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프 톨스토이(Leo Tolstoy) 연보
레프 톨스토이(영어명 Leo Tolstoy, 러시아명 Lev Nikolayevich Tolstoi,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1828년 9월 9일 생~1910년 11월 20일 몰; 향년 83세)
세계의 대문호
러시아 3대 문호(도스토예프스키, 투르게네프, 톨스토이)
러시아의 위대한 소설가
러시아 최고의 소설가
비폭력주의의 사도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주의에 직접적 영향을 끼친 세계의 지성인
사실주의 소설 문학의 대가
―사실주의 소설을 예술적 경지로 완성한 소설가이자 세계 문학의 예술적 발전에 크게 기여한 작가
휴머니즘 문학의 대표적인 소설가
인간 구원을 탐구한 도덕철학자
러시아의 “비판적 지식인”
19세기 러시아인 소설가, 시인, 사상가
도스토예프스키와 함께 19세기 러시아의 대표적인 소설가
러시아 명문 백작가 귀족 출신 백작
―농민층을 지지하고 귀족층을 견제하는 주장을 펼쳐서 농민층의 지지를 받고 귀족층의 비판을 받은 비판적 지식인 작가
부 니콜라이 톨스토이 백작의 3남
세바스토폴 전투의 용사
―포병 하사관, 크림전쟁 세바스토폴전투 공훈으로 중위 진급
농민 운동가(농노제 폐지론자)
톨스토이 가문의 시조 표트르 톨스토이(Pyotr Tolstoy, 피터대제 당시 백작 작위)
조부 일리야 톨스토이
조모 펠라게야 톨스타야
외조부 니콜라이 세르게예비치 볼콘스키
―러시아 최고의 명문가 출신 의사
부 니콜라이 일리치 톨스토이(Nikolay Tolstoy) 백작
모 마리야 톨스타야 백작부인(Mariya Tolstaya, 마리야 볼콘스키, 1790년~1830년; 러시아 최고의 명문가 외동딸, 결혼 지참금 야스야나 폴랴나 영지)
형제자매 마리야 톨스타야(Mariya Tolstaya)
처 소피아 톨스타야 백작부인(Sophia Andreyevna Tolstaya, 1844년 9월 3일 생~1919년 11월 4일 몰; 일기 작가, 향년 76세)
자녀 총 14명, 9남 4녀 13명(4남 1녀 요절, 5남 3녀 성장), 혼외자 1명
―13명 중 5명이 요절하고 8명이 성장했으며, 장남 세르게이 톨스토이를 제외한 7형제 자매가 해외 망명
1남 세르게이 톨스토이 백작(Sergey Lvovich Tolstoy, 1863년~1947년; 작곡가)
1녀 타티야나 톨스타야 여백작(Tatyana Lvovna Tolstaya, 1864년~1950년; Mikhail Sergeevich Sukhotin의 처)
2남 일리야 톨스토이 백작(Ilya Lvovich Tolstoy, 1866년~1933년; 작가)
3남 레프 톨스토이 백작(Lev Lvovich Tolstoy, 1869년~1945년; 작가, 조각가, 스웨덴에서 활동하며 스웨덴 여성과 혼인)
2녀 마리아 톨스타야(Maria Lvovna Tolstaya, 1871년~1906년; Nikolai Leonidovich Obolensky 처)
4남 피터 톨스토이 백작(Peter Lvovich Tolstoy, 1872년~1873년; 유아기 요절)
5남 니콜라이 톨스토이 백작(Nikolai Tolstoy, 1874년~1875년; 유아기 요절)
3녀 바바라 톨스토이 여백작(Varvara Lvovna Tolstaya, 1875년~1875년; 유아기 요절)
6남 안드레이 톨스토이 백작(Andrei Lvovich Tolstoy, 1877년~1916년; 러일전쟁 참전)
7남 미하일 톨스토이(Mikhail Lvovich Tolstoy, 1879년~1944년)
8남 알렉세이 톨스토이(Alexei Lvovich Tolstoy, 1881년~1886년)
4녀 알렉산드라 톨스타야 여백작(Alexandra Lvovna Tolstaya, 1884년~1979년; 미국 귀화 후 톨스토이재단 창립, 1979년 95세로 별세)
9남 이반 톨스토이(Ivan Lvovich Tolstoy, 1888년~1895년)
10남 여농노의 아들
손주
소피아 안드레예브나 톨스타야 여백작
일리야 안드레예비치 톨스토이 백작(Ilya Andreyevich Tolstoy)
타티야나 톨스토이 여백작(Tatiana Tolstoy-Paus, 2007년 스웨덴에서 사망)
빅토리아 톨스토이 여백작(Viktoria Tolstoy, 스웨덴 재즈 가수)
증손주
니키타 일리치 톨스토이(Nikita Ilyich Tolstoy)
고손주
