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월 30일, 주요경제지표 및 금융모니터링
=======================================================================================
■ 시장 동향
ㅇ [주식] 미국 증시 상승. 유럽 증시 하락(미국 다우 0.6%, 유로 stoxx -0.4%)
ㅇ [외환] 미국 달러화, 주요 통화 대비 강보합
-유로/달러: 1.1198→1.1189(-0.1%), 달러/엔: 101.84→101.92(0.1%)
ㅇ [채권]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하락(1.56%, -0.07%p)
ㅇ [원유] WTI 가격 하락(배럴당 46.98달러, -1.4%)
*주: ( )는 전주말비 변화율
■ 주요국 경제동향 및 해외시각
ㅇ [미국] 7월 개인소비지출(PCE), 전월비 0.3% 늘어나 4개월 연속 증가세
ㅇ [유럽] ECB, 비전통적 통화정책 활용 유인이 커질 전망
- 영국 메이 총리, G20 회의 전 EU 이탈 행동계획 준비 지시
ㅇ [중국] 인민은행, 하반기 통화정책 추가 완화 가능성은 제한적
ㅇ [일본] 2/4분기 GDP 갭, -1.1%로 마이너스 폭 확대
ㅇ [해외시각] 미국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은 높아졌지만 단행 시기는 불확실
- 중국 위안화, 가치안정에도 투자자들의 불안 여전
ㅇ Today Focus:
- 세계경제, 저성장ㆍ저물가ㆍ저금리의 장기화 우려
=======================================================================================
■ 일일 금융시장 동향
=======================================================================================
Ⅰ.국내 금융시장 동향
Ⅱ.국제 금융시장 동향
=======================================================================================
ㅁ 글로벌 주요경제지표
=======================================================================================
ㅁ 국제 금융 속보 및 금융시장 동향
=======================================================================================
[Today Focus] 세계경제, 저성장 ․ 저물가 ․ 저금리의 장기화 우려
■ 3저 현상의 지속은 미국 금리인상과 각국 통화정책의 한계를 시사
○ 세계 경제는 글로벌 금융위기와 유럽 재정위기 이후 상당한 시간이 지났지만 저성장·저금리·저물가,
즉 3L(Low)의 고착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미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증폭(Mizuho연구소)
▶ 이러한 상황은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의 ‘장기침체론’ 혹은 ‘일본화현상’ 등과 유사
○ 이는 주요 선진국의 취약한 재정여건, 새로운 성장 동력 부재, 각국의 통화 및 재정관련 정책공조의 어려움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
▶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은 대규모 정부지출 확대를 통한 경기부양 여력은 제한적이어서 2000년대 초반의
성장률로 회복하기는 어려우며, 중국 주도의 신흥국도 성장동력이 부재
▶ 세계경제의 저성장으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지 않아 경제주체들도 향후 경기상승을 기대하지
못하면서 물가는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상황
▶ 저성장과 저물가 탈피를 위해 주요국 통화정책은 저금리를 유지
▶ 자국의 이익극대화를 위한 환율 정책과 재정 여건의 차이로 정책공조가 어려워 저금리 추세가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
○ 최근 미국에서 금리인상 가능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지만 세계경제의 3L 장기화로 향후 대외여건으로 인한
통화정책 정상화는 용이하지 않을 전망
=======================================================================================
1. 미국의 주요경제동향, 정책 및 시각
◎ 주요 경제동향
○ 7월 개인소비지출(PCE), 전월비 0.3% 늘어나 4개월 연속 증가세(로이터, 블룸버그, 닛케이, Market Watch)
ㅇ 상무부에 따르면, 개인소비지출은 전월(0.5%)보다 증가세는 둔화됐지만, 시장예상치와 일치.
▶ Fed가 중시하는 물가지수인 근원PCE 물가 상승률은 전월비 0.1%, 전년동월비 1.6% 상승
ㅇ 같은 기간 개인소득은 전월비 0.4% 늘어나 전월(0.3%)보다 가속화.
