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B | c | d e f | g | h i |
j k l | m n o | p q | s | t |
u v | w |
Aero dynamics (에어로 다이네믹스) :
기역학을 나타내는 말로 이것을 이용하여 공기저항을 줄인 볼. 골프클럽이 많이 제작되고 있다.
아마도 자동차를 만들 때 하연연기로 자동차의 공기저항 테스트를 본적이 있을 것이다. 골프
클럽헤드에서도 똑같은 개념의 테스트를 한다고 보면 될 것이다.
Amorphous metal (아몰포러스 메탈) :
액체이면서 결정구조를 가지는 액정에 반하여 금속이면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은 비결정금속.
비례강도가 높고, 탄성한도가 높기 때문에 임팩트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적은 「장타성」헤드의
제작이 기대된다.
Antique (안티크) :
오래된 골프클럽들 중에서 이미 그 실용적 가치가 없어져 자료 면으로나 미술적인 연구, 감상의
대상으로 다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스틸샤프트 이전, 또는 초기의 스틸샤프트까지의 클럽은 대개
안티크로 취급된다.
Approach wedge (어프로치 웨지) :
칭웨지와 샌드웨지와의 중간거리에서 사용하기 위한 웨지. 또는 샌드웨지 이상의 로프트가 있어 짧은
거리용으로 만들어진 웨지(로우 웨지). 메이커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Archery burge (아쳐리 벌지) :
우드형태의 중심이 깊은 클럽에서는 기어효과를 억제하기 위해 페이스 면을 원형(라운드)으로 하지만,
기어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페이스 중심부는 약하게(원형에 가깝게), 기어효과를 억제하기 위해서
토우, 힐 부분은 강하게(직각에 가깝게) 라운드를 시킨 활형상의 벌지를 접합시킨 던롭社가 고안한
형상.
Assembly (어셈블리) :
드, 샤프트, 그립 등의 부품을 조립하여 클럽을 제작하는 작업을 일컫는 말이다.
Belly Putter (벨리퍼터) :
Belly Putter는 33-35 인치 일반 퍼터 보다 긴 40인치 길이의 퍼터에 퍼팅할 때 퍼터의 끝이 배위쪽(
Belly)애 닿게해서 퍼팅을 하게 된다. 퍼터의 끝 부분이 배쪽에 땋이 있기 때문에 스윙할 때에 일반
퍼터 보다 퍼터 끝의 손의 움직임이 적어 퍼터 하기가 편하고 스윙 궤적을 정확하게 만들어 준다.
Belly 퍼터는 한쪽 손은 퍼터의 끝을 쥐고 배에 닿게 하고 한손은 퍼터의 샤프트를 쥐고 스윙을
하게 됨으로 퍼터의 어드레스시에 눈의 위치가 바로 볼위에 있어 퍼터 라인을 보기가 쉽고 가슴에
닿은 손은 중심 축을 이루면서 한곳에 고정 되어있어 스윙 시에 퍼터의 끝이 흔들림이 없어 일정한
스윙을 할 수가 있다. Belly Putter 의 특징은 퍼터를 잡는 손의 위치가 떨어져 아래손은 퍼터
헤드에 가깝게 쥐게 되어 퍼터 콘트롤이 좋으며, 퍼터의 모양은 시계 추가 움직이는 모양을 연상케
한다. 밸리(미드사이즈) 퍼터의 라이 각도는 74도에서 76도 이며 밸리 퍼터나 사용되는 그립은 USGA
룰에 의하여 반듯이 둥글어야하며, 일반 퍼터 그립처럼 한 쪽면이 납짝 해서는 안된다.
Bend Point (벤드 포인트) :
Shaft의 양쪽 끝을 밀었을 때 shaft가 휘어지는 지점을 말한다. Bend point는 low bend point, mid
bend and high bend point으로 분류한다. Low bend point shaft 는 butt firm and tip flexible, mid
bend point shaft는 butt and tip medium high bend point shaft는 butt flexible, tip firm 하다.
Flex point 또는 kick point 와 같은 의미이다. lowest and highest bend point 의 간격은 2" 정도이
하의 간격이며,같은 강도의 샤프트라도 low bend point bend point 의 샤프트보다 더 강도가 약하게
느껴진다. bend point 에 따라 약 1도 가량 low bend point의 샤프트가 탄도 가 더 높다.
Blade putter (블레이드 퍼터) :
퍼터 중에서 샤프트가 힐(HILL) 끝에 붙어있고 정면에서 보면 L자형으로 보이는 것.
Blue away (블루 어웨이) :
일반적으로 드라이버나 아이언 헤드 분리 시에 호젤에 히트건에 의해 호젤 부분이 변색되거나 누렇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블루 어웨이라는 용액을 사용해서 닦아내게 되면 원래 색깔을 되찾을 수
있다. 단 호젤 부분이 스틸이라는 것에 한해서이다. 만약 페인팅이 되어 있는 호젤 이라면 아마도
리피니쉬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Butt trim / Tip trim (벗 트림 / 팁 트림) :
샤프트의 팁 부분과 벗 부분 즉, 팁이란 샤프트의 앞쪽 가장 얇은 부분은 팁이라고 부르며 샤프트의
뒤쪽 가장 두꺼운 부분을 벗 이라고 얘기한다. 이 샤프트의 팁과 벗 부분을 자르는 것을 트림(TRIM)
이라고 얘기하며 벗 부분을 자르는 것은 주로 재단의 의미로 자르지만 팁을 자르는 것은 강 도를
맞추기 위해 자르는 의미가 크다.
Carbon iron (카본아이언) : 헤드에 강화카본 수지를 사용해서 만든 아이언. 강화카본수지는 비중이 가볍고 중량비례강도가 높아 설계가 자유롭고 다른 소재와 복합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저중심이나 와이드 에리어의 클럽제작이 쉽다. 한때 유행을 타기도 했지만 표면이 손상되기 쉽다는 결함으로 인해 현재는 잠잠해졌다. 잠재적인 가능성은 있는 클럽이다.
Carbon wood (카본 우드) : 헤드에 강화카본 수지를 사용해서 만든 우드클럽. 설계가 자유롭고, 금속 소재이상으로 대형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소리가 거의 없고 표면이 손상되기 쉬워 현재는 많이는 생산되지 않으나, 그런 결점을 보강한다면 아직도 가능성이 있는 클럽이다.
Casted (주조) : 주조클럽은 쇠를 녹여서 금형에 부어서 만든다. 이러한 주조에는 사람 손의 공정이 단조보다 훨씬 적다. 사실은 금형으로 만든 주조가 단조 보다 정밀도가 더 정확하게 제조 된다. 또한 주조는 대량으로 생산 할 수가있어 원가면에서 싼값에 만들 수 있다는 것 장점이며, 주조 제작은 수 작업의 공정이 작기 때문에 단조보다 싼 가격으로 판매할 수가 있어 많은 골프클럽 제조회사가 주조로 골프 클럽 헤드를 만든다. 우리가 알고 있는 단조체는 쇠가 브드러운 것으로 만들었을 뿐이지 소재가 같은 골프클럽은 단조로 공정을 했든 주조로 공정을 했든 결과는 같다. 클럽선택 시 단조채 인지 주조채 인지 보다는 어떤 금속의 채가 나의 스윙에 맞는것 재질의 채 인가를 생각하면 된다. 실력이 아주좋은 골퍼들이 두 채를 사용해서 볼의 비거리나 느낌이나 그 어떤 차이점을 찾아 낼 수가 없다는 것은 미국의 연구 팀에 의해서 발표되었다.