고손자 블라디미르 톨스토이(Vladimir Tolstoy, 1962년 생~; 1994년 이후 야스야나 폴랴나박물관 관장, 2012년 러시아대통령 문화 고문)
고손자 표트르 톨스토이(Pyotr Tolstoy, Ilya Tolstoy의 증손자; 유명 러시아 언론인)
고손녀 표클라 톨스타야(Fyokla Tolstaya; 러시아 언론인)
그 외 후손 수백여 명이 세계 각지 러시아 각지에서 활동 중
1828년 1세 9월 9일 러시아제국 남부 툴라현 야스나야 폴랴나(Yasnaya Polyana)에서 니콜라이 일리치 톨스토이 백작과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톨스타야 백작 부인 사이의 넷째 아들로 출생. 모태 신앙 러시아정교회 유아 세례자
1830년 3세 8월 7일 모친이 다섯째 아기 출산 중 사망
1836년 9세 모스크바로 가족 이주
1837년 10세 부친 사망. 고아 다섯 남매가 큰고모 알렉산드라 오스텐 사켄 백작 부인 집에서 성장
1838년 11세 조모 사망
1841년 14세 큰고모 알렉산드라 사망. 형과 누이와 함께 4형제 자매가 작은고모 펠라게야 일리이치나 유쉬코바의 집으로 이주
1843년 16세 대학 입학까지 가정 교사와 가정 학습
1844년 17세 카잔제국대학교(Kazan Imperial University) 철학부 동양어학과(아랍 터키어 과정) 입학
1845년 18세 카잔제국대학교 법학부로 전과(轉科)
1846년경 19세 대학 생활 3년 만에 카잔제국대학교(Kazan Imperial University) 법학과 중퇴. 부모가 유산으로 레프 톨스토이에게 남긴 고향의 영지 야스나야 폴랴나로 귀향
1847년 20세 4월 17일부터 일기쓰기 시작. 고향 영지에서 농업 활동과 농민 계몽 활동
1847년~1910년 20세~83세 톨스토이 창작기. 평생 일기를 쓰면서 창작의 동기가 되었다.
1848년 21세 고향을 떠나 모스크바와 상트페테스부르크에서 도시 생활. 페테르부르크대학에서 학사 학위(검정고시)
1851년 24세 4월 29일 맏형 니콜라이를 따라 캅카스로 이동해서 맏형이 근무 중이던 스타로글라도프스크 카자크촌에서 코카서스포병여단 사관후보생 합격. 7월~9월 처녀작 장편 소설 『어린 시절』(Childhood) 집필. 코카서스전투에서 체첸인들을 상대로 험한 고비를 여러 번 넘긴 후, 정식 입대하여 포병 하사관으로 임관. 일기에서 포병여단에 입대해 코카서스산맥으로 이동했다고 기록
1852년 25세 9월 데뷔작 중편 소설 『어린 시절』로 문단 데뷔. 월간지 『동시대인』에 처녀작 반자전적 중편 소설 『어린 시절』(유년 시절)을 발표하고, 투르게네프로부터 문학성을 인정받음.
1852년~1856년 25세~29세 반자전적 중편 소설 삼부작 『어린 시절』, 『소년 시절』(Boyhood), 『청년 시절』(Youth) 완성
1853년~1856년 26세~29세 크림전쟁 발발. 1853년 3월 『동시대인』에 단편 소설 「습격」 발표. 흑해 항구도시 세바스토폴에 주둔하며 전쟁에 직접 참전하여, 꽃이 만발한 계곡에는 군복 입은 군인 시체들이 널려 있었고, 시체 썩는 냄새가 진동했다고 크림전쟁 세바스토폴전투 참전 경험을 기록
1854년 27세 1월 소위보 진급. 도나우전선 출정 지원. 10월 『소년 시절』 발표. 11월 크림전쟁 참전. 작가의 길을 가기 위해 전역을 신청했으나 전쟁 발발로 전역을 포기하고 크림전쟁에 참전하여 세바스토폴전투에서 공을 세워 성 게오르기 훈장 수상 및 중위 진급
1854년~1855년 27세~28세 세바스토폴 점령 11개월 동안 세바스토폴 체류. 체첸전투 발발
1855년 28세 4월~5월 세바스토폴 제4능보에서 근무. 6월 『동시대인』에 「1854년 12월의 세바스토폴」 발표. 9월 『동시대인』에 「산림 벌채」, 「1855년 5월의 세바스토폴」 발표. 11월 페테르부르크에서 『동시대인』 동인들(이반 투르게네프, 이반 파나예프, 니콜라이 네크라소프, 이반 곤차로프, 알렉산드로 오스트로프스키 등)과 교유. 도박으로 빚을 져서 야스야나 폴랴나의 저택 매각
1856년 29세 1월 「1855년 8월의 세바스토폴」 발표. 크림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한 『세바스토폴 이야기』(Sevastopol Sketches)의 완성으로 청년 작가로서의 지위 확립. 3월 셋째 형 드미트리 사망. 11월 26일 크림전쟁 후, 군 전역
1857년 30세 중편 소설 『청년 시절』 3부작 발표. 잡지 『소브레멘니크』에 익명 연재.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 서유럽 1차 여행을 마치고, 사실주의 소설가로부터 비폭력주의자와 종교적 무정부주의자로 전환
