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청운서예전각연구실
 
 
 
 

자주가는 링크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방준형
    2. 무용
    3. ㅇㅇ66
    4. 볏가리
    5. 라파누이
    1. 쏘쏘
    2. 쑥대머리
    3. 만드래
    4. 김인숙
    5. 윈창
 
 

친구 카페

 
 
카페 게시글
논문 및 자료실 스크랩 변법자강운동
청운 추천 0 조회 264 09.08.16 12:43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자강 운동(變法 自彊     무술 변법(戊戌 變法)

     Hundred Days of Reform  [100일 유신]

 


낡은 법을 고치어 스스로 나라를 강하게 함.

 

나라 말기에 혁신을 부르짖던 識者들이 내세운 개혁 운동의 표어.

 

 

 

개 요 

 

淸나라 말 무술년(1898)에 수행된

 

캉유웨이(康有爲)·  량치차오(梁啓超)·  탄쓰퉁(譚嗣同) 등 사대부들의 개량주의적 변혁 운동. 

 

 


배 경 

 

당시 중국에서는 농민 봉기와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으로 청나라의 지배 체제가 크게 동요되고, 

 

이를 재정비하려는 노력도 아편전쟁 이후 여러 번 시도되었으나 모두 실패로 끝났다.

 

변법 운동은 이를테면 최후의 시도였던 것으로,

 

청·프랑스 전쟁,   청·일 전쟁 등의 2 차례 전쟁을 겪으면서 양무 운동의 결함이 나타난 이후 급속히 고조되었다.

 

 


목 표

 

변법 운동의 목표는,

 

어린 광서제(光緖帝)를 옹립, 그 통치하에서 입헌제 · 의회제를 채용하며

 

일본의 메이지 유신과 러시아 표트르 대제의 신정(新政)을 모범으로 하여 근대적 국가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중심 인물인 캉유웨이 등의 상주문(上奏文)에 보이는 개혁의 내용은

 

정체 변혁(政體 變革) 외에

 

군비 강화와 징병제,

 

산업·교통 진흥 등의 <부국강병책>,

 

교육 개혁과 인재 등용,

 

국교로서의 공자교(孔子敎) 수립 등이며,

 

그것도 양무 운동과 같이 각 지방에서 개별적·부분적으로 행해진 것이 아니라 전국 규모에서 통일된 방침 아래 실시되었다.

 

 

 

이 일련의 개혁을 추진한 주체는

 

량치차오 · 탄쓰퉁 등 사대부들이 각 지방에 설립한 학회였으며,

 

이들은 신문· 잡지를 발행하고 전족(纏足) 폐지 등의 계몽 활동을 벌이는 등으로 사람들을 각성시켰다.

 

 


그러나 그들은 관료 · 사대부 층의 소수파에 지나지 않았으며 게다가

 

민중의 지지를 거의 받지 못하였으므로 운동은 점차 고립되어 갔고,

 

결국 서태후(西太后) 일파의 무술 정변 쿠데타로 불과 100여일 만에 실패로 끝났다.

 

그들이 설립한 학회는 그 후 입헌 운동의 흐름 속에서 자의국(諮議局;지방 의회)으로 성장했지만,

 

변법 운동의 좌절로 인해 사대부들의 개량주의적 변혁 운동은 거의 무산되어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백일 천하로 끝난 개혁파의 꿈  -   변법 자강 운동 (1898년)

 

19 세기 후반에 이르면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러시아 등 세계의 모든 침략 세력들이 중국에 들어와 이권을 나누어 가졌고,

 

중국은 외국의 半식민지로 전락하게 되었다.

 

 

 

외국의 과학 기술을 받아들여 힘을 키우려 했던 양무 운동도 청.일 전쟁의 패배로 성공하지 못했다.


중국의 이권은 계속 외국에게 넘어갔다.

 

중국 남부 지방은 베트남을 식민지로 삼은 프랑스가 광산 개발, 철도 건설 등의 이권을 가져갔다.

 

청.일 전쟁에서 패한 후 청은 러시아에 접근, 삼국 간섭을 끌어내 일본의 압력을 막아냈다.

 

그러나 그 대가로 러시아 역시 만주 지역 철도 건설 등의 이권을 챙겼으며, 아울러 여순과 대련을 강압적으로 조차했다.