Cavity Back Iron (캐비티백 아이언) : 아이언 헤드 뒤에 캐비티를 만들어 무게배분을 중심점에서 멀리 헤드 주위에 배분되어 있는 클럽을 말하는 것으로 스윗스폿에서 벗어나 타구 되어도 Forgiveness (실수 완와성)을 갖도록 되어 있는 클럽이다.
Center of Gravity (무게 중심점) : 각 클럽의 무게 중심점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아이언 Clubhead는 Cavity Back Club (perimeter weighted Club) 헤드 와 Muscle Back Club (Center weighted club) 헤드의 형태로 분류하며, 클럽의 Center of gravity (중심점)를 "sweet spot"이라고도 일컬어지고 있다. 각 형태의클럽을 중심점의 위치에 따라서 다시 세분하게 되는데 중심점이 낮으면 low center of gravity (low sweet spot 저중심)로 중심점이 높으면 high center of gravity (high sweet spot, 고중심)로 분류한다.
Chrome plating (크롬도금) : 주로 연철 아이언 등에 녹을 방지할 목적과 데코레이션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도금형태로 널리 사용된다. 이 도금을 시행하기 전에 동도금, 니켈도금 등을 먼저 하는 일이 많다. 강하고, 쉽게 부식되지 않지만, 표면의 경도가 높아지기도 한다.
Classic club (클래식 클럽) : 낡은 클럽 중에 지금까지도 실용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이렇게 부른다. 연대로 구분하면 1930년대 이후의 클럽을 말한다. 명기로 귀하게 여기는 것들은 웨지, 퍼터의 경우는 30년대 이후, 우드, 아이언의 경우는 50년대 이후의 것이 많다.
Club Balance Point (클럽 밸런스 포인트) : 완성클럽의 무게중심을 말하는 것으로 그립 끝에서 중심점까지의 길이를 Balance Point 라고하고 BP가 긴 상대적으로 헤드쪽에 가까운 것을 Low 바란스포인트 라고 하며 샤프트 바란스포인트와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Low 와 High의 차이가 대략 3인치 차이를 갖고 로우 바란스포인트 클럽일수록 전체무게가 같다하더라도 헤드의 무게감을 더 느끼게되는 것이다.
Club Lenght (클럽 길이) : Golf Club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은 Club Sole의 중심점이 땅에 닿는 부분에서 부터 Grip의 끝 부분까지 길이를 말한다.이것을 playing length라 하고 Standard 길이보다 길면 Over length, Standard,보다 짧으면 Under length 특히 Club의 length는 각 Club 제조회사 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Club의 길이가 길면 Swing Arc가 커저서 Club head의 speed가 증가 되어 볼의 비 거리를 더 낼 수 있지만 골프 클럽이 길면 길수록 볼이 클럽헤드의 중심점에 맞는 정확도 율은 떨어지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Golf Club이 길면 길수록 스윙 때 골프 클럽이 무겁게 느꺼져서 때에 따라서는 Club head의 속도를 충분히 낼 수가 없어 오히려 골프클럽이 짧을 때보다 더 Club헤드의 속도가 줄어 볼의 비 거리가 줄어들기도 한다.특히 골프 클럽의 길이는 골퍼의 신장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골프 클럽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볼이 클럽 페이스의 중심점에 맞는 확률이 낮아지며, 볼이 클럽 페이스의 중심점에서 1/2 인치 벗어나서 맞으면 Wood 나 Iron은 비거리가 7-8% 줄어들며, 또한 볼의 정확도도 많이 줄어든다.골프클럽의 길이를 연장하면 비거리가 길어지는 것은 당연하나 모든 골퍼에 다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골퍼의 신체적 요건이나 체력 조건에 맞게 골프 클럽의 총 길이를 선택해야 하는 것이 골프 게임을 발전하게 하는요인중에 하나이다. 긴 골프 클럽으로 비거리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골퍼에 따라서 골프 클럽의 총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이 비거리를 늘리는데 오히려 더 효과적이다.
Composit (컴포지트) : 복합. 샤프트나 헤드에 다른 종류의 소재를 조합해서 만든 제품. 카본샤프트는 원래 카본섬유와 에폭시수지와의 컴포지트이다. 보론, 티탄섬유를 복합해서 만든 샤프트나 무거운 금속(텅스텐 등)을 복합시켜 만든 샤프트나 헤드 등이 있다. 여러 종류의 금속을 복합해서 만든 헤드도 많다.
Cord grip (코드 그립) : 고무그립의 둘레를 면사를 세로로 배치하여 성형 후 표면을 깎아내어 실의 일부를 표면에 나오도록 가공한 그립. 사람에 따라서는 미끄러움이 적고 그립이 안정적이라는 말을 한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개개인의 차이일 뿐이다. 전면에 실을 배치한 풀 코드는 감촉이 딱딱하여 일부만 배치한 하프코드도 있고 그립소재를 부드럽게 가공한 소프트코드 또는 그립 뒤쪽 의 절반 부분만 코드로 만든 쿼터 코드 등도 만들어 지고 있다.
Counter balance (카운터 밸런스) : 카본 샤프트로 경량샤프트가 만들어지면서부터 가볍지만 반대로 스윙에 불편함을 느끼는 골퍼들이 그립을 무겁게 해서 사용. 헤드를 빠르게 컨트롤할 수 있는 감각을 얻을 수 있다.샤프트 윗부분을 무겁게 하거나, 그립을 무겁게 하기도 한다.
Crown (크라운) : 드라이버 헤드 윗부분의 정점을 뜻하는 말이다.
Custom fitting (커스텀 피팅) : 특정 개인에 맞춰 제작하는 오더메이드 시스템. 미리 준비된 다양한 소재 중에서 선별하거나 샤프트만 자유롭게 골라 제작하거나, 헤드도 요구에 맞춰 가공하는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제조 시스템.
Custom made (오더 메이드) : 자신의 힘이나 기술, 치고 싶은 구질이나 감각적인 취향 등을 반영시킨 특정의 개인을 위한 제작시스템을 말한다.
|
Depth of center of gravity ( 중심심도) :
페이스 면에서 중심까지의 깊이. 중심이 깊으면 스핀이 걸리기 쉽고, 일정이상의 깊이가 되면
기어효과가 일어나기 쉽다. 우드에서 중심이 너무 깊을 경우 페이스 면에 라운드를 부착시켜 볼과의
접촉면적을 좁히고 기어효과를 억제한다. 로프트가 많은 클럽은 중심을 깊게 하면 스위트 스팟이
높아진다.
EPDM (이피디엠) :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소재로 한 에틸렌 프로필렌고무의 한 종류로 젠모노마를 더한 것. 각각의
머릿글자를 따서 E P D M으로 부른다. 라지에이터 호스,와이퍼 브레이드, 내약품호스 약품에
용해되지 않는 성질의 호스)등에 사용되는 소재이지만, 이것을 그립에 이용한 것이 로얄그립 등의
소프트 그립이다.
