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강설비 재료 대부분 수입산에 의존, 복지 및 양로 차원의 시장 다대 -
- 서부 내륙 구강산업 종사 전문인력 부족 및 전문병원의 부족도 해결 과제 -
□ 중국 구강산업 현황
ㅇ 급속한 노령화에 따라 구강산업은 지속 발전 중
- 현지 생활수준 향상 및 구강위생 재인식으로 구강산업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구강의료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중국 내 전 국민의 구강질환 발생률은 90% 이상이며, 그 중 치료율은 10%에 불과함. 국가 위생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 내 인구 100만 명당 의사는 85명에 불과함.
- 2015년 말까지 중국 구강의료 관련 소비액은 650억 위안을 기록했으며, 2020년까지 그 규모는 1500억 위안까지 확대될 전망임.
- 중국 청소년의 충치율은 평균 80% 이상, 성인 치주질환율은 90% 이상, 60세 이상 노인의 치아보존률(치아 8개 이상)은 40% 미만임.
□ 중국 내 구강의료기기 제조산업 현황
ㅇ 현지 구강의료산업에서 의료기기 제조업체 및 구강의료 서비스산업의 발전 느린 편
- 구강의료 설비기업은 구강의료설비 연구개발에 비해 투자가 활발하지 않은 편으로, 상품 순환율이 낮은 편임. 고급기술이 적용되는 대부분의 구강의료기기 및 재료들은 기본적으로 수입에 의존 중임.
- 중국 구강장비 및 재료기업은 주로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부근에 산발적으로 분포돼 있으며, 현재까지는 산업사슬 생산기지에 대한 건설계획이 없는 상태임.
2014년 중국 치과용 설비 및 기계 제조업체 분포 상위 10개성
자료원: 중국 산업동찰망
중국 치과용설비 및 기계제조업 동향
연도 | 기업 수(개) | 영업수입(억 위안) | 총 생산액(억 위안) |
2011 | 31 | 25.90 | 27.02 |
2011 | 47 | 27.63 | 29.11 |
2013 | 53 | 50.25 | 51.71 |
2014 | 46 | 42.29 | 43.86 |
2015 | 48 | 43.54 | 44.32 |
2016 | 54 | 46.1 | 48.09 |
중국 규모이상 치과용설비 및 기계제조업 동향
연도 | 기업 수(개) | 영업수입(억 위안) | 총 생산액(억 위안) |
2011 | 31 | 25.90 | 27.02 |
2011 | 47 | 27.63 | 29.11 |
2013 | 53 | 50.25 | 51.71 |
2014 | 46 | 42.29 | 43.86 |
2015 | 48 | 43.54 | 44.32 |
2016 | 54 | 46.1 | 48.09 |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망
□ 중국 치과용설비 및 구강재료 수입현황
ㅇ 소형병원이나 보건소등은 중국산 제품 사용, 대형 및 고급병원은 대부분 수입산 사용
- 구강 설비의 가장 기본적인 치과용 의자를 보면, 중국 내 현급 이상의 보건소에서는 대부분 2만~3만 위안 심지어는 몇 천 위안 정도의 저렴한 제품울 사용하고 있음. 그러나 대형 종합병원에서는 대부분 독일, 미국 등에서 수입한 10만 위안 이상의 수입 치과용 의자를 사용 중임. 중국 치의학계에서 국제적으로도 유명한 서부내륙 100년의 전통을 가진 화시치과대학에서도 거의 100% 수입산 구강재료를 사용 중임.
중국 내에서 유명한 수입 치과용설비 브랜드
브랜드명 | 특징 |
| - 독일 기업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치과설비 제조기업 - 치과용 의자, 구강용 레이저치료기, 구강용 CT, 구강용 X선 기계를 주로 생산함. |
| - 독일 기업으로 품질보증을 위해 독일에서만 생산함. - 의학용 공기압축기, 치과용 자동현상기를 주로 생산함. |
| - 일본 기업으로 치과진료용 종합 설비 및 치과대학용 실습 설비를 주로 제작함. - 초음파 치아세척기, 구강내시경, 치과용 X선기계, 신경치료기계를 주로 생산함. |
| - 미국 기업으로 주로 치과용 디지털촬영시스템을 제작 |
자료원: 세계의료기계망
중국 내에서 유명한 수입용 구강재료 브랜드
브랜드명 | 특징 |
| - 미국 기업으로 치아용 접착제, 세멘트, 컴포짓, 구강용왁스 등을 주로 제작함. |
| - 미국 기업으로 주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생산함. |
| - 미국 기업으로 주로 치아 본뜨기용 틀, 임시 브릿지 등을 생산함. |
| - 독일 기업으로 치과치료용 도구들을 주로 생산함. |
자료원: 바이두 및 각 기업 홈페이지
□ 중서부 내륙 쓰촨성 구강의료산업 및 관련 종사자 현황
ㅇ 중국,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관련 종사자가 많지 않음.
- 중국 내에서 전문교육 및 정규적인 치의학교육(본과)를 받고 실제 산업에 종사하는 의사는 3만 명을 넘지 않음. 인구비율은 1:50,000임. 정규적인 치의학교육을 받지 않거나, 초급수준의 교육(전문대학수준)을 받고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50만 명 이상임. 인구비율은 1:2500임.
ㅇ 쓰촨성의 전문 의료서비스 산업발전은 비교적 불균형한 상태
- 2014년까지 쓰촨성 전체 종합의원의 비율은 66.74%였으나, 치과 전문병원의 비율은 19.92%임.