1858년 31세 고향 툴라에서 농민학교 개교. 빚 청산으로 고향의 저택이 팔려, 근처 농장 관리인 오두막에서 머물며 농노들 관리
1859년 32세 중편 소설 『가정의 행복』(Family Happiness) 발표. 체첸 공격으로 러시아가 체첸 흡수
1850년대 극작 활동
1860년 33세 고향 툴라에서 농민 계몽 운동. 지역 신문 『야스나야 폴랴나』 발간. 형 니콜라이(Nikolay Tolstoy) 사망
1860년~1861년 33세~34세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 서유럽 2차 여행
1861년 34세 농노제 폐지(톨스토이가 자신의 영지에서 수년 전부터 시도했던 농노 해방 운동의 결과). 농노제 폐지 후, 러시아 농부 자녀 교육을 위해 13개 농민학교 개교
1862년 35세 9월 17일 당시 18세의 여성 소피야 안드레예브나 이슬레네프(Sophia Behrs)와 약혼하고, 일주일 후 9월 23일 모스크바에서 결혼하여 자녀 13명 9남 4녀를 둠. 톨스토이는 몇 차례 여행 외에는 50년 평생 고향에서 체류. 아내 소피야는 톨스토이 소설 창작의 비서 역할을 충실히 하면서 톨스토이가 급히 쓴 소설 원고들을 교정하거나 정서(正書)하는 일을 했다. 논문 「야스나야 폴랴나의 학교」(The School at Yasnaya Polyana) 발표(학교 운영과 교육의 원칙으로서 후에 민주주의 교육의 최초 이론으로 인정)
1863년 36세 『카자크인들』(The Cossacks) 발표
1863년~1877년 36세~50세 톨스토이의 성숙한 소설 창작기
1863년~1888년 톨스토이 부처 자녀 13명 출산기
1865년 38세 1월~2월 『러시아 통보』에 장편 소설 『1805년』 발표(『전쟁과 평화』(War and Peace) 1~2부)
1867년~1869년 40세~42세 나폴레옹의 러시아 정벌을 주제로 『전쟁과 평화』 3~6부 집필. 5년 집필작 장편 소설 『전쟁과 평화』 발표
1870년 43세 교육 사업에 전념해 학교 설립 등의 활동. 그리스어를 학습하고 그리스 고전 탐독
1871년 44세 『초급 교과서』 1부를 집필하면서 평등 교육론으로 귀족의 비판과 농민의 지지를 받음. 비평가 N. 스트라호프와 교유.
1871년~1874년 44세~47세 톨스토이 시 창작기. 선집 『러시아 독본』(Russian Book for Reading, 총 4권, 총 629개의 단편작 수록)
1872년 46세 『초급 교과서』 발간. 『캅카스의 포로』 발표
1873년 47세 3월 『안나 카레니나』(Anna Karenina) 집필 시작. 러시아과학아카데미 러시아어 문학분과 준회원 선출. 화가 이반 크람스토이 작 톨스토이 초상화 완성
1877년 51세 7월 비평가 스트라호프와 오프티나수도원 순례 여행. 9월 『안나 카레니나』 탈고 및 출판
1878년~1890년 52세~64세 기독교 사상기
1879년 53세 6월 키예프 동굴수도원 방문. 『고백록』(A Confession) 앞부분 발표
1880년 54세 『고백』 탈고. 종교 사상으로 회귀하기 시작해서, 4권짜리 『성경』 번역을 시작하고, 『교리 신학 비판』 발표. 평화주의와 완전한 비폭력, 청빈과 금욕주의 등의 기독교 신앙 체계화
1881년 55세 3월 알렉산드르 3세에게 알렉산드르 2세 암살 혁명가들의 처형을 반대하는 청원서 제출. 7월 오프티나수도원 순례 여행. 소설가 도스토예프스키 사망 소식을 받고 충격을 받음. 하모브니키시립초등학교 교사 지원서를 제출했으나 반려됨. 『요약 복음서』 발표
1882년 56세 『고백록』(Confession) 발표. 모스크바 빈민굴 방문. 『교회와 국가』(Church and State) 저술
1884년 58세 막내딸 알렉산드라 출생. 『나의 신앙』(What I Believe) 저술 등으로 톨스토이 사상을 체계화하고 톨스토이주의 확립(원시 기독교의 순수성으로 회귀해서 비폭력주의로 사랑과 평화를 복음으로 인류에게 전파한다는 평화주의자 톨스토이의 기독교 사상)
1885년 59세 원시 기독교 사상으로 사유재산을 부정하는 입장을 취함. 포스레드니크출판사 설립(러시아 민화와 기독교 복음서 출판)
1886년 60세 중편 소설 『이반 일리치의 죽음』(The Death of Ivan Ilyich) 창작. 자연주의 희곡 『어둠의 힘』(The Power of Darkness) 극작(러시아 상연 금지, 프랑스 초연). 『내가 할 일』(What is to be Done?) 발표
1887년 61세 산문 『인생론』(On Life) 발표
1888년 62세 막내아들 이반 출생