Epoxy (에폭시) :
드라이버, 우드, 아이언, 퍼터에 조립을 할 때 쓰이는 골프클럽 전용 접합제, 이것은 주제와
경화제로 나뉘어져 있어 이 두가지의 물질을 서로 믹스 시키게 되면 서서히 접착력이 생기게 되고
서서히 굳게 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완전히 굳은 다음의 촉감은 플라스틱과 고무의 사이정도의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골프 클럽 조립에 쓰이게 되는 에폭시는 30분용, 1시간용, 5시간용,
12시간용, 24시간용 이렇게 나뉘어 지는데 일반적으로 골프 클럽 조립에서는 24시간용을 주로 쓴다..
Face Angle (훼이스 앵글):
Face Angle은 wood에서만 적용되며 target line과 hosel bore의 중앙선이 목표선으로 90` 도
직각으로 놓았을 때 Clubface의 정 중앙점과 target line 사이에 생기는 각도를 말한다.이 때
Clubface가 target line보다 왼쪽 (hook side)으로 향해 있으면 closed face angle, 오른쪽 (slice
side)으로 향해 있으면 open angle, 직각 (target side)으로 향하면 square face angle 이라 한다.
선천적으로 스윙이 훅 성이 있는 사람은 약간 open face 1도나 2도 정도의 클럽을, 선천적으로
슬라이스 성이 있는 사람은 close face, 1도 2도의 클럽을 추천하는 것도 볼 을 똑바로 가게 하는
방법중의 하나다.
Face Balanced Putter (페이스 발란스 퍼터 ) :
두 손을 같은 높이로 나란하게 한후 두손의 손 가락위에 퍼터 샤프트를 올려 놓았을 때 퍼터
페이스가 하늘을 보면서 페이스 면과 지면이 나란하게 수평을 이룬다면 이런 것을 "face balanced
putter"라고 한다.오디세이 반달형, Two Ball 퍼터, Carbite와 같은 큰 mallet 형태의 퍼터, 테일러
메이드의 Nubbin 퍼터 같은 것들이 페이스 발란스 퍼터이다.
Face Progression (훼이스 프로그레션) :
Club hosel 의 중앙선보다 Club face의 맨 끝 부분이 앞으로 튀어 나와 있는 것을 Face
Progression이며
Ferrule (페럴) :
샤프트와 호젤 연결부위 위에 끼우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부품을 말한다.기능에는 영향이 없고 모양을
좋게한다.
Flex (플렉스) :
샤프트에 힘이 가해질 때 탄력성을 가지고 휘어지는 것을 말한다. 플렉스의 정도와 타이밍이 스윙에
큰 영향을 준다. 많은 사람들이 말하는 S, SR, R, A, L 등 로고의 앞부분만 가지고 말하는 이것들이
바로 플렉스를 뜻하는 말이다.
Forged (단조) :
제조 하는 공정이 유압 프레스레스로 찍어서 만드는 방법이다. 경도가 아주 강한 철판 이외의 조금
부더러운 어떠한 철판이라도 무거운 유압프레스기를 사용해서 기본 모양의 틀에 찍을 수 만 있다면
단조로 제작할 수가 있다. 철판을 프레스로 클럽 모양의 기본 틀에 찍은 다음(stamping) 손으로
정확한 규격이나,무게가 맞게 갈아서 만드는 수제품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로 크롬으로 도금
처리를 하는 것이다. 단조채는 철의 강도가 약한 1030, 8620 카본 스틸 철판을 많이 사용하지만 17-4,
431 스텐레스나, 6-4, 베타 티타니움도 단조 형식으로 만든다.
Forgiveness (실수완화성) :
약간 빗맞아서도 볼의 비거리, 방향성등 여러 가지 문제 점들을 최소화 해주는 것을 말한다.
Forty Five Degree Hanger Putter (45 도 기울기 퍼터) :
양손의 손가락위에 퍼터 샤프트를 걸쳤을 때 toe 가 45도 정도로 각도를 이룬다면 이것을 "forty-five degree hanger"라고 부른다. 대부분 종류의 퍼터들은 20도에서 80도 사이의 각을 이룬다.
Frequency (진동수) :
샤프트의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하나. 물질에는 각각의 고유한 진동수가 있어 각각의 진동폭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이 성질에 주목하여 샤프트를 진동시키고 1분간에 몇 회 진동하는 가로
강도를 측정한다. 하드히터인 골퍼가 스윙을 해도, 힘없는 노인이 스윙해도 1분에 256회 진동하는
샤프트는 같은 횟수만 진동한다. 수치로 표시되므로 일반인들도 알기 쉽다. 또한 종래의 샤프트의
요도계는 샤프트를 측정 했을 때 동일한 수치라도 클럽으로 했을 때 헤드 중량이나 길이가 틀리면
휘어지는 형태도 달라져버린다. 계산하는 것이 귀찮지만 진동수측정기로 하면 클럽상태로 수치를
확인하는 것도 간단하다.
Gear effect (기어 효과):
공이 클럽훼이스 힐 방향으로 맞으면 헤드는 무게중심에서 보면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따라서
헤드면에 접촉되어있는 공이 우측 방향의 사이드 스핀이 발생하게 되며 토우 쪽에 맞게 되면 헤드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헤드 면에 접촉되어 있는 공은 왼쪽방향의 사이드 스핀이 발생하는, 즉
헤드면과 공이 기어처럼 맞물려 돌아간다는 원리를 말한다.
Golf club Balance point (골프클럽 밸런스 포인트) :
완성된 Golf Club의 Head쪽과 Grip쪽의 균등하게 나누어지는 무게 중심점을 말하며, Low balance와
High balance point로 구별한다. 이때 shaft의 Low, Mid, Height balance point 와 혼돈해서는
안된다.골프클럽의 low balance point 와 high balance point 거리의 차이는 2"에서 5"정도 차이가
나며 많은 골퍼들은 low balance point 의 Club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골프클럽의 balance point는
grip의 무게와 샤프트의 길이에 따라 증감이 만들어지고 balance point가 낮은 골프클럽일 수록 헤드
쪽이 무겁다.
Goose neck (구즈 넥) :
거위의 목처럼 휘어져 페이스 면이 샤프트 중심선보다 뒤에 있는 클럽. 볼을 스윗 스폿에 히트시키기
쉽게 설계. 구즈 넥 플로우 (GOOSE NECK FLOW) 아이언세트에서 롱 아이언일수록 구즈 넥의 정도가
강하게 설계된 형태.
Graphite shaft (카본샤프트) :
열경화성수지를 탄소섬유로 강화시킨 샤프트.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 (CFRP)샤프트의 약칭이라 할
수있다. 종래의 스틸 샤프트보다 중량비중강도가 높아 경량화가 가능하다. 제조법에는 심금에 시트
상태의 카본섬유와 수지와의 혼합물을 감아서 만드는 시트제법과 회전하는 심금에 수지가 들어간
카본섬유를 감아서 완성시키는 필라멘트 와인딩제법, 샤프트 내부에 공기압을 가해 외부의 형태를
성형하는 내압성형법등이 있다. 설계가 자유롭고 롱 샤프트, 초경량샤프트 외에도 무게중심위치나
플렉스 포인트, 두께 등을 연구하여 다양한 샤프트가 만들어 지고 있다. 아직 발전가능성이 충분한
샤프트라고 할 수 있다.
GRIP (그립) :
골프클럽에서 골퍼가 손으로 잡는 부분. 볼을 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스윙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잡기 쉬운 두께로 하기 위해 그립을 끼운다. 퍼터를 제외한 아이언, 우드의 그립형태는 룰
(RULE)에 따라 자세하게 규정되어 있다.