▶ 저축률은 5.7%로 전월(5.5%)보다 상승했으며, 물가를 조정한 가처분소득은 전월비 0.4% 확대되면서
금년 들어 가장 크게 증가
ㅇ Regions Financial의 Richard Moody, 개인소비 부문은 여전히 주요 성장 동력이며, 노동시장이 지속적으로
개선됨에 따라 소득도 늘어나 3/4분기 견조한 성장세를 전망
○ 8월 댈러스 연은 제조업 지수, -6.2로 전월비 4.9p 하락(블룸버그, Business Insider)
ㅇ 시장예상치(-3.9) 하회.
▶ 생산지수는 전월비 4.1p 오른 4.5를 기록
◎ 정책동향 및 해외시각
○ 추가 금리인상 , 가능성은 높아졌지만 단행 시기는 불확실(WSJ)
ㅇ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Fed 옐런 의장을 비롯한 다수의 연은 총재들이 연내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게 내다보고 있다는 발언을 했으나, 구체적인 인상 시기는 언급하지 않아 시장의 관심이 집중
ㅇ 금리인상 시기에 대한 연준 위원들의 명확한 지침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향후 발표되는 지표를 고려하면서
금리인상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반영
ㅇ Fed 피셔 부의장, 옐런 의장의 강연은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경제에 불확실성이 존재하여
인상 시기를 더 명확히 나타낼 수는 없다고 설명
ㅇ 조사업체 Capital Economics, 9월2일 발표 예정인 8월 비농업부문 고용이 시장예상치(18만명 증가)에
부합한다면,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은 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
○ 물가상승률 목표치, 변경 여부에 대한 논의가 필요(WSJ)
ㅇ 당분간 저성장과 저금리, 자연이자율 하락 추이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경제가 하강국면에
접어들 때 Fed의 정책 여력이 제한될 수 있어 물가 목표치 수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
ㅇ Fed 옐런 의장은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에서 물가 목표치 인상과 명목 GDP 목표 설정은 연준이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사안이 아니라고 발표.
▶ 아울러 양적완화와 선제적 지침은 연준의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유지될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
ㅇ 옐런 의장은 물가상승률 목표치 변경 리스크를 기존의 통화정책 수단의 위험보다 더 크게 인식하고 있지만,
양적완화의 소비 진작 효과는 금리인하보다 작을 수 있으며, 선제적 지침은 과도한 위험감수를 촉진하고
금융안정을 해칠 가능성이 상존
ㅇ 따라서 목표치 수정 여부를 의장이 판단하기 보다는 향후 연준이 적절한 정책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
여타 Fed 관계자들이 관련 논의에 참여해야할 필요
○ 재정정책 , 정부부채 증가로 내년 추가 구사 여지는 제한적(WSJ)
ㅇ 기업 이익 감소 및 경기성장 둔화 등으로 정부 수입이 줄어든 반면 저소득층 대상 공적 의료보험제도 개혁
등으로 관련 지출이 늘어나면서 금년 재정수지 적자는 5900억달러로 2013년 이후 최대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
ㅇ 의료보험제도 개혁법 시행에 따른 순이자 증대 등으로 재무부가 상환해야 되는 민간 보유 정부부채는
GDP 대비 76.6%로 오바마 정부 취임(52.3%) 이후 급증
ㅇ 의회예산처(CBO)에 따르면 정부 지출 증가로 GDP 대비 부채는 2017년 77.2%, 2021년 79.3%,
2026년 85.5%로 지속 증가할 것으로 추산
ㅇ 민주당 클린턴 대통령 후보가 향후 5년간 도로, 교량, 공항 등 인프라 부문에 대한 275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공약하고, 공화당 트럼프 후보도 클런턴보다 대규모 투자 및 수조달러의 감세를 주장하나,
재원 확보 여력은 크지 않을 전망
○ 옐런 연준 의장 강연, 골드만삭스와 PIMCO의 평가는 상이(블룸버그)
ㅇ 골드만삭스는 옐런 의장의 강연내용이 9월 금리인상을 뒷받침 한다고 보고 있는 반면
PIMCO는 강연의 특별한 내용이 없었다고 평가.