1889년 63세 3월 『크로이체르 소나타』(The Kreutzer Sonata) 집필. 3월~11월 「예술이란 무엇인가」 집필. 『신의 사랑과 이웃 사랑』(The Love of God and of One’s Neighbour) 발표
1880년대 톨스토이가 가장 왕성한 창작력을 보인 시기로,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크로이체르 소나타』, 『이반 일리치의 죽음』 등 창작
1890년 64세 2월 『세르기 신부』 집필 시작. 오프니타수도원 순례 여행. 12월 두 번째 가출 기도. 『빛은 어둠 속에서 빛난다』 발표
1890년~1910년 사회 비판론 및 도덕론 저술기
1891년 65세 희곡 『계몽의 열매』 극작. 톨스토이 성장기의 독서 이력 공개(『성경』, 『천일야화』, 푸시킨의 시, 루소의 『고백록』, 『에밀』, 『데이비드 코퍼필드』, 『오디세이아』, 『일리아스』, 『레 미제라블』, 조지 엘리엇의 소설, 『팡세』, 공자, 『도덕경』 등). 기독교적 청빈의 실천을 위해 1881년 이후 저작물의 저작권 포기하고, 가족의 반대로 1881년 이전 저작물의 저작권은 아내에게 인계 합의. 러시아 전역의 흉년으로 아내 그리고 톨스토이주의자들과 농민 구제 활동. 톨스토이주의자 블라디미르 체르트코프(1854년 생~1936년 몰)가 톨스토이 대변자 역할
1892년 66세 그리보예도프상(Griboyedov) 수상. 농민 자선 음악회를 개최한 루빈슈타인과 만남. 농민 구제 운동이 번지자 러시아 정부가 톨스토이를 수즈달수도원에 연금시키려 한다는 소문이 번짐.
1893년 67세 러시아정교회와 러시아 정부를 비판하는 시사 평론 발표. 노장사상에 몰입하여 『노자』 번역. 모파상 저작집의 「서문」 저술
1894년 68세 「하나님 나라는 당신 안에 있다」(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를 저술하고, “하나님 나라”를 주장하며, 하나님 나라를 이루기 위해 도와야 하고, 하나님 나라를 깨닫고 하나님 나라를 선포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그의 비폭력주의와 무저항주의, 무정부주의와 평화주의는 마하트마 간디(Mahatma Gandhi)에게 직접적 영향을 끼침. 논문 「종교와 도덕」 발표. 『기독교와 애국주의』(Christianity and Patriotism) 저술
1895년 69세 3월 최초의 비밀 유언장 작성. 9월 병역을 거부하는 두호보르교도들에 대한 정부 탄압에 비판적인 글 발표. 안톤 체호프가 야스나야 폴랴나 방문. 막내아들 병사
1896년 70세 여동생 마리야 수녀가 머무는 샤모르디노수도원을 아내와 함께 방문. 『교회의 위선』(The Deception of the Church) 저술
1897년 71세 3월 모스크바의 체호프 병문안. 『예술이란 무엇인가』 탈고
1898년 72세 두호보르교도들의 캐나다 이주 기금 마련을 위한 『부활』, 『세르기 신부』 탈고 작업. 『예술이란 무엇인가』 발표. 논문 「톨스토이즘에 대하여」 발표
1899년 73세 3월 『니바』지에 마지막 장편 소설 『부활』(Resurrection) 발표(러시아정교회와 다른 성령부정파 두호보르교도들 4천여 명의 미국 이주 자금 조달 목적, 『부활』에 러시아정교회 비판 내용이 담겨 있다고 해서 유아 세례자 톨스토이가 후에 파문당함)
1900년 74세 1월 야스나야 폴랴나를 방문한 막심 고리키와 만남. 희곡 『산 주검』 집필
1901년 75세 2월 22일 『부활』에서 러시아정교회 비판으로 러시아정교회 종무원에서 파문. 9월 크림 방문 후 티푸스와 폐렴으로 중태. 안톤 체호프와 막심 고리키가 가스프라에서 요양 중인 톨스토이 방문
1901년~1902년, 1909년 노벨평화상 후보
1902년 76세 5월 코롤렌코가 야스나야 폴랴나로 톨스토이 방문. 8월 6일 문학 활동 60주년 기념 축하제 개최. 『종교는 무엇인가 그리고 그 본질은 무엇인가?』(What is Religion and What is its Essence?) 저술
1902년~1906년 노벨문학상 후보
1903년 77세 8월 28일 톨스토이 탄생 75주년 축하회 개최. 20여년 작업의 『톨스토이와 행복한 하루』(원제. 『매일매일 읽기 위한 현자들의 사상』) 발간
1904년 78세 5월 「깊이 생각하라!」에서 러일전쟁 반전론 주장. 『독서의 고리』 편찬 시작
1905년 79세 러시아혁명 발발. 러시아의 “피의 일요일” 유혈 사태 발생. 단편 소설 「무도회가 끝난 후」, 「병 속의 아료샤」 등 발표. 러시아혁명으로 가족들 일부가 러시아를 떠남.
