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은 1번인데왜 요소가 유산보다 암모니아 휘산이 많나요????????그리고 심층시비시 왜 질산가리 KNO가 유안보다 탈질량이 많나요?? 유안은 Nh형태라 그런가요???그리고 4번 표층시비시 유안이 질산가리보다 토양 ph를 낮추는 이유가(NH4)2SO4 가 산화되면서 H+를 방출해서 그런건가요??일단 제일궁금한건 1번답해설입니다 ㅠㅠ
첫댓글 ① 요소를 토양에 시용하면 urease에 의해 분해되어 암모니아(NH3) 가스가 생성됩니다. 암모니아는 물과 반응하여 암모늄 이온(NH4+)으로 되어 토양에 잔류하면서 식물에 이용됩니다. (NH2)2CO + H2O → 2NH3 + CO2 NH3 + H2O → NH4+ + OH- 요소의 분해로 생성된 암모니아는 토양의 pH와 온도가 높을 때 NH4+으로 전환되기 어려우므로 휘산이 많이 됩니다. 유안의 경우에도 pH가 높은 토양에서 암모늄 이온(NH4+)이 암모니아로 휘산됩니다.
② 환원상태의 심층에 KNO3를 시용하면 NO3-가 탈질작용을 받아 N2 가스로 날아갑니다. 탈질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 분해시킬 때 발생하는 전자를 NO3-가 받아서 N2까지 환원되기 때문입니다. 유안의 암모늄은 탈질작용을 받지 않습니다. ③ 산화상태의 표층에 유안을 시비하면 유안의 암모늄 이온(NH4+)은 질산화작용을 통해 NO3-로 산화되는데, 이 때 H+ 이온이 생성되므로 토양 pH를 낮추게 됩니다.
감사합니당
첫댓글 ① 요소를 토양에 시용하면 urease에 의해 분해되어 암모니아(NH3) 가스가 생성됩니다. 암모니아는 물과 반응하여 암모늄 이온(NH4+)으로 되어 토양에 잔류하면서 식물에 이용됩니다.
(NH2)2CO + H2O → 2NH3 + CO2
NH3 + H2O → NH4+ + OH-
요소의 분해로 생성된 암모니아는 토양의 pH와 온도가 높을 때 NH4+으로 전환되기 어려우므로 휘산이 많이 됩니다. 유안의 경우에도 pH가 높은 토양에서 암모늄 이온(NH4+)이 암모니아로 휘산됩니다.
② 환원상태의 심층에 KNO3를 시용하면 NO3-가 탈질작용을 받아 N2 가스로 날아갑니다. 탈질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 분해시킬 때 발생하는 전자를 NO3-가 받아서 N2까지 환원되기 때문입니다. 유안의 암모늄은 탈질작용을 받지 않습니다.
③ 산화상태의 표층에 유안을 시비하면 유안의 암모늄 이온(NH4+)은 질산화작용을 통해 NO3-로 산화되는데, 이 때 H+ 이온이 생성되므로 토양 pH를 낮추게 됩니다.
감사합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