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은 장령(將領)의 명을 받았으면 밤낮으로 적개심을 돋울 것을 생각하여야 함에도 오랫동안 적과 대치하고 있으면서 한 가지의 대응책도 세우지 못하였습니다. 지난날 주사(舟師)의 싸움은 조정의 명령이 있었다 하더라도
원수가 된 자로서는 힘을 헤아리고 시기를 보아서 대항하기 어려울 것 같으면 그 상황을 치계(馳啓)하여 후회가 없도록 했어야 합니다. 그러데 이러한 계획은 하지 않고 경솔한 생각과 부질없는 행동으로
원균(元均)에게 엄한 곤장을 쳐서 독촉했다가, 마침내 6년 동안 경영하여 어렵게 마련한 주사를 단번에 여지없이 무너뜨리고 많은 산책(山柵)을 한 곳도 지키지 못함으로써 적이 호남으로 들어가 군민(軍民)이 뿔뿔이 흩어졌습니다.
남원(南原)이 함락되고 나니
전라도는 다 적의 수중에 들어갔고, 호서의 각 고을도 유린당하여 창칼이 거쳐 간 곳은 해골이 들판에 즐비하니 지난 임진년 보다도 더 참혹하였으며, 경기의 고을까지 바짝 쳐들어와서 도성을 지키지 못할 뻔하였으니, 이는 망국의
원수(元帥)입니다. 그의 죄상은 율대로 처벌하더라도 부족한데, 더구나 먼저 대피하여 영남에서 서울로 도망쳐 와서는 강탄(江灘)을 지키고자 함이라고 핑계를 대며 버젓이 장계를 올렸으니, 이것이 과연
원수가 외방의 책임을 맡은 체모이겠습니까. 인심의 울분이 이처럼 극도로 달하였는데
율이 장차 무슨 면목으로 다시 하늘의 해를 보며 장병들을 호령하겠습니까.”
그리고 재차 명령을 받아 남쪽으로 내려가던 날에도 요해처로 향하지 않고 영남의 산속 절간으로 깊숙이 들어가서 평시처럼 무사태평하게 밤낮으로 술에 빠져 있었습니다. 여론이 들끓는다는 소문을 듣고 나서는 그 죄를 은폐하고자 호남 지방의 적이 물러간 곳만 맴돌며 노니는 채, 여태 아무런 계획도 실시하는 일이 없이 한가로이 오가며 여전히 시일을 허송하고 있으니, 어떻게 힘을 다하여 적을 토벌하고 장수들을 검속하기를 바랄 수 있겠습니까. 조정이 그 대임(代任)을 어렵게 여겨서 옳지 못함을 알고도 여태 바꾸지 않고 있으나 조정 신하 중에 찾는다면 어찌
권율보다 나은 자로 적임자가 없겠습니까.
권율을 속히 나국하여 율대로 죄를 정하도록 명하고 비변사로 하여금 그 대임을 속히 가려 보내도로 하소서.
조경(趙儆)의 사람됨은 성품이 본시 곧지 못하여, 훈련 도감 당상으로서 일을 처리할 적에 잔 꾀를 많이 씀으로써 군정(軍情)이 복종하지 않은 지가 벌써 오래되었습니다. 더구나 이번에 남쪽으로 내려가라는 명을 받고서
권율의 전령(傳令)에만 의탁한 채 적을 추격할 생각은 없었으니, 그가 하는 계획이 모두 거짓이었습니다. 당초 군사를 거느리고 출발할 적에 지름길로 들지 않고 기어코 우회하는 길로 들어 마냥 천천히 가면서 겁을 먹고 지체하는 꼴에 사람들이 통분해 하지 않는 자가 없었습니다. 공론도 이 때문에 크게 일어났던 것인데, 나국한 지 얼마 안 되어 서둘러 석방을 명하시니, 물정이 더욱 놀라와 하고 있습니다. 대장(大將)의 죄를 벌하지 않은 채 한갓 편장(褊將)과 수령의 죄만 다스린다면 이는 큰 잘못은 제쳐 두고 작은 실수만 살피는 격입니다. 이러고서도 어떻게 기강을 진작시키고 군율을 신칙할 수 있겠습니까.
조경을 다시 나국하여 율대로 죄를 정하소서.”
“도원수의 일은 논한 바가 너무 지나치다. 한창 왜적과 대치하고 있는데 어찌 이럴 수가 있겠는가.
조경은 별로 지체한 정적(情迹)이 없고 다만 도원수의 절제 때문이었다. 더구나 한 명의 적도 잡지 못한 것을 한스러워하는 자가 어떻게 지체하려는 생각이 있었겠는가. 훈련 도감 당상을 사람들이 다 같이 미워하여도 실정 밖의 무거운 죄를 가할 수는 없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