Grip size and Type (그립 사이즈/타입) :
Grip size의 측정은 두가지 방법으로 측정한다.첫째 : grip cap의 끝에서 2"아래로 내려 측정하는
방법을 upper hand measurement둘째 : 6" 아래로 내려 측정하는 방법을 lower hand measurement라
한다.Grip Size의 종류 : Jumbo size, Mid size, mem' std, Ladies, Junior 등으로 구분한다.
Grip tape (그립테이프) :
립을 샤프트에 장착할 때 쓰이는 양면의 접착력을 가진 테이프라고 보면 된다. 일반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양면테이프가 아닌 골프 클럽의 그립을 장착할 때 쓰이는 그립테이프는 조금 특별하다.
Grip Weight (그립 무게) :
그립 무게의 분류는 Ultra Light Weight,Light Weight,Standard Weight,Heavy Weight
Gun blue (건블루) :
본래는 권총 등에 사용되던 녹 방지용 오일을 사용해서 마무리가공을 한 것. 주로 퍼터에서 소재의
부드러움을 살리기 위해 표면에 도금을 하지 않고 이 처리를 하지만 최근에는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단, 녹을 방지하는 효과는 그렇게 기대할 수 없다. 코스에서 사용하거나 물에 젖을 경우
쉽게 녹이 스는 것이 현실이다.
Heel Toe Weighted Putter (힐 토우 웨이티드 퍼터) :
양 손의 손가락 위에 퍼터를 걸쳤을 때 퍼터의 "toe"가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향하고 "heel" 이 하늘로
향하면서 퍼터의 페이스 면의 연장 선과 땅이 수직을 이룰 때 이것을 "heel-toe weighted" 퍼터라고
한다.블레이드와 같은 L 자형 퍼터들이 보통 heel-toe weighted 퍼터이다.
Horizontal Bulge (수평 벌지) :
모든 wood는 Face가 Toe와 Hill사이에 약간 둥글게 만들어져 있는데 이것을 Horizontal Face Bulge
라한다.볼이 스윗스폿에서 토우나 힐 쪽으로 벗어나 맞게되면 Gear effect 에 의해 사이드 스핀이
발생한다.즉 Top쪽에 볼이 맞으면 볼의 출발이 약간 오른쪽으로 출발하다가 볼이 Hooking sidespin이
걸리게 되어 왼쪽으로 볼의 진로를 바꾸어 fairway 가운데로 오고 Hill 쪽에 볼이 맞으면 볼의
출발이 약간 왼쪽으로 출발했다가 볼이 Fading sidespin 이 걸려 볼의 진로를 바꾸게 되어 Fairway
가운데로 오게 한다.club face가 flat인 골프클럽에 볼이 맞으면 볼이 출발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가지 않고 직선으로 볼이 날아가다 sidespin에 의해서 볼의 진로가 지나치게 꺽어져 Target 방향보다
많이 꺾여진다.
Hosel Off Set (호젤 오프셋):
Hosel의 바깥선보다. clubface 중앙 맨 끝 쪽이 뒤로 들어간 것을 Hosel Offset 이라 한다.Hosel
Offset 은 탄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롱 Iron club은 Hose Offset 이 크면 좋고, Middle iron
club은 조금, Short iron 은 작으면 좋다.
Hybrid shaft (하이브리드 샤프트) :
하이브리드 우드에 맞게끔 만들어진 샤프트 이다. 2년 정도 전에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하이브리드
우드는 일반 우드의 어려움을 가진 골퍼들에게 좀 더 쉽게 우드 플레이를 할 수 있게 만들어진
우드이다. 일반적으로 우드용 샤프트로 분류되어 우드나 드라이버에 접합되던 샤프트와는 달리
하이브리드 전용 샤프트는 일반 아이언만큼의 충격을 샤프트에서 받아들여져야 하기 때문에 좀 더
강하게 만든 것이 특징이다.
Ingot (인곳) :
광석에서 채취하여 제품화과정에서 가공을 편하게 하기 위한 형태로 주조된 금속덩어리. 주괴로도
불린다.
Inner cavity (인너 캐비티) :
캐비티백 아이언의 뒷면에 플레이트를 씌워 안쪽에 캐비티가 있는 아이언. 중공(中空)아이언과
구조는 동일. 테일러 메이드사가 관점을 달리하여 이와 같은 명칭으로 채택
Insert hosel (인서트호젤) :
헤드 안쪽에 호젤을 접합시킨 형상. 샤프트에 가까운 곳으로 임팩트가 가능한 대형헤드에서도
중심거리가 길어지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Kevlar (케브라) :
고탄성율, 고탄성의 아라미드 섬유로 방탄조끼, 타이어 코드 등에 사용된다. 케브라는 듀퐁사의 상표.
골프클럽으로는 카본샤프트의 복합재로 이용된다. 신축성이 뛰어나고, 비중이 1.45로 가볍다.
Launch angle (출발탄도) :
공이 페이스에 맞아 떠나게 되는 각도를 말한다. 이 출발탄도에 따라서 공의 스핀량과 공의 전체적인
탄도와 방향성에 크나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국내나 해외에 위치에 있는 피팅센터에서는 이
출발탄도를 체크하기 위해 발사모니터라는 런치모니터(Launch Monitor)를 써서 공의 정확한
출발탄도를 알아낸다.
Lie Angle (라이 앵글):
Clubhead의 Sole을 지면에 놓았을 때 Clubhead의 맨 앞 밑쪽의 중간 부분의 연장선과 Clubhead
Hosel의 중앙선의 연장선 사이에 만들어지는 각도를 말한다.이 때에 만들어지는 각도가 표준치보다
작을 때를 flat lie라 하고 표준치보다 클 때를 upright lie라고 한다. 어드레스시에 클럽헤드의
앞쪽(Toe)이 지면에서 떨어지면 upright lie라 하며, 클럽헤드의 뒤쪽(Heel)이 지면에서 떨어지면
Flat Lie라하며 클럽의 Loft가 크면 클수록 Lie 영향을 많이 받는다. 임펙트 때 iron club의 leading
edge(앞 끝부분)가 목표선에 직각으로 볼을 타격 했을 때, upright Lie 클럽은 볼의 방향이 왼쪽으로
날라 flat Lie의 클럽은 볼의 방향이 오른쪽으로 날라간다.
Light weight grip (경량그립) :
카본 샤프트의 경량화가 진행되어 40그램 이하의 종래의 그립보다 가벼운 것도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그립부분이 두꺼운 샤프트용의 그립도 늘어나고 있어 한층 더 경량화 된 그립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40그램 전후의 것들이 경량화 그립.
Light weight shaft (경량샤프트) :
가벼운 샤프트란 의미로 해가 갈수록 샤프트의 경량화가 진행되어 표준 중량이 가벼워져
경량샤프트의 기준도 변하고 있다. 우드용으로 스틸은 100그램 이하, 카본은 60그램 이하가 경량,
카본으로 50그램 이하는 초경량샤프트로 분류할 수 있다.
Location of center gravity (클무게중심 위치) :
럽 헤드의 기능은 중심위치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중심높이는 타출각(打出角)의 고저(高低)에,
좌우의 중심위치와 중심각은 좌우의 구질에, 중심거리는 스윙의 피니쉬에 , 중심심도는 스핀량에
관계한다고 할 수 있다.