 

독일은 산동을 중국 진출의 발판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1898년 경에

 

 

동북 지역은 러시아,

 

양자강 유역은 영국,

 

강남의 광동, 광서, 운남은 프랑스,

 

복건은 일본,

 

산동은 독일이          각각 세력권으로 확보했다.

 


 서태후와 이홍장 등이 중심이 되어 수행한 청.일 전쟁의 패배는 상대적으로

 

그 반대파라고 할 수 있는 광서제, 장지동 등 황제파의 발언권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상황을 만들어냈다.

 

이홍장에 의해 주도되었던 양무 운동의 한계도 역시 청.일 전쟁의 패배로 확연히 드러나게 되었다.

 

이제 지배층 내부에서는 좀 더 근본적인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게 되었다.

 

그러한 움직임을 주도했던 대표적 인물이 강유위, 양계초 등이었다.

 

 


강유위는 공자의 사상을 새롭게 해석하여 자신의 개혁 사상을 합리화시켰다.

 

즉 "옛것에 비추어 오늘의 제도를 고친다"는 말을 빌어 온 것이다.

 

그는 또한 “대동서”라는 책 속에서 모든 인류가 평등한 조건으로 살 수 있는 이상 사회를 구상하기도 했다.

 

그런 사회가 바로 대동 사회라는 것이다.

 

1895년 북경에서 과거 시험이 있었고 강유위는 이 시험에서 합격, 진사가 되어 관료의 길에 들어섰다.

 

 


 관료의 길에 들어선 강유위는 본격적으로 그의 생각을 실천해나갔다.

 

강유위를 중심으로 하는 변법 개혁파들은 “만국 공보”를 간행,

 

자본주의 체제의 도입, 입헌 정치의 실시, 유럽의 학술과 교육의 도입 등을 주장했다.

 

그러나 북경에서의 변법파의 활동은 서태후가 중심이 된 수구파들의 반격에 의해 저지되었고,

 

강유위도 신변에 위협을 느껴 상해로 잠시 피했다.

 

상해에서 그는 황준헌, 장건 같은 당대의 개혁론자들과 어울려 중국의 개혁 정책을 모색했다.

 

변법파의 개혁안은 북경보다는 일부 지방에서 더욱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그러나 각 지역의 실력자들은 그런 움직임을 저지했다.

 

 


 변법파들의 개혁안이 정책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분위기가 마련된 것은

 

독일이 교주만을 점령한 사건이 발생했던 1897년 말 이후였다.

 

강유위는 황제에게 다섯 번 째 상서를 올려 법과 제도를 고쳐나가야 한다는 구체적인 방법을 다시 한번 제시했다.

 

당시 황제인 광서제는 강유위 일파의 개혁안을 실천에 옮기고자 했다.

 

1898년 제도의 개혁 들을 주로 하는 개혁 세력들과 함께 제도를 새롭게 한다는 의미 '변법'을 추진하겠다는 선언을 했다.

 

1898년의 이 개혁을 제도의 개혁을 통해서 나라를 강하게 만든다는 의미로 '변법 자강 운동'이라고 하며,

 

무술년에 있었다고 하여 '무술 개혁'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해 6월  강유위,  담사동,  황준헌,  양계초 등이 광서제의 부름을 받았다.

 

 변법 자강 운동의 과정

청.일 전쟁(1894~1895)에서 중국이 패배한 후,

서양 제국주의 열강들이 중국에 끊임없이 특권을 요구해왔다.

이 요구에 반대하면서 중국 곳곳에서는 서구식 개혁을 주장하는 단체들이 생겼다.

 

캉유웨이가 자신과 함께 과거 시험을 치른 사람들을 중심으로 만든 단체도 이 가운데 하나이다.

그들은 '1 만 상소문'을 작성하여

일본과의 불평등 조약을 반대하고 정치 체제의 전면적인 개혁을 제안했지만 청 조정은 이를 거부했다.

한편 기존의 관료들 가운데 1898년에 나온 〈권학편〉으로 널리 알려진 장지동이 이끄는

보수적 개혁파는 중국의 전통 체제를 유지하면서 서구식 산업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주장이 점차 높아지고 청.일전쟁으로 중국에 관심을 갖게 된 서양 열강들이

서서히 중국에 영토를 할양하라고 요구하자, 청 조정은 개혁을 진지하게 고려하게 되었다.