▶ 채권시장은 9월 금리인상 확률을 기존 30%에서 40%로 상향 조정
ㅇ 이와는 달리 PIMCO의 Richard Clarida는 옐런 의장의 강연이 금융시장에 커다란 뉴스는 아니었다고
강조하면서, 금리정상화의 단기 경로와 미국 통화당국의 장기 물가목표 범위에 어떠한 단서도 제공하지
않았다고 주장
○ 벤처기업, 주가하락으로 투자자금 확보 어려움에 직면(WSJ)
ㅇ 2014년 IT 벤처기업들은 긍정적 경기전망 등으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부터의 투자자금 확보가
용이하였으나, 최근 기술주의 변동성 확대 및 IPO 감소 등으로 투자자들은 주식투자 비중을 축소
ㅇ 2015년 하반기 이후 벤처 캐피탈 회사들은 기업주가 분석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면서 가치평가액을
인하하는 추세
ㅇ 다우존스 벤처소스 조사에 따르면, 금년 1/4분기 벤처기업의 가치평가액은 1850만달러로
2015년 3/4분기(6150만달러) 대비 급락
2. 유럽의 주요경제동향, 정책 및 시각
◎ 주요 경제동향
○ ECB, 비전통적 통화정책 활용 유인이 커질 전망(로이터, WSJ)
ㅇ 브느와 꾀레(Benoit Coeure) 집행이사, 역내 경기의 지속가능한 회복을 위해 마이너스 금리 및
자산매입 등의 비전통적 통화정책 의존도가 늘어날 수 있다고 지적
ㅇ 월간 800억유로 규모의 채권매입 등의 ECB 정책은 유로존 경기가 회복세를 유지하고 기대 인플레이션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장기화될 경우 긍정적인 효과가 소멸될 우려 상당
ㅇ 향후 마이너스 금리 등의 지속으로 은행권 수익여건이 악화되고 장기화에 따른 경기의 부작용이 예상되나,
경기와 물가 제고를 위해서는 비전통적 통화정책 수단이 지속될 필요
○ 독일, EU·미국간 TTIP는 사실상 결렬(로이터)
ㅇ 가브리엘 경제장관, 범대서양무역투자동반자협정(TTIP) 협상 개시부터 3년이 경과하고 있어 양측은
연내 타결을 목표로 했으나,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의견이 상충되면서 사실상 협상이 실패했다고 발언
○ 독일 무역협회, 금년 수출 전망치 하향 조정(로이터)
ㅇ 연방무역협회(BGA)에 따르면, 영국의 EU 이탈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로 금년 독일 수출이 1.8~2.0%
증가에 머물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전 전망치(4.5%)를 하향 조정
○ 영국 메이 총리, G20 회의 전 EU 이탈 행동계획 준비 지시(블룸버그)
ㅇ 다만 일부 각료가 추천하는 EU 단일시장 이탈 계획에 해먼드 재무장관이 반발하고 있는 상황.
▶ 메이 총리는 9월 4~5일 개최되는 G20 정상회의 출발 전 EU 이탈의 성공적인 계획 모색이 최우선
과제라고 주장
ㅇ 재무부는 금융서비스업의 EU 단일시장 접근 유지를 중요한 과제로 판단하는 반면 EU 이탈 부처와
국제무역부는 메이 총리가 공약한 이민규제 도입 실현을 위해 단일시장 이탈이 필요하다는 입장
ㅇ 데일리 텔레그래프, 메이 총리가 의회 표결 없이 EU에 이탈을 정식 통보할 가능성 제기
○ 영국 런던, 브렉시트의 부정적 영향이 여타 도시보다 큰 편(FT)
ㅇ 로이즈 은행의 7월 지역 제조업 PMI는 런던의 급락 등으로 2012년 이후 처음으로 하락세를 기록
ㅇ CitiSprint가 전국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브렉시트의 부정적 영향이 경미한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는 전국 평균 비중은 50%이나, 런던은 30%에 불과
ㅇ 아울러 전년보다 투자심리가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이 전체로는 68%인 반면 런던에서는 49%로 하락.