Loft (로프트) :
샤프트를 부착한 WOOD 클럽 헤드의 솔(Sole)을 지면에 수평으로 놓았을 때 지면에 닿은 솔(Sole)의
수평 선과 수직을 이루는 점을 클럽 face 의 정 중앙 부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그은 사선이 통과할 때
클럽 face의 사선과 솔의 수평선 사이에 생기는 각을 loft라 하며 그 각의 크기에 따라서 9도,10도,
11도,13도 등이라 한다.같은 Club head 속도일 때 각도가 크면 탄도가 높고 또 backspin도 많으나,
대신 거리는 줄어든다.같은 loft의 경우 club head의 속도에 따라 볼의 탄도가 높아진다.
Long Putter (롱 퍼터) :
롱 퍼터는 미국 시니어 PGA 투어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하고 있었고, PGA Tour 에서도 우승 퍼터로
사용하고 있다. 롱퍼터를 PGA 투어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불과 몇 년이 안되지만, 최근에는
일반 아마 추어 골퍼들도 롱 퍼터를 사용하는 것을 많이 볼 수가 있다. 롱 퍼터는 Belly 퍼터와
비슷하며 오직 퍼터 샤프트의 길이가 50 인치 정도 긴 것이 다를 뿐이다. 롱퍼터는 퍼터 끝을 잡은
손이 명치위의 가슴 정 중앙에 닿게 하여 스윙을 한다. 유럽의 프로 선수 Sam Torrance 는 퍼터의
끝을 턱밑에다 붙여서 퍼터의 바란스를 만들어서 퍼딩을 한다. Belly Putter를 사용하다 롱 퍼터로
바꾸는 선수도 있다. Belly Putter 나 Long Putter 를 사용하는 선수들의 이야기는 롱 퍼터의 아래
손이 홀 컵을 향해서 밀기 때문에 퍼터 스트로크를 일관성 있게 할 수가 있어 정확 도가 좋아 진다고
한다.롱 퍼터는 길이가 47-50인치 정도이며 퍼터가 길어 퍼팅 시에 퍼터의 무게를 느낄려면 퍼터
무게가 최소한 400그램 이상 이어야한다. 퍼터의 헤드가 무거워야 하는 이유는 시께 추처럼 스윙을
할려면 퍼터의 바란스를 잘 맞추어야 스윙 할 때에 흔들림이 적다. 롱 퍼터의 라이는 USGA 의 최고
라이인 80도 에 가까운 라이이다. 롱 퍼터는 One-piece 나 Two-piece 그립으로 로 장착을 한다. One-
piece 그립은 18인치 길이로 골퍼의 아래 손위치에 관계없이 장착하고, Two-piece의 그립의 경우는
위쪽의 그립을 Top 그립이라 하고 아래 쪽 그립을 Lower 그립이라 한다. 톱 그립은 명치 위나
턱밑에 닿게 되고 아래 그립 장착은 골퍼의 아래 손의 위치에 따라서 결정이된다. 롱 퍼터의 라이
각도는 78도에서 80도 사이가 되며,롱퍼터에 사용되는 그립은 USGA 룰에 의하여 반듯이 둥글어야하며, 일반 퍼터 그립처럼 한쪽면이 납짝 해서는 안된다.
Low center of gravity (로우 센터 오브 그라비티) :
드라이버 헤드를 예로 든다면 헤드의 관성모멘트가 저중심으로 설계가 되었다는 말에서 자주 쓰이게
되는 말이다.
Maraging steel(머레이징 스틸):
경도가 높은 합금철로 우드에 훼이스에 사용된다.
Milled club (삭출가공클럽) :
밀링머신(프레이스반)을 이용해 표면을 평편하게 깎아낸 클럽. 퍼터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아이언에도 적용되기도 한다. 인곳(ingot)에서 전체를 깎아내는 것부터 넥(Neck)부분은 별도로
만들어 용접하는 것, 단조, 주조로 헤드를 제작하여 페이스 면을 깎아내는 것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이 모든 종류를 삭출 가공된 클럽 이라한다.
Moment of inertia (관성 모멘트) :
회전운동에 대한 저항의 크고 작음을 나타내는 말. 골프클럽에서는 주로 3개의 경우를 들 수 있다.
헤드단위의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관성 모멘트로 이것이 클 경우, 가운데 심 (芯)을 벗어나게
임팩트 할 때 헤드가 돌아가지 않고, 구질의 방향성이 안정성을 띤다.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헤드의 관성 모멘트로 이것이 크면 헤드를 턴 시킬 때 (임팩트 후 팔로우 스로우에 이르는 과정) 큰
힘이 필요하다. 그립 끝을 축으로 하는 관성 모멘트로 이것은 코크, 언코크시에 필요한 힘과 관계가
있다. 단, 편안한 스윙은 클럽과 양팔을, 목 근육을 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하는 관성 모멘트가
작동한다.
Muscle Back Iron (머슬백 아이언) :
Muscle Back Iron 상급자나 투어 프로들을 위해서 주로 제조하며 Blades 아이언은 흔히 말하는 Muscle-back 이라하여 클럽헤드의 중심점 주위에 무게 배분이 되어있게 디자인하여 만든 클럽이다. 1970년 대 이전에는 아이언 제조가 Blades 타입의 골프클럽 헤드로만 주로 디자인되어 제조 되었을 뿐이었다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
특정한 회사가 타사에 제품을 위탁하여 자사 브랜드로 판매 또는 사용하는 외주 하청형식의 하나이다.
그립, 샤프트, 아이언헤드 등은 이전부터 많았으나, 티탄헤드 등으로 한층 더 넓게 이 방법이 쓰이고
있다
Original loft (오리지날 로프트 or 리얼 로프트) :
우드의 로프트로 솔(SOLE)을 기준으로 하여 90도를 이루는 각도와 페이스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각도를 로프트라 한다. 아이언과는 그 기준이 틀리므로 점점 사용이 줄고 있지만 이전부터
사용되어온 방법으로 이 기준으로 측정하는 제조사도 있다.
Ounce (온스) :
야드, 파운드법에서 질량의 단위.oz로 표기된다.
Over hosel (오버 호젤) :
보통샤프트는 헤드의 넥(호젤)부분에 뚫린 구멍에 집어넣어 접합시키는 방식이지만, 반대로 샤프트
안쪽의 구멍에 헤드 쪽의 가늘게 가공된 넥 부분을 꽂아 접합시키는 방법. 넥 부분이 말끔해진다.
제작 방법에 따라 저중심효과도 있다. 단, 샤프트 끝부분에 적절한 강도가필요하다.
Oversize grip (오버사이즈 그립) :
퍼터에서 손목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막기 위해 매우 두껍게 가공한 그립. 종래의 그립의 직경이 0.
6인치인데 반해 0.7인치이상으로 가공한 그립. 47인치 이상의 롱 샤프트의 드라이버 등에 사용되며
샤프트의 톨크를 억제하고, 손목의 롤도 제한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Oversize head (대형헤드) :
기존의 크기에 비교해서 더 큰 헤드를 말한다. 어떤 특정크기의 것을 대형이라는 정의가 아니라,
이전의 드라이버의 크기 인 250CC를 대형이라고 불렀으나 지금은 이 크기의 헤드는 극히 작은 크기가
되어버렸고현재는 USGA 규격 상한치인 460 CC 의 드라이버들이 많다. 헤드의 대형화가 가능한 것은
가볍고 강한 재질의 소재가 이용되면서 가능해졌고 실수완화성을 늘여주는 효과가 있다.