 

마침내 광서제가 캉유웨이를 주목하게 되었고,

1898년 1월 캉유웨이는 황제 측근의 고위 관리들을 만났다.

1898년 6월 11일 광서제는 캉유웨이가 제안한 개혁안 가운데

외국의 유익한 문물을 배우자는 안건을 우선적으로 채택했다.

이것이 변법 자강 운동의 시작이 되었다.

 

1898년 6월 16일 캉유웨이는 처음으로 광서제를 알현했다.

그후 온건한 방법의 개혁 운동을 주장하던 조정의 관료들은 뒤로 밀려났으며,

캉유웨이와 그의 제자로 잘 알려진 량치차오를 포함한 그밖의 추종자들이 광서제의 고문으로 추대되었다.

광서제는 총 40여 항목의 칙령을 내렸는데,

이것들이 시행되었다면 중국 사회의 거의 모든 방면에서 개혁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변법 자강 운동의 개혁 내용

 중국의 고전에 기반을 둔 낡은 과거 제도는 폐지되었고

새로운 체계를 갖춘 국립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들이 설립되었으며

서양의 산업·의학·과학·상업·특허 제도가 추진·채택되었다.

또한 정부 행정의 쇄신, 법전의 개정, 군대의 혁신이 이루어졌으며 부정 부패는 공격을 받았다.



 광서제는 이러한 개혁 세력들에 의해 구상된 정책들을 정리하여 100여 항목이 넘는 개혁안을 발표했다.

 

그 몇 가지 중심적인 개혁 내용은

 

과거제 개혁, 새로운 학교 제도의 도입, 신문, 잡지 발행, 인재 등용, 농.공.상업 진흥, 우편 사업, 육.해군의 근대화 등이다.

 

 


 광서제는 변법파의 활동에 제약이 되는 고위 관리들을 해임시켰다.

 

그들은 대부분 서태후에 충성하는 자들이었다.

 

9월에는 이홍장이 총리아문 대신의 직위에서 해임되었다.

 

이러한 광서제의 과감한 조치는 서태후와 그의 일파를 몹시 불안하게 만들었다.

 

서태후는 자기의 영향력 아래 있는 군사 지휘관들에게 명령하여 군대를 이동시켰다.

 

이러한 움직임은 광서제에게는 큰 위협이었다.

 

 

 

광서제는 마침내 당시 가장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사람 중의 하나인 원세개에게 기대고자 했다.

 

개혁파 담사동은 원세개에게

 

군대를 동원하여 서태후가 머물고 있는 이화원을 호위하여 서태후 파의 활동을 제한시켜달라는 요구를 했다.

 

그러나 원세개는 약삭빠르고 야심 있는 인물이었다.

 

그리고 그는 이미 서태후 측과도 긴밀하게 관계를 맺고 있었다.

 

 


 개혁파들의 계획은 고스란히 서태후에게 보고되었다.

 

9월 21일 아침 일찍 서태후는 광서제의 침실로 찾아와 모든 왕실의 일과 국가의 정사를 자신이 담당하겠다는 선언을 했다.

 

황제 광서제는 유폐되었고, 개혁파들은 숙청 당했다.

 

강유위 등 몇 명은 보수파의 공격을 간신히 피해 일본으로 망명을 떠났으며 당사동 등은 붙잡혀 처형되었다.

 

이른바 무술 정변이다.

 

무술 개혁이 시작된 지 103일 만에 개혁 운동은 실패로 돌아가고 만 것이다.

 

 


 

  變法 運動 戊戌政變 (1898) - 100일 유신

 

〔1〕變法論의 形成

 

   1. 성격 : 중국이 직면한 민족적 위기

              淸.日 전쟁  敗北 이후 가속화된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

              망국의 위기를 자각한 康有爲 등 일부 지식인이 皇帝 權力에 의거하여,

              정치 변혁을 통하여 국가와 민족을 재생시킬 길을 모색한 救國 운동.

   2. 先覺者 : 林則徐(임칙서), 魏源(위원), ?自珍(공자진), 馮桂芬(풍계분), 王韜(왕도), 薛福成(설복성) 등.

