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부, 1년쯤 놀아도 괜찮아
2부, 꼴찌라도 괜찮아
무한경쟁, 1등도 행복하지 않은 한국! 등수 NO! 경쟁 NO! 꼴찌도 행복한 핀란드, PISA 결과 부동 1위, 진정 꼴찌와 웃을 수 없을까?
2007년 12월 PISA 현장보고, 한국 언론 중 단독취재!
PISA는 OECD가 회원국과 비회원국을 대상으로 3회에 걸쳐 만 15세 청소년의 읽기, 수학, 과학 등 세 분야에 대한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결과다. 2000년부터 시작, 3년 마다 한 번씩 실시하며 최종 2006년 시행한 평가에서는 총 57개국이 참여, 가장 권위 있는 국제학력평가로 꼽히고 있다. 제작진은 한국 언론에서는 유일하게 그 현장을 취재했다. 2007년 12월 4일, 세계 각국 취재진이 몰려든 2006 PISA 발표 현장. 핀란드는 3회 연속 부동 1위를 기록했고 한국 역시 읽기 등 세부과목에서 1위를 차지하며 상위권에 올랐다. 한국과 핀란드, 최상위 성적을 기록한 두 나라. 국내 언론에서는 '한국 과학 1위→4위→9위 하락', 'OECD 국가 중 읽기, 수학 최상위', '추락하는 고교 과학' 등 한국의 학력 저하 문제를 부각하며 학력 경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5단계 하락한 한국 과학 교육의 우려는 평준화 교육의 실패와 수월성 교육의 부활로 이어져 연일 기사 머리말을 장식했다. 하지만 현장에서 정작 세계 언론이 주목한 것은 각국의 학력 순위만이 아니었다. 핀란드와 한국의 상반된 교육 시스템에서 어떻게 비슷한 성적이 나오는가를 주목하기 시작한 것. 프랑스 여기자의 질문에서 알 수 있듯이, 핀란드의 '평등'에 기초한 '학생 간 협력'과 한국의 '경쟁' 원리로 1, 2위를 다투는 양국의 교육철학이 국제무대에서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
꼴찌도 행복한 나라 핀란드. 미국에서도 공교육 개혁을 위한 교육 모델로 핀란드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매년 미국 대학 종합평가를 집계해온 시사주간지 『U.S.NEWS & WORLD REPORT』는 교육 부분 가장 본받을 나라로 일찍이 핀란드를 꼽은 것이다. 제작진은 3년 전 한국에서 이민 간 최락호군 가정을 밀착 취재, 세계가 주목하는 핀란드 교육을 카메라에 담았다. 주인공 최락호군은 초등학교 6학년 때 핀란드로 이민, 현재 헬싱키 근교 뿌낀매끼 초·중등학교 8학년에 재학중이다. 락호의 한국에서 성적은 중하위, 어눌한 말투와 내성적인 성격을 걱정한 락호 부모님은 아들을 위해 이민을 결정했다. 이민 후 부모님은 가장 큰 변화로 락호의 밝아진 표정을 꼽는다. 락호가 웃기 시작한 것이다. 락호가 자신감을 찾게 된 것은 핀란드의 교육환경 덕분이다. 핀란드에서 락호의 10점 만점 성적표에는 등수가 없다. 때문에 친구들 사이의 경쟁도 없다. 핀란드어 실력이 뒤떨어져도 락호는 친구와 함께 웃으며 공부한다. 그리고 부족한 자신의 부분도 부끄럽지 않다고 당당히 말한다. 핀란드는 학생을 경쟁시키지 않는 것 이외에도, 우등생을 위한 영재교육은 없지만 학업이 뒤처지는 학생에 대한 특별수업이 있다. 9학년 수학 특별 보충 수업에서는 손가락을 사용해야만 계산을 할 수 있는 여학생도, 평소 수학과목이 떨어지는 학생들도 즐겁게 수업에 참여한다. 교과서에 각각 다른 색으로 표시된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자신의 수준에 맞는 문제만 풀면 되기 때문이다. 시험 답안을 모르면 선생님에게 방법을 물어본다. 시험은 더 이상 정답을 매기고 등수를 확인하는 수단이 아닌, '학생들이 무엇을 모르는지 확인하는' 장치일 뿐이다. PISA 결과 발표에서도 이미 가장 두터운 최상위층와 중간층을 보유한 핀란드, 꼴찌를 웃게 하는 '휘바'가 세계 교육의 모범 답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3년 앞당긴 대학입시, 이곳이 새로운 전쟁터다
한국의 3,000여 개 중학교 학생 중 2,000여 개 중학교 학생들은 비평준화 지역이기 때문에 고교 입시를 치러내야 한다. 비평준화 지역인 경기도 광명시에 사는 송슬아(중3)양은 숨 막히는 중학교 3학년을 보내야만 했다. 열다섯 살, 그 무엇을 꿈꿔도 괜찮은 나이. 하지만 오전 7시에 기상, 새벽 2시까지 하루 3분의 2 이상을 학교, 학원, 독서실에서 보내는 슬아에게 꿈이란 오직 대학 진학률이 좋은 고등학교를 진학하는 것. 고등학교 시험에 떨어지면 미달된 학교를 찾아보거나 타 지역으로 온 가족이 이삿짐을 꾸려야 하기 때문이다. 제작진은 벼랑 끝에 내몰린 비평준화 지역의 중학교 3학년의 힘겨운 고등학교 입시현장을 담았다. 평준화 지역도 경쟁을 부추기는 건 마찬가지. 서울 잠실에 거주하는 유한결(중2)군에게 시험이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없게 하는 족쇄다. 학원에서는 가자마자 단어시험을 보고 커트라인을 넘지 못하면 재시험으로 무한정 귀가 시간이 미뤄진다. 매 학기 다가오는 중간, 기말 시험은 한결 뿐만 아니라, 온 가족의 암기 능력을 평가받는 시간. 평준화 지역이기 때문에 고등학교 입시부담은 적지만 매일 크고 작은 시험으로 엄마와의 신경전은 오늘도 끊이지 않는다.
