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본 불교(원시불교)
. 부처님 성도-불멸후 30년경(기원전 514년경)
.불교의 탄생기: 열반 삼법인 삼학 사성제 성문사과 사무량심 팔정도 십선계 십이연기 삼십칠조도법과 선정수행법등
.불타관: 이신설(二身) 등장 육체로서의 부처님 즉 역사적 존재이자 인격자로서의 부처, 진리 그 자체로서의 부처, 그러므로 불신이 법신보다 중시, 불과와 아라한과 사이에 거리를 두고 구분
.승단: 구족계를 수지한 비구 비구니 승단
.문헌: 아함경 현우경 율장 등
* 원시불교란 근본불교와는 좀 달리 부처님 성도-불멸 후 100년 경 까지를 말함.
2. 부파불교(소승불교)
.불멸후 100년경 (기원전 444년경/하나의 통일되 교단이 대중부와 상좌부의 2개 부파로 분열되는 시점)-기원 1세기 중반
.불교철학의 최초 전개: 경전의 해설과 조직화, 해설과 조직화를 기반으로 교의체계 형성
.불타관 : 이신설 계승, 여전히 불과와 아라한과 사이에 거리를 두고 그 거리를 지킴
.승단: 구족계를 수지한, 엄격한 계율주의와 교학 중심주의의 비구 비구니 승단/이승단이 10-20개 부파로 분열
.문헌: 구사론 비바사론 등
3 원시대승불교
.기원 1세기 전 중반
.대승사상의 맹아기: 성불 수기 육바라밀 서원 제불신앙 타방불신앙 불탑신앙 불퇴전 일생보처 사무량심 반주삼매와 수능엄삼매 보살사위설 예불참회법등
.불타관: 이신설 가운데 전자 개념이(불신) 발전하여 부처의 초인화 다불개념 타방불 개념이 나타남(불과를 넘보기 시작함)
.승단: 엄격한 계율주의와 교학중심주의에 빠진 비구 비구니 승단과 대승 보살단으로서의 새로운 승단.
.불탑신앙은 탑 가운데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는 사리신앙의 형태.
.진리를 실현하고 있는 상징적 인격으로서 문수 보현 등의 대보살 등장
.문헌: 대아미타경 아촉불국경 원시반야경 반주삼매경 수능엄삼매경 등
4.초기대승불교
.기원 1세기 전후 말-2세기 3세기(용수시대)
.대승사상의 형성기: 소승 대승 일승 경전숭배 서원의 갑옷 보살십지설 보살오십이위 무소득공 무생법인 반야바라밀 강조 발보리심 회향 수많은 삼매 다라니 불상등
.불타관: 이신설 가운데 법신의 개념이 발전하여 부처를 시간적으로 영원하고 공간적으로 무한한 진리로 봄
.불탑신앙이 탑 가운데 경전을 모시는 경전신앙으로 바뀜
.문헌: 반야경 600부 화엄경 법화경 정토삼부경/아미타경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5.중기대승불교
.2~3세기-4~5세기(무착 세친 시대)
.대승사상의 완성기: 중관사상 유식사상 여래장사상 등
.불타관:내재적 불타관(여래장 불성), 법신> 불신
.문헌: 십이문론 중론 백론 해심밀경 유가사지론 승만경 부증불감경 능가경 대방등여래장경 대승기신론 등
6. 후기대승불교
.세친 이후
.여래장사상 이후와 밀교사상 형성기: 지장신앙 밀교신앙 등
.문헌: 지장십륜경 연화면경 대집경 대일경 금강정경 등
첫댓글 공부합니다.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항상 밝은 미소 보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