              위기 인식, 내정 개혁, 변법 필요성 강조.

   3. 變法論者 : 何啓(하계), 馬建忠(마건충), 鄭觀應(정관응), 陳熾(진치) 등.

              제도 개혁, 의회 개설, 입헌 군주제 실시 주장.

   4. 外國人의 啓蒙 活動 : 변법 사상 보급에 또 하나의 推進力이 됨.

              Y. J. Allen(美), J. Fryer(英), T. Richard(英) … 선교사, 報?館(보?관)의 설립, 학교 개설,

              著作 활동을 통해 중국의 각 분야 별 개혁 필요성을 강조.

 

〔2〕變法 운동의 출발

 

   1. 康有爲 ( 1858~1927 )

    (1) 廣東省 海南人  전형적인 士大夫 집안

    (2) 實踐 重視의 公羊學派,  서양 문명 이해, 變法 필요를 절감.

 

    (3) 變法의 이론적 기초

 

      ①《新學僞經考》 古文經典은 漢代 劉歆(유흠)의 僞作

     《孔子改制考》六經은 孔子의 창작. 孔子는 祖술자가 아닌  改制者.

               孔子는 政治 改革, 社會 改革의 意志가 强했음을 강조.

              <變法>의 이데올로기 구성을 위한 출발점.

      ③ 《大同書》 據亂(거란) → 升平(승평, 小康) → 太平(태평 : 大同의 世)

 

    (4) 1891, 廣州 長興里에 學塾,   萬木草堂 건립 : 변법 사상에 기초한 교육 활동

             (제자 ;   梁啓超(양계초) ,  麥孟華(맥맹화),   陳千秋(진천추)   徐勤(서근) 등).

 

  2. 上書 운동

    (1) 1 次 上書 (1888) : 외국 침략, 반란 위기 → 變法 호소

    (2) 2 次 上書 (公車 上書, 1895) : 

       下關條約 조인 즉시  1,200명 擧人(거인)의 講和 거부의 連名 上書(변법 운동의 출발점)

       내용 : 일본과 講和 거부, 遷都 續戰, 變法 維新

                                                                                                         ※ 上書 : 舊 中國 社會의 지적 엘리트들의 집단적 행동 양식

    (3) 3 次 上書 (1895. 6. 3) : 대만 할양, 2억 량 배상금은 大辱(대욕)임을 주장.

       國政 改革(국정 개혁, 變法)이 긴급 과제임을 주장

    (4) 4 次 上書 (1895. 6. 30) : 軍機 大臣 옹동화에 접근 (變法 詔書 기초), 공친왕에 거부 당함.

      부국 강병, 인재 등용, 世論 採取, 議院 開設 등 지적.

    (5) 5 次 上書 (1897. 12) : 변법의 program을 보다 구체적?적극적으로 제안.

       日의 明治 維新, 露의 Peter 大帝의 개혁을 예로 들고, 일본을 모범으로 삼아 개혁 착수할 것을 설명.

    (6) 6 次 上書 (1898. 1) : 「應詔統籌全局疏(응조통주전국소)」上書→ 光緖帝와 연결.

       개혁의 방법, 과정 등 개혁의 전모를 잘 정리하여 제출 (변법의 총론적 위치)

       내용 : ① 변법 발포, 國是를 정할 것 (明定 國是)

              ② 萬機 公論에 입각 상서의 자유, 우수한 자 발탁.

              ③ 制度局 설치 : 현재의 기구 개편, 온존, 폐기, 신설 결정 등.

       ※ 6 次 上書로 光緖帝는 變法결의를 확고히 함.

 

  3. 康有爲  變法 運動의 특징

 

    (1) 皇帝 權力 - 권위를 배경으로 하여 위로부터의 國政 刷新을 계획.

    (2) 운동을 진행해 나가는데 있어서 특권 계급 관료 지식인 만을 정치 기반으로 想定

    (3) 變法論의 근저에 孔子를 놓고 있는 점.

       서양 문명의 수입을 중요 내용으로 하면서 이론의 근거는 孔子(變革者)에서 구함.

 

〔3〕조직 구성과 계몽 활동 (운동의 확산)

 

  1. 强學會 설립

    (1)《中外紀聞》,《萬國公報》 발행, 1895, 양계초 등.