1906년 80세 8월 아내 중병. 10월 『독서의 고리』 발간
1908년 81세 1월 톨스토이 탄생 80주년 기념제를 위한 특별위원회가 페테르부르크에서 발기. 2월 톨스토이가 기념제 준비 중지 요청. 8월 28일 세계 각지에서 톨스토이 탄생 80주년 기념제 거행. 사회 비판으로 러시아 정부와 소원해졌으며, 톨스토이 비서 N. N. 구세프 체포 및 추방. 전 세계에서 톨스토이 탄생 80주년 축하 인사 쇄도. 『인도인에게 보내는 편지』(A Letter to a Hindu)를 써서 인도의 독립운동에 비폭력 운동을 추천. 『사랑과 폭력의 법』(The Law of Love and the Law of Violence) 저술
1909년 82세 11월 최초의 공식 유언장 작성. 「고골에 대하여」 등 집필. 영국 식민지 남아프리카에서 활동하던 인도인 변호사 마하트마 간디로부터 편지를 받고, 사망 전까지 1년여 서로 서신 교환을 했으며, 톨스토이의 무저항주의와 평화주의에서 단서를 얻고 간디가 인도 독립을 위한 비폭력 운동을 일으켰다. 톨스토이와 간디는 비폭력주의와 채식주의를 공유했다.
1910년 83세 2월 「호딘카」 집필. 최후의 대작 『인생의 길』 완성. 7월 22일 막내딸 알렉산드라에게 모든 저작물의 판권을 상속하는 내용의 마지막 공식 유언장 작성. 10월 28일 모든 저작권과 인세를 사회에 환원하고 농민 생활을 하겠다는 톨스토이 노인의 결심에 아내 소피야와 부부싸움을 하고 새벽 아내에게 쪽지를 남기고 친구 겸 주치의 두샨 마코비키와 함께 야스나야 폴랴나의 집에서 가출. 10월 28일~29일 오프티나수도원에 머물다 샤모르디노수도원에서 여동생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수녀를 만남. 10월 31일 여행 중 질병으로 시골 간이역에 내림. 11월 7일 오전 6시 5분 러시아제국 아스타포보(Astapovo) 간이역의 역장 숙직실에서 “진리를 영원히 사랑한다”는 유언을 남기고 폐렴으로 사망. 향년 83세
묘역
러시아제국 툴라현(Tula) 야스나야 폴랴나(Yasnaya Polyana) 자카스숲 소재
처 소피야는 톨스토이 묘역에서 3km 거리의 작은 시골 마을 묘지에 안장
1911년 유고작 희곡 『산 주검』 공개. 유고작 단편 소설 「무도회가 끝난 후」(After the Ball) 공개
1912년 중편 소설 『하지 무라트』(Hadji Murad) 공개
1917년 10월 혁명과 소비에트연방 건국. 톨스토이 후손들 다수가 유럽과 영국, 미국 등지에서 활동
1917년~1919년 막내딸 알렉산드라와 대변인 체르트코프가 톨스토이 작품집 출판을 시도했지만, 정부의 판권 통제로 포기
1918년 아스타포보 간이역이 레프 톨스토이역으로 개칭. 러시아제국에서 금지되었던 문학작품들이 모두 해금됨.
1928년 4월 톨스토이 탄생 100주년 기념 행사 개최 대신에 톨스토이 전작 92권을 출판하기로 합의했고, 톨스토이 작품 4억 부가 인쇄되어 소비에트연방의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1928년~1957년 톨스토이 탄생 100주년 기념 『톨스토이 대전집』 전 90권 발간. 구소련에서 절판. M. 사블린 발행 유고작 『톨스토이 전집』 발간
1920년대 톨스토이 영지 야스나야 폴랴나가 소비에트연방에 의해 톨스토이주의자들을 위한 생활 공동체 코뮌으로 승인됨.
1991년 톨스토이 탄생 100주년 기념 『톨스토이 대전집』이 정치문헌출판사에서 단행본 2권으로 재출간
2007년 노턴출판사 조사 영어권 작가 125명 선정 최고의 문학작품 선정
2010년 톨스토이 사망 100주년 기념의 해
2011년 “레프 톨스토이의 개인 서재 및 원고, 사진 및 영상 컬렉션”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소장 기관: 국립박물관-야스나야 폴랴나 레오 톨스토이 생가)
2014년 레프 톨스토이역이 폐역되고, 남은 역사에 톨스토이의 사망 시간 6시 5분에 맞춘 시계가 걸림.
