데 한방에서 신장염, 방광염, 요도염 등에 약으로 쓴다. 꽃이 피기 전의 잎을 말려서 차로 끓여 마시면 소화 촉진과 위궤양의 예방에 유효하며 비뇨기 질환 및 부인과질환, 천식 등에도 좋다.


98. 짚신나물

식용: 어린순을 나물,

약용:  용아초(龍芽草)라하여 지혈제(소변출혈·자궁출혈·각혈·변혈 등)

 

99.등골나물

식용: 어린순은 식용.

약용: 황달, 통경, 중풍, 고혈압, 산후복통, 토혈, 폐렴 등에 씀.

     

100.박하 

   

모양: 잎 표면의 기름샘에서 기름분비. 박하유의 주성분은 멘톨이며,

약용: 도포제(塗布劑)·진통제·흥분제·건위제·구충제 등에 약용하거나

식용: 치약·잼·사탕·화장품·담배 등에 청량제나 향료로 쓴다.



 

101.차즈기 

  

식용; 차즈기에 들어 있는 페릴알데히드로 만든 설탕은 정상 설탕보다 2,000배 정도 강한 감미료이므로 담배·장·치약 등에 사용.

약용: 잎을 소엽, 종자를 자소자(紫蘇子)라고 하여 발한·진해·건위·이뇨·진정 및 진통제로 사용한다. 생선이나 게를 먹고 식중독에 걸렸을 때 잎의 생즙을 마시거나 잎을 삶아서 먹는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