    (2) 성격 : 학교와 정당을 겸한 성격, 계몽 운동.

    (3) 회원 : 강유위, 양계초, 陳熾(진치), 文廷式, 옹동화, 楊銳(양예), 劉坤一 등.

  2. 上海 强學會 分會 설립 (1895. 10)

    (1) 會員 : 張之洞, 張?(장건), 陳三立, 岑春煊(잠춘훤) 등 운동을 전국에 확산시키기 위함.

    (2) 機關誌 :《强學報》발행 (발매 금지 됨) → 1896. 旬刊(순간)   《時務報》창간.

  3. 기타 운동의 확산 : 지식인의 반향을 불러 일으킴.

    계몽 목적의 학회, 신문, 잡지, 學堂이 각지에서 출현

   《知新報》《聖學會》《時務學堂》《湘報》《南學報》등

     300여개. 민권 사상을 고취, 정치 활동으로서는 停滯性을 띔 → 鉅野敎案(거야교안) 이후 고양됨.

 

〔4〕열강에 의한 帝國主義的  침략의 격화  

 

 1. 鉅野敎案(거야교안)

    (1) 1897. 11. 1. 독일 선교사 2 명이 山東省  曹州府  鉅野縣에서 살해된 사건.

    (2) 參加者는 20 ~ 30 명, 大刀會와 일반 민중의 공동 행동에 의함.

    (3) 독일군은 여러 척의 군함으로 膠州灣(교주만) 점령 → 교주만 租借 실현.

  2. 열강의 利權 쟁탈

    (1) 독일의 노골적인 침략 이후 격화 → 세력 범위 확대, 租借(조차), 철도 부설권, 광산 채굴권 등.

    (2) 열강은 세력 범위  획득과 확대에 광분

      ① 영국 : 절강, 강소, 안휘, 강서, 호남, 호북, 하남, 사천, 귀주성, 위해위, 구룡반도 租借

      ② 러시아 : 東三省(성경, 길림, 흑룡), 몽고, 신강성, 여순, 대련 租借,  東淸철도 부설권 획득

      ③ 프랑스 : 廣東, 廣西, 雲南省, 광주만 租借,   ?越鐵道(진월철도) 부설권.

      ④ 독일 : 산동성, 교주만 조차, 철도 부설권, 광산 채굴권.

      ⑤ 일본 : 복건성

      ⑥ 미국 : 「문호개방」선언 (장래 중국 진출 권리 확보), 필리핀 영유.

 

〔5〕운동의 再高揚과 變法 세력의 결집

 

  1. 강유위와 광서제

    (1)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 격화 → 변법 운동에 새로운 에너지 주입

    (2) 5 次 上書(1897. 12) → 황제와 연결 → 6 次 上書 → 7 次 上書

    (3) 1898. 강유위는 <日本 明治 變政考> <俄羅斯 大皮得 變政考>를 光緖帝에게 제출 → 황제와 연결됨

    (4) 강유위는 光緖帝와 긴밀한 관계를 가짐 (恭親王 奕?(혁흔) 사망)

2. 保國會 設立 (1898)

    (1) 선행한 것 : ?學會(월학회, 북경), 閔學會(복건), 關學會(섬서, 산서) 동향적 조직.

    (2) 保國會 : 강유위, 李盛鐸 주동

      ① 참가자 200여명, 會試 受驗生(公車)을 모아 大會를 염.

      ② 목적 : “國地, 國民, 國敎를 保全한다.” ( 保國, 保種, 保敎 )

      ③ 특징 : 同鄕的 조직을 넘어선 거국적 변법 세력의 결집,  변법 운동 高揚의 상징,

           정변의 원인이 됨.「중국혁명동맹회」와 匹敵.

      ④ 보수파의 반격이 맹렬해짐( 黃桂鈞, 文悌 등), 위기 의식을 느낌.

 

6〕戊戌 新政과 그 좌절

 

  1. 戊戌 新政 ( 百日 變法, 百日 維新 )

    (1) 戊戌 新政 발족의 배경

      ① 열강 침략의 격화, 위기 의식의 高揚 → 변법 운동의 再高揚

      ② 정치 변혁에 대한 光緖帝의 급격한 傾斜

      ③공친왕 혁흔의 사망(1989. 3) : 光緖帝 감시의 서태후 耳目 역할)

    (2) 내용. 1898. 6. 11~9. 21 (103일간) : 楊銳(양예), 劉光第(유광제), 林旭(임욱), 담사동 등 변법파 요직 차지.

