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항해시대를 열게 한 후추 2】
베네치아가 무역을 통해 큰 이윤을 남기자 다른 유럽 국가들은 새로운 경로로 인도에 갈 수 있는 바닷길 개척에 나섰다.
특히 탐험정신이 강했던 포르투갈의 왕자 엔히크는 선박을 제작해 탐험 항해가들을 아시아로 파견했고,마침내 1488년 바르톨로뮤 디아스 함대가 남아프리카의 희망봉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후 포르투갈 함대는 희망봉을 돌아 항해를 계속했고 인도양을 거쳐 인도의 캘리컷에 도착하게 된다.
이때 캘리컷의 지배자는 후추 열매를 금과 교환하길 원했지만, 포르투갈은 총과 군대로 무장해 캘리컷 지역을 정복해 후추 무역을 독점했다.
이를 시작으로 포르투갈은 여러 대륙을 돌며 아프리카와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까지 식민지화해 포르투갈 제국을 건설했다.
바스코 다 가마가 인도 항로를 개척한 후부터 베네치아의 후추 독점은 끝을 맺게 된다.
하지만, 후추의 가격은 요지부동이었다.
바닷길은 육로보다 오래걸렸고, 위험했기 때문이다.
초기에 인도 항로를 이용한 후추 무역의 성공률은 30%도 되지않았다.
10척의 배가 리스본에서 출발하면 도착하는 배는 3척뿐이었다.
포르투갈에 해상무역의 선수를 빼앗긴 스페인은 더 짧고 빠른 무역항로를 찾는 데 혈안이 됐다.
이때 이탈리아 출신의 항해가인 콜럼버스는 인도의 동쪽 가장자리로 가는 짧은 항로를 개척하고자 스페인 국앙 페르난도 5세와 여왕 이사벨에게 인도와의 후추 교역을 약속하며 재정적 지원을 받았고, 총 4차례 유럽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항해했다.
콜럼버스는 과학의 발달로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알고 있던 터라 인도를 향해 동쪽이 아닌 서쪽으로 가는 방법을 고려하게 된다.
당시의 인도는 오늘날의 인도만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인도와 중국과 일본 등을 통틀어 일컫는 개념이었다.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을 읽은 콜럼버스는 그 책 속에 지팡구(오늘날의 일본)에 황금으로 된 사원이 있다거나 인도에 향신료가 많이 나는 섬이 있다는 이야기를 보고 마음이 크게 동했던 것이다. 황금과 후추를 구해 부자가 되는 부푼 꿈을 안고 인도를 찾아 항해를 시작했다.
지구는 둥글겠다, 나침반은 발명됐으니 방향을 잃을 염려도 없었다.
게다가 콜럼버스가 호기롭게 닻을 올릴 수 있었던 데는 한두 가지 오해와 무지가 더해졌다.
우선 콜럼버스는 지구의 크기를 작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래서 인도로 가기 위해 거쳐야 할 거리를 실제의 1/4정도로 잡았다.
또한 남북아메리카의 존재에 대해서도 전혀 몰랐다.
그래서 스페인을 출발하여 서쪽으로 배를 타고 가다보면 인도제도에 곧바로 닿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것도 실제보다 훨씬 짧은 거리만으로 말이다.
콜럼버스 일행은 오늘날 바하마 제도의 여러 섬 중 하나로 추정되는 산살바도르 섬에 도착한 뒤 그 곳을 인도로 오인했다. 그 결과 그 곳 원주민들을 인도사람이라 생각하여 ‘인디언’이라 부른다
대륙의 발견은 콜럼버스가 황금과 후추를 얻기 위해 항해하던 도중 의도치 않게 걸려든 것인 셈이다
알다시피 콜럼버스가 인도라고 믿고 도착했던 곳은 아메리카 대륙이었다. 하지만 콜럼버스는 그곳을 서인도제도라 불렀고, 원주민들을 인디언이라고 했다. 또한, 향신료인 후추를 찾지 못하자 대신 매운맛을 내는 고추를 유럽으로 들여왔고 이후 고추는 포르투갈인들을 통해 아프리카, 인도까지 전파됐다.
포르투갈은 후추를 손에 넣으며 막대한 부와 식민지를 가진 나라로 발돋움했고 후추보다 값비싼 정향과 육두구에도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정향과 육두구는 앞서 언급한 향료 제도,
즉 말라카에서 유래한 향료로 말라카 제도에 있는 테르나테 섬과 티도레 섬에서 유일하게 재배됐다.
원래 정향과 육두구는 아랍과 말레이시아, 중국 상인들에 의해 아시아와 유럽으로 전파됐는데, 12단계 이상의 유통경로를 거쳤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비쌌다.
이런 사실을 안 포르투갈의 인도 총독은 16세기 말라카 제도의 일부 섬을 점령해 동인도 향료 무역을 장악하기에 이르렀다.
향신료 매매 경쟁은 1650년을 기준으로 하여, 신대륙에서 고추, 바닐라, 올스파이스 등의 새로운 향신료가 발견되고, 커피, 코코아 등의 기호품이 유럽에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안정화 국면으로 접어들게 된다.
후추의 가격도 17세기가 지나면서 서서히 하락하게 된다.
동남아시아 항로가 개척되면서 후추 외에 향신료가 들어오게 되었고
범선의 발달로 항해 성공률이 높아지고 선적량이 증가하게 되었다.
그리고 인도보다 가까운 아프리카에서 후추 재배가 성공했기 때문이었다.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