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염화실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無比스님 이야기 『無比大和尚物語』の初版第3刷を準備している間
慧明華 추천 1 조회 47 25.02.15 05:55 댓글 1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5.02.15 06:05

    첫댓글 총(總) 25권(券)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강설(講說)』

    『여천무비(如天無比)스님 전집(全集)』

    범어사(梵魚寺) 보제루(普濟樓)

    봉정식(奉呈式)

    주석(駐錫)

    명심회(明心會)

    법회(法會)

    주관(主管)

    정만(正滿)스님

    대한불교(大韓佛敎) 조계종(曹溪宗) 성파(性坡) 종정(宗正)스님

    축사(祝辭)

    도반(道伴)

    설정(雪靖)스님

    덕민(德旻)스님

    암도(岩度)스님

    무관(無觀)스님

    범어사(梵魚寺) 방장(方丈)

    정여(正如)스님

    범어사(梵魚寺) 주지(住持)

    정오(正悟)스님

    대덕(大德)스님

    용학((龍學)스님

    범어사(梵魚寺) 승가대학장(僧伽大學長)

    대중(大衆)스님

    불자(佛子) 대중(大衆)들


    발간(發刊)

    혜거(慧炬) 스님

    발문(跋文)

    탄허(呑虛)스님

    법제자(法弟子)

    상좌(上佐)스님

    부촉(咐囑)

    신도(信徒)

    서울 금강선원 (金剛禪院)

    보살(菩薩)님들 (여자 신도들)

    병고(病苦)

    권속(眷屬)

    보필(輔弼)

    인연(因緣)

    필생(畢生)

    공부(工夫) 노트

    부처님전(前)에

    청정(淸淨)하며

    정중(鄭重)하였다.

    범어사(梵魚寺)

    사찰(寺刹)

    법회(法會)

    친견(親見)

    선열(禪悅)

    범어사(梵魚寺)

  • 작성자 25.02.15 06:12


    화중연화(火中蓮華)

    감상(感想)

    경전 해설(經典 解說)

    화중연화전집(火中蓮華全集)

    소회(所懷)

    ‘불심(佛心)’

    선지식(善知識)

    찬탄(讚嘆)

    당일 (當日)

    신도(信徒)

    저작권(著作權)

    화중연화 (火中蓮華)

    법공양(法供養)

    기획(企劃)

    범어사(梵魚寺) 율학승가대학원장(律學僧伽大學院長)

    원창(圓昌)스님


    범어사(梵魚寺) 승가대학장(僧伽大學長)

    법제자(法弟子)

    용학(龍學)스님

    추진(推進)

    학무(學無)거사님

    삼영(三榮)

    사리(舍利)

    선언(宣言)

    총망라(總網羅)

    화엄경(華嚴經)

    음성법문(音聲法門)

    배포(配布)

    발전(發展)

    용학(龍學)스님

    주관(主管)

    여천무비(如天 無比) 대강백(大講伯) 법보장(法寶藏)

    자료(資料)

    제안(提案)

    서울 국제불교박람회(國際佛敎博覽會)

    문수선원(文殊禪院)

    화엄법회(華嚴法會)

    유포(流布)

    선언(宣言)

    입법계품(入法界品)

    무염족왕(無厭足王) 편(編)

    희망(希望)

    교육(敎育)

    제보살(諸菩薩)

    일체 중생(一切 衆生)

    병고(病苦)

    복(福)

    인시복전(人是福田)

    인즉시불(人卽是佛),

    불광(佛光) 출판사(出版社)

    무주상 보시(無住相布施)

  • 25.02.15 07:09

    _()()()_

  • 본문 내용에서만 눈에 보이는 것을 골랐습니다.
    여자 신도와 여성 신도는 어감을 고려하여 적절한 어휘를 선택
    인시복전에서 전(전할 전 대신에 밭 전)

  • 작성자 25.02.15 14:23

    오 너무 감사합니다.
    복전 고치고요. (그런데 찾지를 못하겠어요. 轉이라고 쓴 부분이 없는 것 같은데요? ^^; 아 찾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여성신도가 좋겠네요. 제가 괄호치고 여자신도라고 써서 보냈는데...일본어로 어떻게 됐는지는 볼
    생각을 못했습니다.

    사실 제가 이 3쇄 한글도 고민이 많아서 주저주저하며 보냈는데요. (존댓말을 썼다가 평서문을 썼다가 주어와 술어가
    갈팡질팡....이 교정은 무상행님이 봐주신다고 하셨어요. 염화실 보고 연락주셨어요^^ 다른 큰스님 책 교정봐주시겠다고요.'예? 다른 책을 또 하나요? 하게 되나보다...생각했고요' ...ㅋ 어쨌든간 역시 도움을 청하니 도와주시는군요! 감사합니다. )

  • 공부는 일본에서 사용하지 않는 한자로 생각합니다.
    즉 가타가나로 표기를 해야겠지요

  • 작성자 25.02.15 11:12

    아, 리플에 단 한자는 제가 중국어 번역을 위해서 적어 놓았습니다. 교정은 일본어 본문에서 찾아주시기 바랍니다.(ㅎ 이게 어렵지만요 국물에서 머리카락 찾기) 혹시 본문에서 찾으신 거라면 알려주셔요^^
    勉強라고 표기 됐네요^^...고치다가 본문에서 찾아주신다는것을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제가 서투르게 말해도 양혜해 주시기 바랍니다.

  • 食べ物を毎日食べ物
    매일 음식을
    번역이 이상한 듯

  • @연기의 도리와 인생을 알고자 無住相助をしてくれた는 無住相で 助をしてくれた의 뜻으로 사용한 것입니까?

  • 작성자 25.02.15 14:18

    @연기의 도리와 인생을 알고자 감사합니다.^^ 한글로는 제가 '무주상보시를 해주신' 으로 썼습니다. 이 챕터는 저녁에 무상행님이 한글을 교정봐주시면 다시 한 번 메일로 번역자님께 꼭꼭 집어서 여쭤볼게요.

  • 25.02.15 12:36

    _()()()_

  • 25.02.15 14:17

    _()()()_

  • 駐錫은 일본에서도 사용하는 단어인가요?
    「BTN」仏教テレビ局과 「拈花室TV」에서 テレビ/TV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어떨까요?
    学과 學중에서 学을 사용
    信者와 信徒 중 하나를 사용하거나 자(仏子)를 사용하는 것이 어떨까요?
    仏教徒는 불자(仏子)를 사용하는 것이 어떨까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