        조칙「明定國是(명정국시)」발포,    變法 新衙門(변법 신아문) 설치

      ① 政治 면 : 變法 國是 , 官民의 建策 및 上書의 자유, 冗官(용관) 폐지, 인재 등용

      ② 經濟 면 : 農.工.商.鑛業 진흥, 기술 개발 촉진, 철도 건설, 우편 제도 정비.

      ③ 軍事 면 : 구식 군대 철폐, 洋式 훈련 실시, 民兵 제도

      ④ 社會.文化 면 : 전족의 폐지, 과거제 개혁(八股文(팔고문) 폐지), 근대적 학교 제도. 유학생 파견,

        외국 서적 번역 장려, 報.館(보.관)의 설립 장려.

      ⑤ 기타 : 헌법 제정, 국회 개설, 이금제 철폐, 조운전폐, 간선 철도 건설, 漢滿人 民族 차별 철폐,

         孔敎 국교화, 변발 폐지, 新首都 건설 등.

    (3) 西太后 등 保守派의 맹렬한 비판, 光緖帝 폐위 음모, 옹동화 파면

       쿠데타에 대비 군사 이동 (西太后는 北洋三軍 首都 경찰권 장악)

  2. 戊戌 政變

    (1) 新政은 위기에 봉착 → 기사 회생의 방법으로 先制 공격(쿠데타) 기도.

    (2) 1989. 9. 16. 變法派는 動員 兵力이 없으므로 袁世凱  新建軍에 의지.

                   袁世凱를 불러서 侍郞(시랑)에 임명, 담사동이 원조 요청 (9. 18) → 승낙.---

                   9. 19. 榮祿(영록)에게 밀고 → 西太后에 알림 → 실패

    (3) 9. 21. 西太后는 光緖帝* 幽閉,  變法派 면직, 추방, 처형 → 실권 장악

         戊戌 六君子 ; 강광인, 양심수, 양예, 유광제, 임욱, 담사동

 

                                                                                                                                       * 광서제는 1898년 캉유웨이(康有爲) 등과 함께 변법 유신을 일으켰지만

                                                                                                                                                                                  최종적으로는 수구파와 서태후의 역공을 당했고,

                                                                                                                                                                       죽을 때까지 서태후에 의해 영대(瀛台)에 감금됐다.

 독살 사실이 100년 만에 드러난 청나라 11대 황제 광서제 (제위 1875 ~ 1908)

                 

1871년 8월14일 태어난 광서제는 1908년 11월 14일 저녁 37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

 다음날 서태후(慈禧太后)도 74세를 일기로 숨졌다.

하루 사이에  두 핵심 인물이 죽자 세상에는 추측이 난무했다.

                                                                                                                       “서태후가 자신이 죽은 뒤 광서제가 권력을 잡는 것을 원치 않아 광서제를 독살했다”

                                        “무술년 변법 때 위안스카이(袁世凱)가 광서제를 배반했는데, 서태후 사후에 광서제에게 보복 당할 것이 두려워 환관을 시켜 독살했다”

                            “환관 리롄잉(李蓮英)이 독을 탔는데, 광서제가 일기장에 ‘서태후가 죽고 나면 위안스카이와 리롄잉을 주살할 것이다’고 쓴 사실을 알았기 때문”

 

  3. 戊戌 變法의 실패 원인)

 

    (1) 부패한 淸朝 下에서의 개혁(그 자체부터가 타당치 못함)

    (2) 국가 권력이 守舊派와 洋務派의 수중에 있었던 점.

       개혁 (정치 변혁)의 성공에는 강력한 권력이 필수적,  황제 실권의 有限

    (3) 官僚 知識人이 주동, 일반 민중은 대상에서 제외된 점 (士大夫 意識)

       운동을 지지해 줄 민족적 부르주아 세력 미약, 광범위한 민중의 결집을 저지

    (4) 袁世凱의 결정적 배신

    (5) 중국을 둘러싼 국제 환경의 강직성. (비협조적 태도 ; 開明과 自立의 문제)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