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에 있는 「익산 김병순 고택」을 국가민속문화재 제297호로 지정하였다.
「익산 김병순 고택」은 익산 함라마을의 3대 만석꾼 중 한 명으로 알려진 김병순(1894~1936)이 1920년대 건립한 집으로,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근대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당시 부농계층의 생활과 건축양식의 특징을 거의 원형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보존가치가 높다.
* 만석꾼(萬石꾼): 곡식 만 섬을 거두어들일 정도의 논밭을 가진 큰 부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또한, 입지와 배치에 있어 근대기 가옥의 특성인 길과 대지의 여건에 맞는 건물 배치, 안채․사랑채의 분리와 내부 복도를 통한 긴밀한 연결, 넓은 후원 등은 유교적 관습보다 실생활을 반영한 부농주거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고택은 현존하는 전북지역 고택 중 가장 큰 규모의 집으로, 건축부재의 조각, 문양 등 장식기법이 뛰어나고, 붉은 벽돌과 유리 창호 등과 같이 근대기 건축 재료들이 가미되어 있는 등 건립 당시의 시대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전통가옥의 공간 속에 내재되어 있는 유교적 질서체계와 배치형식, 의장(意匠, Design)기법, 건축재료 등의 변화과정을 비교적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조선후기로 오면서 경제적 부의 축적에 따라 새로운 신분계층으로 성장한 부농들은 기존의 유교적인 규범을 따르면서도 실질적인 생활을 강조하고 농사와 가사작업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익산 김병순 고택도 조선후기 부농의 성장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따라서 일자형을 기본으로 한 평면 구성과 위계의 구분 등에서는 유교적인 관습을 따르면서, 실생활에서의 편리를 위해 새로운 건축양식을 수용하고 있어 우리나라 전통가옥의 변천사를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이밖에, 당시 농사를 지었던 재래식 농기구와 근대식 농기구들이 같이 보관되어 있어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근대의 새로운 농사법이나 농기구의 발전상을 살펴볼 수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익산 김병순 고택」을 체계적으로 정비․보존하고, 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 지정명칭: 익산 김병순 고택
□ 지정종별 및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97호
□ 소재지: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수동길(함열리)
□ 시대: 1920년대
□ 수량: 일곽(건물 7동, 토지 17필지 5,655.8㎡)
□ 관리단체: 전라북도 익산시
□ 지정가치
ㅇ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라마을의 3대 만석꾼 중 한 명으로 알려진 김병순이 1920년대 건립한 집으로,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근대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당시 부농계층의 생활 및 건축양식의 특징을 거의 원형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
ㅇ 고택의 입지와 배치에 있어 근대기 가옥의 특성인 길과 대지의 여건에 맞는 건물 배치와 안채․사랑채의 분리 및 내부 복도를 통한 긴밀한 연결, 넓은 후원 등은 유교적 관습보다는 실생활을 반영한 부농주거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음.
ㅇ 또한, 현존하는 전북지역 고택 중 가장 큰 규모의 집으로 건축부재의 조각, 문양 등 장식기법이 뛰어나고, 붉은 벽돌과 유리 창호 등과 같이 근대기 건축 재료들이 가미되어 있는 등 건립 당시의 시대상을 잘 보여주고 있음. 특히 우리나라 전통가옥의 공간 속에 내재되어 있는 유교적 질서체계 및 배치형식, 의장기법, 건축재료 등의 변화과정을 비교적 잘 표현해 주고 있음.
ㅇ 조선후기 새로운 신분계층이라 할 수 있는 부농주거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김병순 고택은 일자형을 기본으로 한 평면 구성과 위계의 구분 등에서는 유교적인 관습을 따르면서, 실생활에서는 편리를 위해 새로운 건축양식을 수용하고 있어 우리나라 전통가옥의 변천사를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음.
ㅇ 이밖에, 당시 농사를 지었던 재래식 농기구와 근대식 농기구들이 같이 보관되어 있어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근대의 새로운 농사법이나 농기구의 발전상을 살펴볼 수 있음.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