'자사고 100개 설립'을 앞둔 교육현장은 어떤 모습일까? 한국, 진정 꼴찌와 함께 웃을 수는 없을까? 3개월에 걸친 밀착취재로 한국의 고교 평준화 지역과 비평준화 지역의 학생들의 고민과 2008년 다가오는 대한민국 교육현장을 집중 점검해 본다.
3부, 꿈을 꿔도 괜찮아
1년쯤 놀아도, 꼴찌라도 괜찮은 곳은 우리에게 낯설었다. 우리의 현실은 이런 상상조차 어려운 것일까? 꿈의 교실을 찾아 나선 마지막 여정 꿈을 꿔도 괜찮아. 우리가 찾고 있는 진정한 꿈의 교실은 어디일까?
세계는 지금 상상력의 시대, 미래 교육의 키워드는 창의력! 하늘이 보이고 벽이 없는 교실, 상식의 틀을 깨는 교실이 정답이다! 꿈의 교실은 과연 무엇일까?
또 다른 교실, 이곳은 교실 밖에서부터 시끄럽다. 안을 들여다보니 납땜에 드릴, 톱질까지 정신이 없다. 놀라운 것은 작업 중인 학생들이 모두다 여고생들이라는 점. 이 시간은 명문대를 목표로 하는 영국 인문계 여자고등학교의 정규수업이다. 영국의 수업시간은 획일화 되어 있지 않다. 학생들의 창의성을 길러주기 위해 다양한 학습 방법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 하나가 학교와 예술과의 파트너십.
공간의 벽을 허물고 시간의 제약을 넘어선 스웨덴의 진보적인 교육 정책이 아이들을 꿈꾸게 했다. 하늘로 장식한 지붕과 벽이 없는 교실, 오직 자신의 실력으로 정해지는 학년제가 마음껏 꿈꿔도 괜찮은 학교를 만든 것이다. 스웨덴의 아이들은 매일 아침 로그북에 자신의 수업일정을 스스로 계획하고 따른다. 선생님은 조언만 해줄 뿐 대부분 팀 구성으로 이뤄지는 수업을 통해 아이들은 친구들과의 협업을 배우고 자신을 위한 공부를 하게 된다. 일정 단계를 넘어서는 것 역시 개인의 몫. '강제'가 아닌 '자율'이, 학교의 '서열화'가 아닌 '특성화'가 꿈꾸는 교실을 만들고 있다. 한국은 빈 칸이 가장 많았던 데 비해 2위에 올랐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한 창의력 테스트 전문가는 이렇게 말한다. "한국 아이들은 뛰어난 잠재력을 지니고도 오답이 두려워 백지를 택했다고", "정답을 요구하는 사회 앞에서 성장을 멈췄다고".
열다섯 살, 처음으로 진정 자신이 원하는 배움이 무엇인지 마주하는 나이. 수많은 삶의 선택에 앞서 아이들은 자신을 찾아, 자신이 원하는 길을 찾아 첫 걸음을 내딛는다. 제작진이 찾아간 아일랜드, 영국, 핀란드, 스웨덴, 한국 5개국 열다섯 살, 꿈의 교실은 단지 시설이 훌륭하고 점수가 좋은 교실은 분명 아니었다.
'나'를 찾아서, 마음껏 꿈꿔도 괜찮은 열다섯 살, 우리가 찾는 꿈의 교실은 그런 게 아닐까.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성적받고, 좋은대학에 가는것만이 중요한 것일까. 어쩌면 이들처럼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 알고 그들의 꿈을 위해 노력하는 게 더 중요한 것일 지도 모른다.