- 쓰촨성의 구강의료 종사인원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임. 현업에 종사 중인 구강의료 종사인원은 인구대비 1: 72,000명이며, 쓰촨성 내 치과의사는 전체 의사의 2%를 차지함. 치과의사들은 대부분 고령이며, 대도시에 집중 분포하고 있음.
- 또한 구강위생서비스는 전체 대중의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음. 도시의 구강질환 치료율은 도시 23.31%, 농촌은 5.15%로 대부분의 구강질환 환자가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음.
- 현재 쓰촨성 전체 현재 1만여 개 이상의 개인 치과병원이 있으며, 매년 8~10%의 속도로 성장 중임. 특히 중고급 체인형식의 치과의원들의 발전속도가 빠른 편임.
- 청두시의 경우 개인병원과 공공의료원에 종사하는 인원 수는 비슷하나, 전체 치과병원 1500여 개 중에서 공공의료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12%에 불과함.
- '쓰촨성 13.5 정책에 따른 의료기구설치계획(2016~2020년)'에 따르면, 2020년까지 쓰촨성에는 시급 종합병원의 100%가 내부에 전문치과를 설립할 예정이며, 60%의 시급 독립 치과의원을 개설할 계획임.
- 쓰촨성에서는 지금까지 구강장비 및 재료산업에 있어서 규모화된 산업이 형성됐던 적이 없었고, 구강의료산업 체인도 잘 형성돼 있지 않음.
□ 쓰촨성 쯔양시 치과산업단지
자료원: 바이두
ㅇ 2016년 11월, 쓰촨성 쯔양시 구강장비재료 검험검측센터가 쓰촨성 쯔양시에 설립됨.
- 2017년 9월까지 쯔양시 치과산업단지는 독-중공업설계협회, 미국 캘리포니아센터, 한국 치과기재산업협회, 미국 아이치과기회사, Bondent, 화흠의료기계유한회사 등의 기업 및 단체를 유치했음.
- 2017년 12월까지 쯔양시 치과산업단지는 1년 동안 30여 개의 기업을 유치했고, 일부 기업은 이미 생산을 가동하기 시작했음.
- 쯔양시 정부는 한국치과기재산업협회, 독-중공업설계협회와 연합하고, 쓰촨투자집단, 쓰촨대학 화시치과(체인)그룹, 쓰촨대학 화시치과대학, 각종 기업, 의료기관 및 연구기관의 투자를 받아 40만 평 규모의 전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치과장비·재료 산업기지를 설립할 예정임.
- 해당 산업기지는 구강의료설비, 구강기술설비 및 구강보조설비, 구강전용재료, 구강임플란트, 치과교육설비, 구강기본소모재, 구강건강용품 등의 생산기지를 포함할 예정임.
- 해당 산업기지에는 5개의 센터가 설립될 예정임.
· 구강장비재료산업 연구창업센터, 구강 종합직업훈련센터, 구강설비 및 재료 국가급 검험검측센터, 국가급 구강건강 빅데이터센터 등
화시치과산업단지의 미래 6대 업무분야
구분 | 업무분야 | 특징 |
1 | 치과 관련 제조업 | - 쯔양시 화시치과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구강의료설비, 기계 및 소모품들의 생산제조시스템 마련 |
2 | 의료·보건서비스 | - 전국 500여 개의 치과체인에 3급 구강*의료보건 시스템 형성 |
3 | 연구 및 개발 | - 구강장비재료산업 연구창업센터를 통한 연구 및 개발 지원 |
4 | 교육훈련 | - 화시치과대학 신캠퍼스 및 구강직업기술학교 설립 예정 |
5 | 보험서비스 | - 중국인수(中国人寿)를 통해 치과 관련 보험상품 개발예정 |
6 | 상품 및 상업서비스 | - 구강위생관련 자체 PB브랜드를 만들어, 치과체인에 공급예정 |
주*: 3급 의료시스템이란 높은 수준의 전문 의료 서비스 및 고등교육과 연구를 담당하는 의료기관을 뜻함
□ 시사점
ㅇ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치과의사가 인구 대비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에 한국의 전문교육을 받은 한국인 치과 전문의의 인기가 높음.
ㅇ 우리나라의 구강기계 및 재료 제조기업은 품질 차별화 전략을 통해 대부분 수입산을 사용하는 중국의 고급병원을 타깃으로 공략해야 할 것임.
ㅇ 하지만 중국 내에서는 여전히 높은 구강질환 발병률에 비해 치료율은 높지 않은 편이므로 2~3선 소형·중소도시의 병원을 위주로 가격경쟁력을 내세운 제품들을 선보이는 것도 좋은 진출 방법이 될 것으로 보임.
ㅇ 특히 중국 정부는 2018년부터 샤오캉 사회에 걸맞는 복지 향상 및 양로산업 활성화에 방점을 두고 있어, 양로의료 차원의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보임.
ㅇ 세계적 수준으로 평가받는 한류 치과의료산업에 대한 현지 인식도가 제고되고 있으나 유럽·미국·일본 등 기존의 유력 브랜드와의 경쟁을 위해서는 차별적 틈새시장 공략 및 이에 맞는 가격 정책이 요구됨.
ㅇ 아울러 현지 시장 특성상 구강의료 체계 진입을 위한 관련 인증 취득 및 전문 전시회 참가, 구매결정력이 큰 개별치과병원에 대한 마케팅 강화가 필요함.
자료원: 중국 산업동찰망, 중국 산업정보망, 세계의료기계망, 바이두 및 KOTRA 청두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