Perimeter weight (중량주변배분) :
우산을 펴서 돌릴 때와 우산을 접어서 돌릴 때에 그 돌리는 힘은 변한다. 클럽헤드에도 심을
벗어나서 쳤을 때 주변으로 중량을 배분한 것은 헤드가 빗맞는 경우는 적다. 캐비티 백아이언이나
중공의 금속우드는 이런 생각에서 중량주변배분의 설계를 한 것이다.
Plasma weld (플라즈마 용접) :
분자, 원자, 이온 및 전자가 공존하여 플러스 전하밀도와 마이너스 전하밀도가 동등한 전기적인
중성의 기체 상채를 말한다. 이것을 고온으로 가열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용접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라즈마 용법으로 2피스나 3피스로 이루어진 클럽을 접합하게 되면 접합 시에 만들어지는
쇠의 잔여물질이 8~9그램 정도 생기게 되지만 이 용접기술을 사용하게 되면 헤드에 생기게 되는 쇠의
잔여 물질이 2~3그램밖에 존재하지 않게 된다. 기술에 따라서는 1그램까지도 가능하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헤드의 품질을 위해서라도 플라즈마 공법으로 헤드를 조립한 것에 대해서 많은
메이저급 회사들이 광고를 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Power transfer index (파워트랜스퍼 수치) :
파워트랜스퍼 수치 우리나라말로 풀이하게 되면 힘의 전달량이라는 말로 밖에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피팅에서 쓰이는 PTI 수치의 의미는 임팩트시에 스윙이나 혹은 샤프트나 헤드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공이 페이스면에 맞아 공이 떠날 때 얼마만큼의 효율적인 힘의 전달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숫자로 표기된 수치적 데이터 이다. 예를 들어 100마일의 스윙 스피드로
200마일의 힘이 공에 실리게 했다면 물론 불가능한 얘기겠지만 만약 그렇다면 P.T.I 수치는 2.00이
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KPGA 프로들의 P.T.I 수치는 1.50대를 기록하고 있다.
Pure titanium (순 티탄) :
다른 소재가 거의 섞이지 않은 순수한 티탄. 99.9%이상의 순도의 것도 생산되지만 공업용 순 티탄은
99∼99.5%정도의 것이 많다. 순 티탄이라도 철의 약 절반정도의 비중으로 강도가 높다. 단, 강도는
티탄합금으로 할 때 더 높아지고, 주로 내식성도 뛰어난 점에 주목하여 사용되나 강도에 주목하여
사용할 경우는 티탄합금의 형태로 사용되는 일이 많다.
Quik center (퀵센터) :
규석가루라는 말로 많이 통한다. 드라이버나 아이언 조립 시에 호젤의 구경이나 샤프트 팁의 구경이
서로 맞는데도 불구하고 조금씩 유격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유격을 메꾸어 주는 일종의
“돌가루”인 셈이다. 규석의 화학성분은 무수규산 SIO2 이다. 순도가 높고 흰색의 규석을
백규석이라 하며, 페그마타이트, 석영맥, 규암, 처트에서 산출된다.
Scoop sole (솔스크프 솔) :
의 뒷부분이 앞부분보다 올라와 있는 보다 예리한 각의 솔(sole)형태.
Scoring (스코어링) :
클럽의 페이스 면에 파인 홈을 말한다.
Set makeup (셋 메이크업):
휴대할 수 있는 Golf Club의 총 갯수는 14개이므로 각자의 Club spectification에 따라서 Club이
선택되어 갖추어지게 되는데 이 클럽의 조합을 말한다.Long iron 2번, 3번이나 4번 iron의 각도를
높인다든지, 비 거리를 내기 위해 Club 길이를 조금 길게 하든지 좀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lie를
맞도록 수정하는 것이 등이 Golf Game을 Improve 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SHAFT (샤프트) :
볼을 치는 헤드 부위와 손으로 쥐는 그립 부위을 연결하는 클럽의 부분. 골퍼의 스윙 운동을 헤드에
전함과 동시에 헤드의 움직임을 골퍼에게 전한다. 또 샤프트의 플렉스의 타이밍에 의해 헤드를
가속시켜 비거리를 늘리는 방편으로도 가능하다고 한다. 샤프트 소재(Materials of shaft) 샤프트는
골퍼의 스윙을 헤드에 전달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중량이 비거리에 영향을 끼치는 헤드와는 달리
전달의 기능만 수행하면 많은 중량은 필요 없다. 그런 이유로 가능한 한 가벼운 소재가 널리
이용된다. 처음에는 장미나 과수목의 소재가 이용되었지만, 1800년대 중반에 히코리(Hickory),
1920년대에는 스틸 샤프트가 사용되었다. 그 후로도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티탄 합금 등의 소재가
쓰이기도 했으나, 1973년에 카본섬유강화 프라스틱을 사용한 카본샤프트가 개발되면서 경량화가
가능해졌다. 현재에도 카본샤프트의 경량화는 진행되어 30그램대의 샤프트도 만들어지고 있다.
한편에서는 감촉의 면을 고려하여 티탄, 케브라, 아모르파아스금속, 위스커 등, 많은 소재를
복합시키는 케이스도 있다.
Shaft Balance Point (샤프트 밸런스 포인트) :
Shaft의 버트와 팁 사이의 무게 중심을 지점을 말한다. Balance point의 종류는 Low balance point,
mid balance point, and high balance point이며 low balance point shaft는 tip side가 무겁고,
high balance point의 shaft는 butt side가 무겁다.
Shaft Flex (샤프트 플렉스):
샤프트의 휘어지는 강도를 말하는 것으로 L-Flex-Ladies, A-Flex-Amature or Senior, R-Flex-
Reguler,S-Flex-Stiff, X-Flex-Extra Stiff, XX-Flex-Extra Extra Stiff 로 구분되며 각자의 swing speed
에 맞는 Shaft를 선택 해야한다. shaft는 10Mph 기준으로 Flex의 등급을 분류한다. 개개인의 swing
speed에 맞는 shaft를 선택했을 때 최대한 clubhead speed를 낼 수가 있고, 개인의 스윙스피드 보다
많이 Shaft가 너무 Flex하면 Hook이 나고, Shaft가 너무 Stiff하면 Slice가 난다.
Shaft Frequency (샤프트 프리컨시) :
샤프트 플렉스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기에 그립쪽 5 인치를 고정하고 헤드 끝을 퉁겨 샤프트가
왕복운동을 하게 한 후 1분에 왕복운동을 하는 진동수를 측정하여 CPM ( cycles per minute) 로
표시한다.
Shaft Spines (샤프트 스파인) :
스틸샤프트나 그래파이트 샤프트 공히 휘어질 때의 방향성이 위치에 따라 완전히 똑같지 않다.특히
그래파이트 샤프트는 만들 때 그라파이프 섬유 천을 둥글게 말아서 만든다 그라파이트 섬유의
끝부분은 자연히 이음 매듭이 생겨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된다. 이부분 때문에 더 영향을 받게된다.
이 것을 샤프트 스파인이라고 하며 클럽 조립 시 이 방향성에 맞도록 조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SHAFT TIP CLEANING (샤프트 팁 클리닝) :
어셈블리 즉, 조립하는 과정에서 샤프트의 팁 부분은 헤드의 호젤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시점에서 샤프트의 팁은 호젤 안쪽 부분에 들어가 있는 채로 에폭시에 의해 굳게 되는데 샤프트의 팁
부분은 페인트 작업으로 인해 매끈한 상태가 된다. 그 부분은 벗겨내야만 정상적인 그리고 안정적인
어셈블리 과정을 이루게 된다. 그래서 이 샤프트의 팁 부분에 있는 페인트를 벗겨내는 작업을 샤프트
팁 클리닝 이라고 부른다.
