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의 바람직한 승가공동체는? “수행풍토 진작과 승가공동체 회복” 9월 23일(수) 오전10시, 공주 한국문화연수원에서 |
|
1.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장 자승스님)은 종단의 현안을 진단하고 미래를 모색하는 ‘종단혁신과 백년대계를 위한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이하 대중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 9월 23일(수) 오전10시에 공주 한국문화연수원에서 개최되는 제7차 대중공사에서는 “수행풍토 진작과 승가공동체 회복”을 의제로 하여, 이 시대의 바람직한 승가공동체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3. 이번 대중공사에서는 ‘승가청규를 중심으로 본 바람직한 승가상’, ‘현대사회가 요청하는 승가공동체’, ‘범계행위에 대한 승가공동체의 대응 방안’의 3가지 주제별로 승가와 재가를 구분해 희망하는 주제에 참여하는 방식의 주제별토론을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4. 제7차 대중공사가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승가공동체가 희망과 모범이 되고, 존경받는 승가상을 실현하기 위한 지혜와 뜻을 모으는 장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 붙임. 제7차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 진행계획 및 브리핑 요약 |
|
사부대중100인대중공사 성만제(E-mail :smj@buddhism.or.kr) Tel : 02-2011-1923 Cell : 010-4104-4618 홈페이지 : www.buddhism.or.kr | 2015년 9월 17일 배포 총페이지 : 4P | |
제7차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 진행 계획
2015.09.17
1. 개요
▪명칭 : ‘종단 혁신과 백년대계를 위한 제7차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
▪일시 : 불기2559(2015)년 9월 23일(수) 오전 10시~ 오후 6시
▪장소 : 한국문화연수원(충남 공주)
2. 의제명 : [수행풍토 진작과 승가공동체 회복-이 시대의 바람직한 승가공동체를 중심으로]
3. 일정 계획(*당일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서울 버스 출발 (07:40, 조계사 앞)
▪입재식 (10:00~10:40, 다목적홀)
- 삼귀의, 반야심경, 발원문 및 동참자의 약속 합송
- 여는 말
- 추가위원 소개
- 전 대중공사 논의결과 정리
- 사부대중위원회 추진 경과 보고
▪브리핑 (10:40~11:30, 다목적홀)
- 이 시대의 바람직한 승가공동체(통도사 율학승가대학원장 덕문스님)
* 제안 : 현대사회가 요청하는 승가공동체
▪점심공양 및 휴식 (11:30~13:00, 식당)
(*주제별토론 진행자 및 종무원모임) (11:40~12:00, 다목적홀)
▪주제별토론 (13:00~15:30, 각 주제토론장)
(*주제별로 승가토론, 재가토론 구분하고, 위원들은 희망주제에 참여 함)
- 주제1 : 승가청규를 중심으로 본 바람직한 승가상
- 주제2 : 현대사회가 요청하는 승가공동체
- 주제3 : 범계행위에 대한 승가공동체의 대응 방안
▪주제별토론 결과발표 및 전체토론 (15:30~17:30, 다목적홀)
▪정리 및 회향 (17:30~18:00, 다목적홀)
▪저녁공양 (18:00~18:30, 식당)
4. 문의 : 대중공사 사무국(담당 성만제 02-2011-1923, 010-4104-4618)
『수행풍토 진작과 승가공동체 회복』 브리핑 개요
- 이 시대의 바람직한 승가공동체를 중심으로
1. 왜 수행풍토와 승가공동체를 고민하는가?
1) 재가자들의 입장
- 빈번한 범계행위와 승가의 세속화에 대한 우려
- 계율에 대한 올바른 인식
2) 스님들의 삶과 고민
- 전통적인 대중 생활(선원, 율원, 강원)의 모습
- 현대사회에서 도심 전법 및 포교를 담당하며 발생하는 고민과 괴리
* 참고 - 승가의식 조사 개요
- (승랍별, 소임별) 생활과 수행여건 만족도
- 생활상의 여건이 수행과 전법에 미치는 영향력
2. 이 시대의 바람직한 승가상
1) 사회와 시대가 요구하는 승가상
① 사회적 여러 문제(차별, 경쟁, 갈등 등)에 대한 대응
② 공동체 내부 소통의 문제 해결 : 출가자(비구·비구니) 간, 출가자·재가자 간
③ 승가공동체 기반조성 : 선거제도, 재정투명화, 사찰의 공적소유와 운영
2) 승가 구성원들이 생각하는 승가공동체
① 부처님 당시 현전승가의 공동체
② 율장 정신의 현대적 구현
③ 승가공동체 형성의 조건
- 원융살림과 사적소유 : 사찰(교구) 재적승의 소유, 운영, 소임, 보시에서 공동체 구현 / 각종 보시, 여비, 판공비의 양극화
- 현전승가와 각자도생 : 은사, 문중, 교구 울타리에서 체계적 조직적인 수행과 교육 소임(역할) / 현전승가의 공동체가 구현되지 못하고 생활, 수행, 소임을 각자도생하는 현실 / 승가가 개인화, 정치화되는 경향, 생활의 편리함 추구, 돈(자본) 지배력 강화
3. 어떻게 만들 것인가?
① 바람직한 승가공동체의 모습
개인의 ‘수행-생활-소임(역할)-복지(노후)’가 재적사찰(교구) 단위로 보장
승가공동체가 지역사회에서 역할(출가수행자의 위의와 역할)
한국적 특성에 맞는 계율과 보살행의 구현
② 승가공동체를 위한 과제
최소한의 승가복지 : 기초, 기본교육 종단 의무화
신뢰회복을 위한 범계행위에 대한 적정한 처리
대비원력의 발심과 실천을 위한 승가청규의 구현
③ 제도적 대안 시스템 마련
주지정년제, 인사검증시스템, 승랍별(법계별) 평등보시(수행비)
사찰 규모별 상주대중 의무화, 승가복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