2021년 바다출판사 <톨스토이 사상 전집> 출간(러시아 톨스토이 전집 전 100권 원전)
2023년 4월 3일 톨스토이 한국인 전문가 박형규 교수 사망(향년 91세)
훈장
세바스토폴 방어 공적 성 안나 훈장(4급)
크림전쟁 기념 훈장
세바스토폴 방어 50주년 기념 훈장
대표작
장편 소설
<대표작―톨스토이 3대작>
『전쟁과 평화』(1865년~1869년)
『안나 카레니나』(1873년~1877년)
『부활』(1899년)
중편 소설
반자전적 삼부작(1852년~1856년)
『어린 시절』(1852년)
『소년 시절』(1854년)
『청년 시절』(1856년)
『세바스토폴 이야기』(1855년~1856년)
「1854년 12월 세바스토폴」(Sevastopol in December 1854)
「1855년 5월 세바스토폴」(Sevastopol in May 1855)
「1855년 8월 세바스토폴」(Sevastopol in August 1855)
『지주의 아침』(A Morning of a Landed Proprietor, 1856년)
『유럽군 경기병 2인』(Two Hussars, 1856년)
『가정의 행복』(Family Happiness, 1859년)
『폴리쿠슈카』(Polikushka, 1862년)
『카자크인들』(Cossacks, 1863년)
『이반 일리치의 죽음』(The Death of Ivan Ilyich, 1886년)
『크로이체르 소나타』(The Kreutzer Sonata, 1889년)
『빛이 있을 때 빛 속을 걸어라』(Walk in the Light While There is Light, 1893년)
『매스터 앤드 맨』(Master and Man, 1895년)
『세르게이 신부』(Father Sergius, 1898년)
『위조 쿠폰』(The Forged Coupon, 1911년)
『하지 무라트』(Hadji Murat, 1898년 또는 1904년, 1912년, 1917년)
단편 소설
「과거사」(A History of Yesterday, 1851년)
「습격」(The Raid, 1852년)
「숲의 벌목」(The Cutting of the Forest, 1855년)
「당구 계수원의 회상」(Recollections of a Billiard-Marker, 1855년)
「폭설」(The Snowstorm, 1856년)
「루선」(Lucerne, 1857년)
「알버트」(Albert, 1858년)
「3인의 죽음」(Three Deaths, 1859년)
「자기 인형」(The Porcelain Doll, 1863년)
「신은 진리를 보고 기다린다」(God Sees the Truth, but Waits, 1872년)
「코카서스의 죄인」(The Prisoner in the Caucasus, 1872년)
「곰 사냥」(The Bear Hunt, 1872년)
「광인 수기」(Memoirs of a Madman, 1884년)
「대부호와 운명」(Croesus and Fate, 1886년)
「야드 자」(Kholstomer, 1886년)
「오래된 지인」(An Old Acquaintance, 1887년)
「우리 개 이야기」(Stories of My Dogs, 1888년)
「상실된 기회」(A Lost Opportunity, 1889년)
「프랑수아」(Francoise, 1891년)
「똑똑한 사람들 사이의 대화」(A Dialogue between Clever People, 1892년)
「수라트의 커피숍」(The Coffee-House of Surat, 1893년)
「젊은 황제」(The Young Tsar, 1894년)
「너무나 소중한 자」(Too Dear!, 1897년)
「코딘카」(Khodynka: An Incident of the Coronation of Nicholas II, 1898년 작, 1912년 출판)
「일, 죽음, 그리고 질병」(Work, Death, and Sickness, 1903년)
「세 가지 질문」(Three Questions, 1903년)
「무도회가 끝난 후」(After the Ball, 1903년)
「알료샤 항아리」(Alyosha the Pot, 1905년)
「가난한 사람들」(Poor People, 1905년)
「은자 폐도르 쿠즈미치의 유고 노트」(Posthumous Notes of the Hermit Fëdor Kuzmich, 1905년 작, 1912년 출판)
「신과 인간」(Divine and Human, 1906년)
「왜」(What for?, 1906년)
「죄지은 사람은 없다」(There are No Guilty People, 1909년)
「여행자와 농부」(Traveller and Peasant, 1909년 작, 1917년 출판)
「마을에서 노래하기」(Singing in the Village, 1910년)
「나의 꿈」(My Dream, 1911년)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What Men Live by)
그 외 여러 단편작들
희곡
『어둠의 힘』(The Power of Darkness, 1886년)
『최초의 양조자』(The First Distiller, 1886년)
『빛이 어둠 속에서 빛난다』(The Light Shines in Darkness, 1890년)
『계몽의 열매』(The Fruits of Enlightenment, 1891년)
『산 주검』(The Living Corpse, 1900년)
『그 모든 것들의 원인』(The Cause of It All, 1910년)
『안나 카레니나』(모스크바예술극단 각색 상연작)
『부활』(모스크바예술극단 각색 상연작)
산문
『고백록』(A Confession, 1879년, 1882년)
『교리 신학 비판』(A Criticism of Dogmatic Theology, 1880년)
『복음서 축약본』(The Gospel in Brief, 1881년)
『나의 신앙』(What I Believe, 1884년)