♪네 꿈은 뭐니 - 빅마마
문제될시엔 알려주세요- 자삭할게요 저작권문제되고 이러나요?ㅠㅠ
공부에 치이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을 보면 참 안타까워요. 무조건 공부만을 요구하는 사회에서 자기 꿈에 대해 생각해 볼 여유도 없다는 사실이 말이에요.
출처> MBC신년기획교육3부작 <열다섯살, 꿈의교실> http://www.imbc.com/broad/tv/culture/spdocu/15dream/index.html [MBC]
네이버블로그에서 퍼왔습니다.
|
첫댓글 좋겠다... 이걸 일요일에 올렸다면 데미지는 세제곱으로....
한숨만나오네.
나는 내일 과학수행평가때문에 얼른 숙제해야되는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욕나온다ㅋㅋㅋ
아이거보니까 진짜 살기싫다 우리나라에서ㅋ
우리나라는 하다못해 공부 못 하면 차별까지 받는데..ㅋㅋㅋㅋㅋㅋ마냥 부럽다~
222요즘 미치겠음.. 학교가기가 두려워요.. 왜...왜 차별하세요 ㅠㅠㅠㅠㅠ
ㅋㅋ 명문대학나오고도 인재가 없다 창의력 독창성이 없다 이라카는건 다 교육땜시 아닙니까... 참 답답하다..
꿈이요? 아직은 잘 모르겠는데요, 그냥 저희는 고등학교 일단 잘 가서 대학 잘 가면 그때 뭔가 꿈이 생기겠지... 다 이런 생각 갖고 그냥.. 음........
오............. ............ 저도 ㅜ.ㅜ .... 1년쯤 생각할 시간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그게 제일 부럽네요..
막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18살인데 담임선생님께 진로 상담을 했더니 "일단 공부를 잘해서 대학에 들어가, 진로는 그때 생각하는거야." 그래서 그때가서 생각하면 어쩌냐고 그랬더니 "다들그래".... ㅠㅠㅠㅠㅠㅠㅠ
아 진심 이민가고싶다.
와 최고다
에휴.......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아오 제발 우리도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2222 근데 저 교육제도도 단점은 있겠지?.....ㅋ 근데 우리나라교육제도가 더 문제점이 많겠다ㅋ아 짜증나 내일모레 학교감ㅋ
33333 휴.......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이노래 나올줄 알았당킈.... 난 방금 대화명 역사는 2등을 기억하지 않는다 였는데...
으힝힝 내꿈도 기타리스트인데....뮤지션...하고싶다~~아니 뭐 할수있어요 으힝힝힝
저는 제 꿈을 위해 다른사람들과 같이 학교가고 그런거 안하고 학교랑 안녕했는데 불안하지도 않고 오히려 더 용기만 생겼어요! 물론 계획같은것도 다 생각하고 실천하지요. 공부에만 치여봤자 이런인생 필요없다고 생각했어요. 억지로 그런식으로 살바에 저는 안사는게 났다고 생각해서.. ^^.. 가족들도 모두 허락해줬을때는 휴휴 ㅠㅠ증말 행복했어요
아 진짜 우리나라 교육 바껴야 되는데 교육청 하는 짓거리 보면 한숨만 나오고 짜증.. 이런쪽으로 개혁을 해야되는데 순 이상한 쪽으로나 가고 아오 아ㅓ니라어ㅣㅏㅓㅎ마ㅓ이나ㅓㄹ ㅇ 애들 가르치려고 선생됐더니 3월1일부터 지금까지 처리한 공문만 400장이고 .. 내가 무슨 공문처리하는 기계냐고.. 애들은 언제 가르치고 교재공부는 언제하라고 공문만 자꾸 내보내는 거야 나ㅣㅓ히ㅏ어나ㅣ ㄹ 반 애들한테 미안해 죽겠구만..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부럽다..........이렇게 살고싶지만 그럴수없는 현실
시험2주남았다
2..........
3...공부는하나도안했는데
담임선생님이 그러셧는데 우리나라에 태어난 이상 이렇게 살아야한다고 ㅠㅠ 선생님도 우리나라 교육제도 반대하시는분중 한분이심
쟤네나 우리나 맨처음에는 교육이라는 새장에 애들을 여러목적을 위해 가둬놨다가 사회에 나갈때 저런나라는 새장에서 우리를 풀어주고 우리는 새장만 넓혀주는거 같음
내꿈은 죤나 최고음악가~!!!!!!!!!!!!!!!!!!!!!!!!!!!!!!!!!!!!!!!
이거 봤어
나도 이러고 싶지 않은데. 꿈이고 뭐고 곧있으면 시험이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무조건 나쁘진 않죠..하지만 저기서 말하고자 하는건 "꿈" 이란 단어죠..지금 고3애들에게 꿈이 뭐냐 하면 좋은대학들어가는거요 라고 할껄요?
너무 좋겠다.. 하지만 귀찮아서 다 읽진 못하겠는데.. 너무 부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