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조건 오래 살기만 하면 되는가? - 단순한 수명 연장이 중요한 게 아니다. 어떻게 오래 잘 사느냐가 더 중요한 시대다
주변의 넘치는 건강 정보로 충분한가? - 건강 관련 정보는 정확성과 신뢰성이 가장 중요하다. 검증된 지식을 습득하고 의료 전문가들의 조언에 귀 기울여야 한다
어떻게 100세 삶에 대비해야 하는가? - 올바른 습관과 몸 관리로 가치 있는 오랜 삶을 지속해야 한다. 질병 예방법과 최신 치료법까지 제대로 알고 대비하자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7명은 심근경색과 협심증 등 심장병, 뇌졸증 등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다.
대사증후군인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대사증후군이 없는 사람보다 4배가 높다
제1장 성인병이 건강을 위협한다
1. 뱃살 못 빼면 성인병 쓰나미 - 절제하지 못하는 식욕은 만병의 근원이 된다
2. 비만 관리, 어릴 때부터 해야 - 잘못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이 체중 증가의 주 원인
3. 젊은층 돌연사 주범 '심근병증'
ㅇ 비대성 심근병증 주요 증상 ; 하지부종, 피로감, 심부전, 호흡곤란, 어지럼증, 실신
4. 성인 7명 중 1명, 흔해진 '당뇨병' - 식사 후 과일 섭취도 피해야
5. 낮잠이 쏟아진다고요? - 이유 없이 졸음이 온다면 고혈압이나 뇌졸중 의심
6. 갑자기 심장이 '벌렁벌렁' - 부정맥이 있으면 뇌졸중 위험이 높아진다
7. 뇌경색 환자, 30~40%가 동맥경화 - 뇌경색이 왔다면 온몸의 혈관이 막혔을 수 있다
제2장 나쁜 습관이 건강을 망친다
1. 질병을 부르는 잘못된 '배변 습관' - 배변 시간은 짧고 규칙적이어야 한다
2. 허리둘레 늘면 '전립선암' 위험 높아져 - 전립선암 예방을 위해서는 식단 관리가 필요
3. 오래 방치하면 치아 망치는 '이갈이'
4. 찬물 끼얹다가 '심저어지' 일어날 수도 - 급하게 찬물을 끼얹으면 동맥경화반 파열로 급성심근경색을 부른다
5. 소변, 너무 참아도 안 참아도 문제 - 하루 소변 횟수는 7회가 적당
6. 피부건조증, 목욕 습관부터 고쳐라 - 매번 때를 미는 습관은 피해야 한다
7. 낮잠, 30분 넘으면 '독' 된다
제3장 무시하면 안 되는 몸의 신호
1. 어지러우면 단지 빈혈일까? - 어지럼증은 뇌나 귀의 이상인 경우가 더 많다
2. 눈이 뻑뻑해지는 '안구건조증' - 20분 마다 20피트(6미터) 이상 떨어져 있는 대상을 20초 정도 보는 20-20-20 규칙 추천
3. 계단 10개 오르기도 어렵다면? - 근감소증이 사망 위험을 키운다
4. 소변에 섞인 '피' 놔두면 투석까지
5. 갑자기 손목이 찌릿찌릿하다면? - 손목터널 증후군은 심하면 수술까지 받아야 한다
6. 무릎에서 왜 '딱딱' 소리가 날까? - 반월상 연골판이 손상되면 삐거덕 소리가 난다
7. 속쓰림은 '위암' 전조증상 가능성
제4장 막지는 못해도 늦춰야 할 노화
1. 만사가 귀찮다는 부모님, 혹시? - 가면성 우울증이나 치매를 의심하라
2. 노인 실명의 주범 '습성 황반변성' - 새 치료법 등장에 기대감 높아진다
3. 40대 접어들면 눈도 늙는다 - 자외선이 많이 노출될수록 눈의 노화가 빨라진다
4. 자꾸 '깜박깜박' 한다면 '치매' 의심
ㅇ 치매 예방 3-3-3
. 3권(즐길 것) ; 일주일에 3회 이상 걷기 운동. 생선과 채소를 골고루 챙겨먹기. 부지런히 읽고 쓰는 독서하기
. 3금(참을 것) : 술은 한 번에 3잔 이상 마시지 말기. 금연하기. 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기
. 3행(챙길 것) : 혈압•혈당•콜레스테롤 정기적으로 체크하기. 가족•친구에게 자주 연락하고 만나 소통하기, 매년 보건소에서 치매 조기 검진 받기
5. 부모님 거동이 어색하다면? - 파킨슨병은 서서히 다가오는 퇴행성 뇌 질환이다
6. 잘 안 들리는 귀 방치하면 안 돼 - 난청이 심하면 우울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7. 오십견, 나이를 가리지 않는다
제5장 가을•겨울철에 주의해야 할 질환
1. 쌀쌀해진 날씨에 콧물과 재채기 - 코막힘이 하루 종일 지속되면 '알레르기 비염' 의심
2. 길어지는 실내 생활에 깊어지는 '우울증' - 일조량이 짧아지면 기분이 우울해지는 날이 늘어난다
3. 얼굴이 퉁퉁 붓고 목이 얼얼하다면? - 늦겨울만 되면 찾아오는 볼거리
4. 치질, 왜 추워지면 증상이 더 심할까? - 화장실에 오래 앉아 있는 습관부터 고쳐야
5. 찬 바람 불면 심해지는 아토피 피부염 - 건조해지면 피부 보습을 반드시 챙겨라
6. 어르신들 넘어지기 쉬운 겨울 - 낙상 통증은 그냥 넘기지 말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
7. 추위에 딱 걸리는 동상 대처법 - 피부가 심한 추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6장 더 무서울 수 있는 마음의 병
1. 명상으로 정신건강 챙기기
2. 추억이 '고통'을 줄인다 - 옛 기억은 부부•연인 갈등도 완화시킨다
3. 슬픔도 오래가면 '병'이다 - 미국에선 1년 이상의 '비탄'은 병으로 규정돼 있다.
4. 툭하면 짜증내니 친구가 사라졌다 - 분노조절장애란 유전적•환경적 요인이다
5. 가장 어려운 질문은 '뭐 먹을래?'
6. 충동적이고 집중이 잘 안 된다면? - ADHD는 성인이든 아동이든 치료가 필요한 뇌 질환이다
7. 조현병 환자는 다 범죄자? - 조현병 환자에 대한 범죄자 취급은 편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