▶ 조사 대상 기업 중 브렉시트에 따른 심각한 충격을 예상하는 비중은 14%에 그쳤으나, 런던은 28%로
두 배 수준으로 급등
○ S&P, 이탈리아 지진의 보험업 영향은 제한적(로이터)
ㅇ 24일 이탈리아 중부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에 따른 보험청구액은 1~2조억유로로 추정하며,
보험업 수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
ㅇ 교통장관 발표에 따르면, 이번 지진에 따른 피해액의 정확한 추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나,
재건비용은 2009년(라퀼라 지진, 140억유로)보다 적을 것이라고 전망
ㅇ RMS 리스크 솔루션 제공업체, 지진 지역의 주거용 부동산은 대부분 보험 가입이 이뤄지지 않았으며
자산가치가 높은 부동산 비중도 낮아, 보험회사 손실은 크지 않은 것으로 진단
○ 스위스 중앙은행, 마이너스 금리 당분간 지속될 전망(로이터)
ㅇ ECB와 잉글랜드 은행의 통화정책이 추가 완화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미국의 금리인상도 완만한 속도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진단
ㅇ 스위스의 마이너스 금리는 신용공급 확대를 통한 경기부양보다 스위스프랑의 가치안정이 목적이며,
헬리콥터 머니 등 대규모 유동성 공급 정책 가능성을 일축
◎ 정책동향 및 해외시각
○ 영국 브렉시트 , 경제학자들의 잘못된 예측으로 우려가 과장(WSJ)
ㅇ 영국의 EU 이탈에 따른 충격을 가늠하기에는 시기상조이나 최근 경기지표가 양호한 흐름을 보이면서,
경제 전문가들의 정치 이벤트로 인한 경기영향 예측 오류로 브렉시트 우려가 과장되었다는 견해가 다수
ㅇ 경제학자들은 물가, 생산성, 부의 불평등 분석에는 뛰어나나, 정치 이벤트, 특히 과거 사례가 전무한
경우에는 예측 능력이 크게 저하
ㅇ 2013년 미국의 재정지출 축소 등으로 전문가들은 경기침체 가능성을 경고하였으나, 2.7%의 성장세를
보였으며, 2010년과 2012년 연준의 대규모 채권매입 프로그램으로 고물가, 원자재가격 급등,
달러화가치 절하압력 증대 등을 우려
ㅇ 영국의 경우에도 브렉시트 현실화 이후 주가가 사상 최저수준으로 하락하였으나, 금융시장 불안은
단기에 그쳤으며, 소매매출, 고용, 주택판매 등 실물경기도 양호한 흐름을 유지
ㅇ 웰스파고, 영국은 EU 탈퇴 결정으로 경기 하방압력이 늘어날 전망이나, GDP 규모가 크지 않아
세계 경제로의 전이 가능성은 제한적으로 평가
○ 헤지펀드, 영국의 EU 이탈 결정 이후 EU 투자 가속(FT)
ㅇ Marathon 자산운용은 브렉시트 이후 아일랜드,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가 향후 수년간 런던에서 이탈한
기업의 주요 이전지가 된다고 내다보고, 이들 국가에 자산투자를 활발하게 전개
ㅇ 부실채권과 부동산투자에 특화하고 있는 Marathon 자산운용의공동창업자 Bruce Richards는 이들 국가가
가장 전망이 안정적이어서 브렉시트의 수혜를 받을 것이라고 주장.