Shaft Weight (샤프트 무게)골프 클럽의 핵심 부분인 헤드(head)를 연결하는 샤프트 물체의 무게를
말한다. 샤프트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요즘 사용하는 샤프트는 스틸 샤프트(Steel Shaft))와
그라파이트 샤프트(Graphite shaft)로 구분하며, 스틸 샤프트(steel shaft)는 스탭 샤프트(step
shaft)와 노 스탭 샤프트(no step)로 구분한다.
Shallow face (샤로우 페이스) :
페이스의 두께(높이)가 얇은(낮은)페이스. 페이스뿐만 아니라 헤드 전체가 얇은 클럽도 이렇게
부른다. 상대적으로 무게중심이 낮고 페이스 윗면에 맞추기 쉽기 때문에 볼의 탄도가 높아서 탄도를
높이고 싶은 사람에게는 사용이 편하다.
Sheet winding (시트 와인딩) :
카본 샤프트의 제조법으로 심금에 카본섬유에 에폭시 수지를 섞어 시트 상태로 만든 소재(프리플랙)
를 감아서 위에서 테이프 등으로 고정시켜 가열하여 성형하는 방법. 설비가 비교적 간편하고 설계가
자유로워 일본에서는 널리 이용된다.
Shock absorbing (충격흡수) :
고무나 겔(젤)상태의 물질 등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골프용품에서는 스파이크, 샤프트, 그립,
헤드 등에 사용되고 운동 중에 몸에 전해지는 충격을 줄이는 목적으로 쓰인다.
Short hosel (쇼트 호젤) :
헤드와 샤프트를 연결하는 부분인 호젤의 중량이 크면 중심이 넥부분의 높은 위치로 간다. 그것을
막기 위해 호젤을 아주 짧게 한 것. 아이언의 저중심화에는 솔 부분을 조작하는 것보다 이 부분의
중량을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저중심설계이지만 호젤이 긴 아이언은 의문이다. 많은 메이져급
회사들이 만들고 있는것도 사실이다.
Side sole (사이드 솔) :
주로 퍼시먼 우드의 뒷부분에 무거운 금속을 부착시킨 부분. 일부 금속헤드에서도 부착시키기도 한다.
백 웨이트(Back weight)로 부르며, 골퍼의 위치에서 오른발 쪽의 면에 부착되므로 사이드 솔로
부르기도 한다. 무게중심이 깊어 스핀을 걸거나 와이드 에리어로 하기위한 방법이다.
Side spin (사이드 스핀) :
골프볼의 진행 방향에 대해 방향으로 회전. 이 회전과 딤플의 영향으로 볼이 슬라이스,훅 등으로
변한다. 사이드 스핀의 원인으로는 스윙 그리고 샤프트, 스윙웨이트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많은 아마츄어 골퍼들이 공의 사이드 스 핀으로 인한 슬라이스로 고생하고 있다.
Slice face / Open face ( 슬라이스 페이스) :
어드레스위치에서 솔을 지면에 놓았을 때 페이스가 목표방향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페이스.
Sole Angle (소울 앵글) :
Golf club head의 밑 부분을 Sole이라 하며 Sole의 Angle은 club face의 맨 앞끝 부분 (leading edge)
과 솔(sole)이 지면에 닿았을 때 그 수평으로 연장된 선과 생기는 각을 말하며 각이 없으면 Square
sole angle, sole의 중간부분이 지면에 닿았을 때 club face의 앞 끝부분 (leading edge)이 지면
속으로 들어가서 생기는 각도를 Scoop sole angle이라 한다.
Sole radius (소울 레이디어스) :
소울의 둥그런 모양을 이루는 원호의 반지름으로 Heel- Toe 방향과 Front - Back 방향의 두가지가
있다.
Square face (스퀘어페이스) :
어드레스 위치에 솔을 지면에 놓았을 때 페이스 면이 목표방향을 똑바로 향하고 있는 페이스.
어드레스위치에 따라 시각적으로 페이스방향이 틀리게 보이는 것이 있어서 제조상의 스퀘어페이스를
물리적인 스퀘어로 바꿔 조정하고 있는 제조사들도 있다.
Stainless steel (스테인리스) :
크롬, 니켈 등을 더한 내식성 강재. 전혀 녹이 슬지 않지는 않지만, 표면에 산화막을 만들어 녹이
스는 것을 막는다. 많은 종류가 있고 클럽에 사용되는 것에는 부드럽고 구부리거나 하여 조정할 수
있는 것도 있다.
Steel shaft (스틸 샤프트) :
크롬 몰리브덴 강, 크롬바나듐 강 등으로 만들어진 샤프트. 카본샤프트에 비해 무겁지만 정밀도를
높게 제작이 가능하다. 촉감이 부드럽고 반응이 느려 스윙 시 흔들림을 흡수하여 샷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Straight neck (스트레이트 넥) :
구즈로 되어 있지 않은 넥을 말하며 호젤 앞부분과 리딩 엣지가 동일선상에 있는 것을 말한다.
Strong loft (스트롱 로프트) :
아이언에서 로프트가 서있는 것을 말한다. 몇도부터가 스트롱 로프트인지의 규정은 없으나 전통적인
로프트에 비해 현재의 아이언은 거의 예외 없이 스트롱 로프트로 되어 있다.
Surlyn cover (설린 커버) :
설린은 듀폰사의 상표. 아이오노머를 참조.
Swingweight (스윙웨이트) :
Swingweigh 은 전체 무게가 아니고 14"의 지레 중심점을 기준으로 이용해서 Club과 Club의 swing 할
때 느낄 수 있는 느낌의 차이를 갖도록 무게 분배를 측정하는 방법이며, Total weight가 같은 Golf
Club이라도 head쪽이 무거우면 swingweight 이 높아지고 swing 할 때 더 무겁게 느껴지며, grip쪽이
무거우면 swingweight이 낮아지고 swing 할 때 가볍게 느껴진다.Total weight를 증가시키고
swingweight은 변하지 않게 하려면, grip쪽에 2, head 쪽에 1의 비율로 무게를 널리면 되고, Club의
길이 따라서 swingfweight 이 높아진다.* Swingweight이 높으면 클럽이 무겁게 느껴져 스윙 속도가
줄어든다.* Swingweight이 너무 낮으면 너무 가볍게 느껴져 스윙시 템포가 빨라진다.
Three pieces (쓰리피스) :
삼층 구조의 볼. 와운드 볼도 이 구조이다. 최근에는 다층구조볼이 늘고 있다. 금속헤드에서 주로
단조의 경우 몇 개의 부품으로 나뉘어져 있는가를 문제로 할 때, 3피스는 3개의 부품(파트)으로
만들어지는 것. 캐스코사가 개발한 3개의 부분으로 결합시킨 샤프트.
Through bore (호스루 보어) :
젤 구멍이 솔까지 관통된 것. 접착 면이 길어 호젤을 짧게 할 수 있지만, 가공에 손질이 많이 간다.