『그리스도의 기독교와 해야 할 일』(Christ’s Christianity and What to Do, 1885년)
『교회와 국가』(Church and State, 1886년)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What Then must We do?, 1886년)
『인생론』(On Life, 1887년)
『권력과 자유』(Power and Liberty, 1888년)
『인간은 왜 스스로 취하는가?』(Why do Men Intoxicate Themselves?, 1890년)
『첫걸음』(The First Step, 1891년)
『하나님 왕국은 여러분 안에 있다』(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1893년)
『휴지』(Non-Activity, 1893년)
『이성과 종교』(Reason and Religion, 1893년)
『종교와 도덕성』(Religion and Morality, 1894년)
『기독교와 애국주의』(Christianity and Patriotism, 1894년)
『4 복음서』(The Four Gospels Harmonized and Translated, 1895년)
『자유주의자들에게 보내는 편지』(A Letter to the Liberals, 1896년)
『무저항: 어니스트 크로스비에게 보내는 편지』(Non-Resistance: Letter to Ernest H. Crosby, 1896년)
『기독교의 가르침』(Christian Teaching, 1898년)
『살상하지 마라』(Thou Shalt Not Kill, 1900년)
『우리 시대의 노예 제도』(The Slavery of Our Times, 1900년)
『정교회 종무원에의 답신』(Reply to the Holy Synod, 1901년)
『종교는 무엇인가 그리고 그 본질은 무엇인가』(What is Religion and What is its Essence?, 1902년)
『스스로 숙고하라』(Bethink Yourselves!, 1904년)
『유일한 욕구』(The Only Need, 1905년)
『사랑의 법과 폭력의 법』(The Law of Love and the Law of Violence, 1908년)
『인도인에게 보내는 편지』(A Letter to a Hindu, 1908년)
『필연적 혁명』(The Inevitable Revolution, 1909년)
『지혜의 달력』(A Calendar of Wisdom, 1909년)
기타
『지 드 모파상 작품집』(The Works of Guy de Maupassant, 1894년)
『예술이란 무엇인가』(What is Art?, 1897년)
『셰익스피어와 드라마』(Shakespeare and the Drama, 1909년)
『악마』
『바보 이반』
『인간에게는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
『사랑이 있는 곳에 신이 있다』
『불을 놓아두면 끄지 못한다』
『지옥의 패망과 부흥』
잠언집 『살아갈 날들을 위한 공부』(Wise Thoughts for Every Day, 1902년) 등 3권
영화(톨스토이 3대작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부활』 등)
디지팩
『톨스토이 자서전』
『레프 톨스토이 일기』
『톨스토이 유언』
* 러시아 명문가 귀족 출신 톨스토이 백작: 어린 시절에 부모를 일찍 여의고 친척 집에 의탁해서 성장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러시아 명문가 귀족 출신으로 아버지로부터 백작 작위를 승계했으며, 어머니는 러시아 최고의 명문 귀족 출신으로서 유산으로 그녀가 결혼 지참금으로 가져온 야스야나 폴랴나 영지를 받았다.
러시아 명문 귀족의 백작 작위를 받았고, 넓은 영지와 저택을 소유했으며, 결혼해서 13명의 자녀를 두었고, 작가로 성공해서 엄청난 저작권으로 풍족한 생활을 누렸다. 지금의 그의 후손들이 수백여 명 러시아와 전세계에서 활동 중이다.
* 소설가 톨스토이: 소설가 톨스토이는 러시아 최고의 소설가이며, 도스토예프스키, 투르게네프와 함께 러시아 3대 문호이다. 또한 톨스토이는 세계의 대문호이며, 사실주의의 대표적인 소설가이다. 톨스토이는 세계와 러시아의 위대한 작가이다. 톨스토이의 문학적 경향은 휴머니즘이며, 인간성을 스스로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휴머니즘의 본질은 사랑, 곧 인간애(人間愛)이며, 인본주의적 인간애는 도덕주의로 재현되고 현실화된다. 인간 사랑에 근거한 평등주의가 농노제 폐지와 농민에 대한 사랑으로 현실화되고, 인권 존중에 근거한 평화주의가 정부와 종교에 대한 무정부주의로 접근되며, 계몽주의에 근거한 비폭력주의와 무저항주의가 교육과 농민 계몽에서 드러난다.
위와 같은 톨스토이주의(톨스토이즘)는 톨스토이의 문학 세계와 여러 저작들에서 나타나며, 휴머니즘과 도덕주의의 이분법적 세계관으로 주제화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톨스토이는 사실주의 소설의 예술적 완성으로 인간의 도덕적 구원을 탐구한 작가이다.
소설가 톨스토이는 20대 청년 시절에 일기를 쓰면서 시작되었다. 반자전적 삼부작 중편 소설들로 처음 문단에 데뷔해서 작가로서 인정을 받았으며, 크림전쟁 참전 경험을 토대로 한 수기 형식의 크림전쟁 세바스토폴전투에 관한 이야기들로 청년 작가로서 지위를 확립했다. 30대에 결혼 후에 작가적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5년~7년에 걸친 장기적인 창작 과정과 교정 과정을 거쳐 톨스토이 소설의 대표작인 장편 소설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부활』을 발표하게 된다.