▶ Marathon 등의 헤지펀드와 CVC 등과 같은 사모펀드는 영국의 EU 이탈결정을 기회로 포착
ㅇ Bruce Richards는 EU의 규정으로 고객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은행 종사자의 역내 거주가 요구되므로,
은행부문의 많은 업체들이 프랑크푸르트나 파리 등으로 이전할 것이라고 강조
ㅇ 미국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따르면, 영국 파운드화 급락을 예상한 투기거래가 지난 주 가장 높은
수준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 Marathon 자산운용은 암스테르담의 오피스 빌딩과 더블린의 맨션,
프랑스의 물류센터, 독일의 쇼핑센터 등을 매입
3. 중국의 주요경제동향, 정책 및 시각
◎ 주요 경제동향
○ 3대 국영 석유기업, 금년 상반기 순이익 전년동기비 80% 급감(닛케이)
ㅇ 3대 국영 석유 생산업체(석유천연가스공사, 석유화학공사, 해양석유공사)의 상반기 결산 순이익이
경기둔화 및 해외투자 손실 확대 등으로 큰 폭으로 감소
ㅇ 3개 사의 생산 규모는 중국 전체 GDP의 10%, 고용은 일본 자동차 산업의 2배인 1천만명 수준
ㅇ 세부적으로는 석유천연가스공사의 순이익이 98%, 석유화학공사는 22% 줄어들었으며,
해양석유공사는 상장 이후 처음으로 적자 전환
ㅇ 상반기 유가 하락과 수요저조로 유전개발 및 제품판매 등이 위축된 가운데 캐나다 석유회사 넥센 등의
실적부진으로 해외투자도 감소
○ 인민은행 , 하반기 통화정책 추가 완화 가능성은 제한적(로이터)
ㅇ 기업의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금융기관의 현금축적 성향이 늘어나는 등 금리 및 지급준비율 인하에 따른
정책효과 감소가 원인으로, 향후 성장률이 6.5% 수준을 유지할 경우 현행 통화정책을 당분간 유지할 전망
ㅇ 아울러 추가 금리인하로 인한 부동산시장의 과열 양상이 심화될 우려가 증대되고 있어, 향후 재정정책을
통한 경기부양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
○ 국무원발전연구센터, 경제의 조속한 개편 필요(로이터, 블룸버그)
ㅇ 왕이밍(王一鳴) 부주임, 공급측면의 개혁과 구조개혁을 통해 빠른 속도로 경제를 재편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
▶ 이전 방식은 투자속도가 떨어지고 부채증가만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금융시스템 리스크도 커진다고 지적
ㅇ 저효율의 제품공급을 줄이는 동시에 고품질의 저가 제품 공급을 늘려야한다고 언급.
▶ 아울러 관료주의의 시정, 국영기업, 재정·세제·금융제도의 개혁을 우선시 해야한다고 역설
○ 주요 은행, 순이익 개선을 위해 새로운 자금조달방안을 모색(블룸버그)
ㅇ 2/4분기 주요 시중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전기보다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순이익이 부진한 상황.
▶ 이에 대응하기 위해 농업은행은 새로운 자금조달 수단으로 3년간 최대 800억위안 규모의Tier 2 증권,
중신은행도 전환사채를 최대 400억위안 발행할 계획
◎ 정책동향 및 해외시각
○ 위안화, 가치안정에도 투자자들의 불안 여전(WSJ)
ㅇ 2015년 중국이 2회에 걸쳐 미국 달러화 대비 위안화가치를 평가 절하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이
확대되었으나, 인민은행의 대외소통 강화 및 경기부양책 확대 등과 함께 금년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전망
약화 등으로 위안화가치가 안정세를 회복
ㅇ 반면 시장에서는 정부 주도의 경기부양책에 대한 높은 의존도로 향후 경기성장과 위안화가치 안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우세
ㅇ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중국의 경기회복세 지속에도 한계기업 및 높은 부채수준 등의 구조적
불안요인은 여전히 잠재하는 것으로 평가
ㅇ 밀레니엄 글로벌 인베스트먼트, 7월 민간기업의 고정자산 투자 감소는 기업의 투자심리 위축과
신용을 통한 투자제고 효과의 제한 등이 반영된 결과라고 지적
ㅇ BofA-ML, 미국 금리인상 등 대내외 불안요인에 따른 해외자본 이탈 위험이 여전하여 위안화가치의
추가 하락 가능성은 높은 편으로 진단
ㅇ UBS, 위안화가치 하락은 실물경기보다 안전자산 선호도 확대 등을 유발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에서의
여파가 더 클 것으로 전망
○ 민간투자, 급격한 감소는 통계문제로 과장되었다는 평가(블룸버그)
ㅇ 피터슨 연구소의 Nicholas Lardy, 민간에서 공공부문으로 경영권이 이전된 기업이 포함되어 있어
금년 투자통계는 작년과 비교 불가하다고 지적.
