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의 참뜻 우리는 아리랑을 흔히 사랑에 버림받은 어느 한 맺힌 여인의 슬픔을 표현한 노래로 생각하는데 아리랑이라는 민요속에도 담겨진 큰 뜻이 있습니다.. 참 나를 깨달아 인간완성에 이르는 기쁨을 노래한 깨달음의 노래입니다.💡 * 아(我)는 참된 나(眞我)를 의미하고, * 리(理)는 알다, 다스리다, 통하다는 뜻이며, * 랑(朗)은 즐겁다, 밝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아리랑(我理朗)은 "참된 나(眞我)를 찾는 즐거움"이라는 뜻입니다. "아리랑 고개를 넘어 간다"는 것은 나를 찾기 위해 깨달음의 언덕을 넘어간다는 의미이고, 곧 피안의 언덕을 넘어간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난다." 의 뜻은 진리를 외면하는 자는 얼마 못가서 고통을 받는다는 뜻으로,진리를 외면하고 오욕락(五慾樂)을 쫒아 생활하는 자는 그 과보로 얼마 못가서 고통에 빠진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아리랑의 이치와 도리를 알고 나면 아리랑은 “한(限)의 노래”나 저급한 노래가 아님을 알수있습니다.뜻을 알고 들으면 전과는 다른 느낌의 노래로 들려지며 뜻을 모르고 부르는 이들의 노래가 안타깝게 느껴집니다 * 아리랑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곡 1위에 선정됐다고 합니다 참 마음이 뿌듯하지요.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작곡가들로 구성된 선정대회에서 82%라는 높은 지지율로 단연 1위에 올랐다고 합니다. 특히 선정단에는 단 한명의 한국인도 없어 더욱 놀라게 했다고 합니다 [아리랑의 종류] 1.민요 아리랑은 “아리랑 또는 이와 유사한 음성이 후렴에 들어있는 민요의 총칭”을 포함한다. 2. 남북을 통틀어 약 60여종 3천6백여 수에 이른다. 3. 아리랑에 따르는 어원 설만도 40여종에 이른다. 4. 우리나라에 대표성을 띈 아리랑이고,그 밖에 지역마다 각기 다른 아리랑이있다 평안도 -> '서도 아리랑' 강원도 -> '강원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함경도 -> '함경도 아리랑', '단천 아리랑', ‘어랑 타령’ 경상도 -> '밀양 아리랑' 전라도 -> '진도 아리랑' 경기도 -> '긴 아리랑' 충청도ㅡ> '충청도 아리랑' 5. 나라 밖으로도 우리민족이 사는 곳에는 아리랑이 있다. 중국 땅 -> ‘독립군 아리랑’ 러시아 땅 -> ‘사할린 아리랑’
그 밖의 아리랑도 있다는 글귀를 보았으나 확실히 몰라서 제외🤭 6. 각 지역마다 독특한 정서를 담은 이들 아리랑 가운데 정선 아리랑, 진도 아리랑, 밀양 아리랑은 우리나라 3대 아리랑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