* 톨스토이주의: 1880년대 이후 원시 기독교 사상에 몰입하여 사유재산을 부정하고 러시아정교회의 교리 신학을 비판하며 기독교적 인간 구원의 톨스토이즘 사상이나 톨스토이주의를 발전시켰다. 타락하고 부패한 현대의 기독교를 거부하고, 순수한 원시 기독교로 회귀하고자 했으며, 그 일환으로 금주, 금연, 금욕, 채식, 노동, 사유재산의 부정 등을 실천했다. 무엇보다, 톨스토이주의의 핵심은 비폭력주의와 무정부주의이다. 농민의 소박한 삶과 무정부주의적 비정치성, 비저항주의와 비폭력주의가 그의 도덕 철학과 이상이었다. 톨스토이는 모태 신앙을 받았지만, 러시아정교회의 권위와 부패를 거부하고 강력한 사회 비판을 실천한 무정부주의자였고, 농도 해방과 농노제 폐지 등으로 귀결된 농민 운동과 교육 운동 등에서 비폭력주의를 강조한 평화주의자였다. 이러한 톨스토이주의는 많은 지지자들을 얻게 되어 러시아와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톨스토이주의자들이 형성되었다.
* 톨스토이의 하나님 나라: 톨스토이의 하나님 나라는 인간이 서로 도와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야 하며, 하나님 나라를 깨닫고 선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천년 왕국설이나 하나님 왕국과 유사한 신앙으로 해석된다. 톨스토이의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 성립, 선포의 3단계론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기다리고 기대하며, 하나님 나라가 도래했음과 그 성립을 믿으며,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는 믿음과 신앙의 완성이다. 또한 톨스토이에게는 하나님의 “존재”는 나의 존재와 같은 것이며, 하나님이 “근원”이고 “원인”이며 삶 자체이다. 톨스토이의 하나님 나라와 평화주의는 “하나님 왕국은 여러분 안에 있다”(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는 저작에서 설명되었다.
* 톨스토이 평가: 19세기 러시아 사실주의 소설의 동료이자 선배인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는 19세기 동시대인 작가이자 선배 작가로서 톨스토이의 소설 작품에 경의와 만족감을 표했다고 한다. 또한 인도 독립의 지도자 마하트마 간디는 톨스토이를 비폭력주의의 위대한 사도라고 평가했다. 톨스토이는 러시아의 위대한 작가이자 세계의 대문호였으며, 계몽 운동의 정신적 지주로서 인류의 사도였다. 도스토예프스키와 간디 외에도 많은 근현대의 작가들과 비평가들이 톨스토이를 극찬하거나 비판했다.
* 크림전쟁 참전 작가: 톨스토이는 크림전쟁에 군인으로 참전한 참전 군인 출신 작가이다. 포병 하사관으로 참전해서 전투의 공훈으로 중위로 진급했다. 이 경험을 수기로 쓴 것이 톨스토이가 청년 작가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톨스토이는 자신의 경험을 꽃이 만발한 계곡에 널려 있는 군복 입은 시체 더미와 시체 썩는 냄새라고 표현했다. 전쟁이 끝나고 군에서 전역한 후에 톨스토이는 고향으로 귀향해서 농민 계몽 운동과 교육, 언론 등의 지역 활동을 함께하면서 창작에 전념했다.
* 톨스토이 영지: 어머니가 물려준 유산이자 톨스토이가 평생 고향 생활을 영위했던 영지와 영지의 저택은 제2차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의 야전병원으로 쓰이다가 독소전쟁이 끝나고 복원되어 현재는 톨스토이주의자들의 순례 여행지가 되었다. 고향 마을의 톨스토이 저택과 함께,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에는 톨스토이기념관이 있으며, 간이역 톨스토이역이 있다. 특히, 톨스토이 영지에는 저택과 자작나무 숲길, 묘소, 흉상, 기념품 가게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러시아와 그의 고향 주변에는 여러 톨스토이 기념물들이 있다.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톨스토이 연구 성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검색된 한국의 톨스토이 연구 성과와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라승도 저 「톨스토이는 어떻게 시각화되었는가?」(『슬라브학보』 제26권 제2호,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1년 외 국내학술논문 442편; 최정은 저 「톨스토이 창작에 나타나는 사랑관 연구: 이타적 사랑을 통한 ‘선’ 사상의 구현」, 중앙대학교대학원, 2012년(국내석사논문) 등 학위논문 133편; 이문영 저 『톨스토이와 평화』, 모시는사람들, 2016년 외 단행본 5,452권; 조혜경 저 「노장과 톨스토이: 톨스토이 소설에 나타난 사생관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NRF), 2016년 외 연구보고서 119편; 최정현 강의 「러시아문학사2」, 고려대학교, 2022년 2월 14일 외 공개강의 4편 등<http://riss.kr>. <끝> <나종혁 글>
* 참고 자료: “레프 톨스토이,” 위키백과; “레프 톨스토이,” <http://ko.wikisource.org/>; “레프 톨스토이,” 위키인용집, <http://ko.wikiquote.org>; 레프 톨스토이 지음•이항재 옮김, 「톨스토이 연보」, 『톨스토이와 행복한 하루』, 서울: 에디터, 2014년(전자책); “Leo Tolstoy,” Wikipedia; “Leo Tolstoy bibliography,” Wikipedia; 기타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