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가 무산되자 지역 주요 정당들은 일제히 반발하며, 정부 여당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그 뿐이다. 뚜렷한 대안도 제시하지 못한 채 각종 원색적인 비난만 앞세우고 있는 것이다.
자기보상열차 시범 노선, 로봇랜드 등 대형 국책 사업 유치 실패마다 반복되는 지역 정치권의 행태에 시민들은 냉소하고 있다.
입으론 공조와 상생을 외치지만, 돌아서면 남이 되는 충청권의 정치력 부족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같은 충청권 정치력 저하는 복잡한 정치 지형과 계속되는 지역주의 선거 행태에서 비롯된다.
타 지역과 달리 3당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현 상황은 사안 발생 마다 집중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는 것.
실제 이번 첨복단지 선정 과정에서 대전 지역 국회의원들의 영향력은 거의 발휘되지 못했고,
유치를 위한 정책 연대조차 보여주지 못했다.
대구·경북 의원 27명이 한 몸으로 움직인 것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번 결과만을 놓고 보면 대전·충남권 정치력은 대구·경북권과의 싸움에 ‘27대 0’이란 완패를 당한 것과 다름없다.
특히 지난 총선에서 충청권을 압도한 자유선진당은 지역 맹주를 자처하면서도 소수 정당으로서의
한계를 그대로 노출시켰다는 평가다.
또 열린우리당-한나라당-자유선진당 등 거듭된 지역주의 선거 행태와 지역 정당으로의 정치 지형 변화는
지역 출신 청와대 수석비서관 전무 등 중앙 무대에서 찬밥 신세를 면키 어렵게 했다.
정치력의 한 축을 구성하고 있는 자치단체장과의 공조도 부실했다는 지적이다.
한나라당 일색인 자치단체장들과 자유선진당·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애당초 맞추기가 힘든 조합이었고,
국비 확보 등 공과만 지적해 온 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합심보다는 견제에 힘을 뺀 이러한 상황에서
중앙에서의 파워 부족은 예견된 수순이었다.
박성효 대전시장은 지난 11일 기자회견에서 국회의원과의 협력 부분을 제대로 밝히지 못하며,
시민사회단체 등의 협조에만 감사를 표현하는 등 정치권에 대한 서운함을 우회적으로 시사하기도 했다.
첨복단지 유치 실패엔 지역 정치력의 근간인 지방의회도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
특히 1년간의 파행으로 녹다운 상태였던 대전시의회는 국회 방문 등 다소 전시성 행사에만 그쳐,
150만 대전시민의 힘을 모으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지역 정치권이 이번 유치 실패를 계기로 깊은 반성과 대승적 차원에서의 대화합,
인재 육성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는 데 이견이 없다.
|
첫댓글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