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시 : 2003년 8월 30일(토) 14:00 ∼ 8월 31일(일) 11:30
○ 장 소 : 화양청소년수련원(충청북도 괴산 소재)
○ 일 정
- 8월 30일(토) : 첫째날
14:00 ∼ 15:00 참가자 집결 - 입촌식 및 숙소배정
15:00 ∼ 15:30 개회식 및 오리엔테이션
15:30 ∼ 16:30 경연 장소로 이동 및 경연 준비(수강요지,교지 접수)
16:30 ∼ 19:00 학력/문예/서예/회화 부문 경연대회
19:00 ∼ 20:00 저녁식사
20:00 ∼ 22:00 국악경연대회
22:00 ∼ 24:00 캠프파이어
24:00 ∼ 취침
※ 대회의 순조로운 진행을 위하여 집결 시간을 반드시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 학생들이 경연을 준비하는 시간에 인솔 선생님들께서는 본부에 수강요지 및 교지 참가작을 접수해주시기 바랍니다.
- 8월 31일(일) : 둘째날
08:00 ∼ 09:00 아침식사
09:00 ∼ 11:00 양악경연대회
11:00 ∼ 11:30 폐회식
11:30 ∼ 귀가
○ 경연 부문
가. 학력 부문
30세 미만·30세 이상 부문
(30세 미만 : 1974년 8월 31일 이후 출생자/30세 이상 : 1974년 8월 30일 이전 출생자)
- 과 목 : 국어(1교시), 수학(2교시), 영어(3교시)
- 출제범위 : 방송통신고등학교 1학년 1학기∼3학년 1학기 까지의 교과내용
- 시험 시간 : 각 과목 40분 (휴식 시간 10분)
나. 문예 부문
시·수필 부문
- 글 제 : 경연 장소에서 글제 3종을 발표하고, 발표된 제목 중 택일
- 시 간 : 각 부문 150분
- 기 타
·당일 지정 배부된 종이 사용
·필기도구는 본인 지참
·표절이나 사전 작성된 것으로 판명되는 원고는 탈락
·경연 장소가 야외 공원이므로 원고 작성에 불편하지 않도록 준비
다. 서예 부문
한글·한문 부문
- 글 제 : 글제는 학교에 통보할 3개 중 택일 (7월 중 통보 예정)
- 시 간 : 150분
- 기 타 :
·당일 지정 배부된 종이 사용
(전지 크기의 종이를 참가자가 원하는 크기로 잘라서 사용)
·종이 이외의 서예도구 및 낙관·인장 등은 모두 본인 지참
·쓰는 자리 및 자세는 해당 공간 안에서 자유롭게 함(책상, 바닥)
라. 회화 부문
1) 한국화 부문
- 주 제
·맑은날(야외) - 풍경(수묵화 및 채색화)
·우천시(실내) - 정물(수묵화 및 채색화)
- 시 간 : 150분
- 기 타
·당일 지정 배부된 종이 사용(전지 크기의 종이를 참가자가 원하는 크기로 잘라서 사용)
·종이 이외의 수묵 및 채색 도구는 모두 본인 지참
※ 사군자나 전각 부문 등은 참가 불가.
2) 소묘(석고 소묘) 부문
- 참 가 자 : 47명
- 소묘대상 : 비너스(석고상)
- 시 간 : 150분
- 기 타
·당일 지정 배부된 종이(4절지) 사용
(용지 비례에 맞추어 조각상 전체가 표현되도록 해야함)
·종이 이외의 이젤, 연필(4B), 지우개 등 소묘 도구는 모두 본인 지참
마. 성악 부문
1) 국 악
- 시 간 : 개인별 가창시간은 10분 이내
- 본선 경연 당일 본원에서 고수와 장고 준비하며 이외의 악기 및 반주자는 본인(참가자)가
준비하여함.(개인 고수 대동 가능)
2) 양 악
- 시 간 : 개인별 가창시간은 7분 이내
- 곡 목 : 자유곡(단, 대중가요나 팝송, 찬송가나 찬불가 등은 제외함)
- 경연 당일 본원에서 피아노 반주를 준비하며 이외의 반주가 필요한 경우 본인(참가자)가
준비하여함. (개인 반주자 대동 가능)
※ 별도의 예선대회 없이 본선대회만 실시
바. 수강요지 부문
- 참 가 자 : 별도 참가자 없이 추천작 심사
- 추 천 작 : 각 학교 학년별 추천작 1부씩(학교별 총 3부)
- 심사 및 반송 : 경연 당일 심사 후 반송
사. 교지 부문
- 참 가 자 : 별도 참가자 없이 추천작 심사
- 추 천 작 : 각 학교 1부씩
- 심사 및 반송 : 심사 후 본원 보관(반송하지 않음)
○ 심사 및 시상
가. 심사 : 본원에서 위촉한 심사위원이 각 분야별로 담당하여 심사하고, 음악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경연대회 이후 심사하여 상장과 부상을 각 학교로 송부하여 학교장이 개별
시상하도록 함
나. 시상 내역
1)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상(대상)
2) 한국교육개발원장상(금상, 은상, 동상, 장려상)
3) 시·도교육감상 : 16명(특별상)
4) 우수지도교사상 : 10명(대상)
※ 각 부문의 실제 참가자가 예상 인원 미만일 경우 시상 내역을 조정하여 운영함.
※ 2003년 이전 동 대회에서 대상(부총리겸교육인적자원부장관상)·최우수상 수상·2002년 금상
수상자는 동일 분야에 재출전이 불가
*:*방송고 홈페이지에서 퍼온글입니다.
많은분이 참여하여 최상의 성과를 거둘수 있도록
미리 준비하는게 어떨런지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