일반적으로 중간까지의 보어는 브라인드보어. 절출경화
Titanium (티타늄) :
1789년 영국의 그레거가 콘월지방에서 산출된 사철에서 새로운 산화물을 추출하였다. 1795년 독일의
M.H.클라프로트는 헝가리산 금홍석에서 새로운 금속원소를 발견하고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티탄
(Titan)의 이름을 따서 티탄이라고 하였다. 순금속은 1910년 M.A.헌터에 의해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원
소기호는 Ti로 불리우며 고강도의 결정을 낼 수 있어 육각방형 결정에 삼단 코팅하여 쓰이는 경우가 많
다. 강화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성이 강한 특성상 철보다 약해지나 처리 후에는 철에 비해 3배 정도 세
어진다. 골프 클럽에서 티타늄이 가장 많이 쓰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반발력에 대한 부분 또한 무
시하지 못한다. 일반 철(Iron)에 비해서 반발계수 또한 높은 편이다.
Torque (토크) :
샤프트의 비틀림에 대항하는 힘을 말하면 각도로 표시되고 각도가 크면 약한 것이고 작으면 강한
것이다.다운스윙 시에 clubhead의 무게에 의하여 shaft의 뒤틀림을 말하며, 뒤틀림이 작으면 shaft
가 stiff하게 느껴지며, 뒤틀림이 많으면 shaft가 flexible하게 느껴진다.
Total Weight (토탈 웨이트) :
완성된 Golf Club의 무게를 말하며, 표시는 gram이나 once로 나타내며, grip weight, shaft weight,
grip tape, epoxy, ect, Golf Club의 무게에 따라서 swing 할 때 느끼는 느낌이 달라져 rhythm이나
swing time에 미치는 영향이 너무 커서, 각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서 Golf Club 의 무게를 선택해야
한다.신체적 조건은 첫째 성별, 둘째 나이, 셋쩨 키, 넷쩨 몸무게, 다섯째 선천적인 swing tempo
등의 여러 가지 신체적인 특성을 고려해 선정함으로써 swing speed를 증가시켜 비 거리를 더욱더
증가시킬수가 있다.실질적으로 Club를 가볍게 하는 방법은 shaft와 grip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다.
지금 미국에서 가벼운 Club을 선택을 많이 선호하는 것은 swing speed를 증가시킬 수가 있기
때문이다.비 거리의 증가는 골프클럽의 길이보다는 골프 클럽의 총무게를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선호한다.
Trajectory (탄도) :
공이 구질과 탄도 중에 공이 페이스면을 맞아 떠나게 된 후에 공이 이루는 측면 곡선 중에 최고
정점을 이루는 지점을 말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피트(FT)라는 단위를 쓰게 되며 프로들보다
아마추어의 탄도는 현저히 낮다. 이 최고 탄도를 만드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는 출발탄도와 볼
스핀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Trampoline effect (트램폴린 효과) :
트램폴린이란 곡마단 등에서 사용하는 뛰어 튀어오르는 기구를 말하는데 스프링효과라고도 하며 주로
드라이버에서 헤드 훼이스를 탄성이 좋은 재질로 얇게하여 공이 스프링처럼 튀어나가도록 하는효과를
말하는 것으로 반발력과도 상관관계가 있다.
Tungsten powder (텅스텐 가루) :
일반적으로 이 텅스텐 가루는 어셈블리 과정이 끝난 후에 스윙웨이트를 맞추기 위해 사용하며
납가루보다비중이 1.5배 높다.
Undercut cavity (언더컷 캐비티) :
통상적으로 틀을 뽑아내는 공정으로 인하여 단조, 주조 모두 다 아이언의 캐비티 부분은 90도이하의
각도로 파낸다. 그런 점을 연구하여 90도 이상의 각도로 깊게 캐비티 부분을 파내어 주변으로
중량배분효과를 높인 캐비티백 아이언.
Vacuum casting (진공 주조) :
녹아 있는 금속 중에 수소, 산소, 질소 등이 금속과 반응하는 성질을 약화시키는 것이나 가스에 의해
섬세한 기포가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진공 중에 금속을 녹여 가스를 제거하면서 주조하는
방법이다. 티타늄 등은 열을 받으면 반응하기 쉬운 소재의 주조에는 필수 제조법이다.
Vernier calipers (길버니 어캘리퍼스) :
이나 두께 둘레 등을 측정하는 공구이다. 노기스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독일어의 노니우스라는 발음이
잘못 발음 되어지는 것이다. 원형으로 된 것의 지름, 원통의 안지름 등을 측정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본척과 본척위를 이동하는 버니어로 되어 있는데 본척의 선단과 버니어 사이에 측정물을 끼우고,
본척의 선단과 버니어 사이에 측정물을 기우고 본척 위의 눈금을 버니어를 사용해서 읽는다. 보통
사용되고 있는 것은 본척의 하나 눈금이 1MM 이고, 버니어의 눈금은 본척의 19눈금을 20등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읽을 수 있는 최소치수는 1/20mm이다.이 밖에 최소수치가 1/50mm인 것도
있다. 사용방법이 간단해서 일반 피팅센터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주로 샤프트의 두께나 호젤의
넓이 또는 두께를 알려고 할 때 주로 쓰이게 된다.
Vertical Roll (수직 롤) :
Club Face 의 위 부분에서 밑 부분으로 약간 둥글게 디자인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Horizontal face
bulge 처럼 반듯이 둥글게 해야할 이유는 아무도 자신있게 설명할 수 있는 논리적 과학적 근거는
아직 정립된 것이 없다.요즘에 사용하고 있는 Metal Wood 는 persimmon wood 보다 Roll이 편편하게
디자인되어 생산되어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다. Roll은 Bulge보다 반경이 2인치 둥글림이 작게
하는 것이 보통이다.
Vibration absorbing grip (진동흡수그립) :
충격흡수소재를 사용, 미스 샷을 했을 때의 불쾌한 감촉이 손에 전달되는 것을 줄이는 그립.
메탈우드가 나오고서부터 충격으로 엘보에 부상을 입는 골퍼들이 늘어나는 것의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WEDGE (웨지) :
기라는 뜻으로 아주 짧은 거리에서 지면을 쳐올려 볼을 쳐 올리거나 굴려 그린에 올리는 클럽이다.
Weight Distribution (클럽의 무게배분):
형태에 따라서 말하는 Muscleback type Clubhead 는 클럽의 무게를 sweet spot 주위와 뒤쪽으로 무게
를 모아지게 하여 디자인한 Clubhead 이며, 그반대로 Cavity Back type Clubhead 는 클럽 헤드의 무게
를 무게중심 보다 바같 쪽으로 분산시켜 디자인한 클럽헤드이다.이와 같이 의도적으로 무게를 클럽
일부에 더 두는 것을 말한다.
Wood club (우드 클럽) :
과거에는 헤드부분이 나무로 되어있는 클럽을 가리키는 것이었으나, 현재에는 뒷부분이 부풀어 오른
형태의 헤드로 페이스 면이 원형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로프트가 서 있는 클럽을 가리킨다. 예전의
우드클럽의 형상의 클럽을 가리키기도 한다.
Wound ball (와운드 볼) :
심이 되는 구 위에 길게 늘린 실고무를 볼의 형태로 감아서 그 위에 다시 커버를 한 골프 볼.
1898년에 미국의 코번 하스켈이 개발. 스핀의 회전수가 많고, 구질을 컨트롤하기 쉬워 이 구조의
볼을 프로나 상급자들이 좋아 한다.
[출처] Fitting 용어|작성자 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