次睡軒(차수헌)
김일손 (金馹孫:1464~1498)
본관은 김해. 자는 계운(季雲), 호는 탁영(濯纓) · 소미산인(少微山人).
김종직의 문인이었으며,
스승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세조를 비난한 목적으로 사초(史草)에 실었다.
이것 때문에 연산군에 의해 멸문지화(滅門之禍)를 당하고, 본인은 능지처참을 당했다.
중종반정 이후에 신원되었고, 문민(文愍)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저서로는 『탁영문집』이 있다.
해는 저물고 갈 길은 먼데
落日長亭畔 낙일장정반
이별의 술잔을 그대에게 권하네
離盃持勸君 이배지권군
누각은 위태롭게 하늘에 닿을 듯
危樓天欲襯 위루천욕친
벼슬길도 물 건너 서로 나뉘어 가네
官渡路橫分 관도로횡분
가는 길손 외딴섬으로 멀어지고
去客沒孤島 거객몰고도
덧없는 인생 조각구름 같은 것
浮生同片雲 부생동편운
강바람은 이별의 마음을 이해할까
江風不解別 강풍불해별
부는 바람에 노를 저어 물결치며 가네
吹棹動波文 취도동파문
*
수헌(睡軒)은 예천출신 권오복(權五福)의 호이다.
권오복은 길일손과 막연 사이로
1496년(연산군 2) 노모 봉양을 위해 사직하고
향리 가까운 고을의 수령에 제수되었다.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향리에서 잡혀와
김일손 · 권경유 등과 함께 처형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