▶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Louis Kuijs도 동의를 표시
ㅇ Louis Kuijs는 통계의 오류로 민간과 정부 투자의 괴리가 2016년 들어 큰 폭으로 나타났지만,
이를 우려할 필요는 없다고 주장.
▶ 민간투자 부진을 배경으로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시장개방을 확대하고, 기업비용 축소 등의 계획을 발표
ㅇ 아울러 Nicholas Lardy는 상반기 공공투자의 급증은 1년 전 정부가 주식시장에 대규모 개입을 실시한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
▶ 정부가 지배력을 강화한 기업에 통계가 반영되지 않았다고 주장
4. 기타 세계경제 동향, 정책 및 시각
◎ 주요 경제동향
○ 태국 중앙은행, 금년 상반기 외자기업 투자는 전년동기비 90% 감소(닛케이)
ㅇ 자동차 산업 등을 포함한 국내 경기의 불확실성 및 수출여건 악화 등이 원인.
▶ 정부는 노동 집약형 산업에서의 탈피를 위해 새로운 분야의 기업유치 활로를 모색하나,
군사정권하에서 내년 총선 등을 앞두고 있어 정정불안에 따른 해외투자 감소는 당분간 지속될 소지
○ 인도, 향후 5년간 150억달러 투자로 광산업 활성화 모색(블룸버그)
ㅇ Piyush Goyal 전력·석탄·신재생에너지부 장관, 향후 5년간 150억달러 투자를 통해 탐광을 확대하여,
광산 생산량을 두 배 늘리고 광물 수입을 줄일 방침.
▶ 인도는 모디총리의 제조업 중심 경제성장 계획에 따라 관련 원자재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
ㅇ 인도광업협회(FIMI), 인도 내 지정학적으로 탐광가치가 있는 57만5000km²의 면적중 13%만 개발되었으며,
민간기업의 투자활동이 확대될 여지가 충분하다고 설명
ㅇ 정부는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외국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고 국내 기업과의 협업을 유도할 계획.
▶ 국내 자원생산량 증대는 관련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이어지고 기업의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설명
◎ 정책동향 및 해외시각
○ 프랭클린템플턴자산운용 회장, 브렉시트는 신흥국 투자에 기회(닛케이)
ㅇ 신흥국 투자의 대가로 불리는 프랭클린템플텐 모비우스 회장, 장기적으로 영국의 EU 이탈은
신흥국 투자에는 호재로, 기업이 영국 이외 지역으로 거점을 이동하는 가운데 동유럽 등에 유망 기업이
부상할 것으로 예상
ㅇ 영국의 제조업은 폴란드와 루마니아로 이전할 가능성이 커지고, 동유럽에서 유망투자기업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
▶ 국제금융센터로서 런던의 위상이 하락하고, 금융시장의 중심이 아시아로 이동하여 중국 등에는
수혜가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
ㅇ 중국경제는 둔화되고 있지만, 시장의 미래는 긍정적.
▶ 홍콩과의 교차거래가 전개되어 중국시장은 점차 개방되고 있다고 지적
▶ 앞으로도 투자자금이 유입돌 여지가 크다고 전망
▶ 유망분야로는 소비재나 제약을 제시
ㅇ 정치적인 혼란이 계속되어 마이너스 성장에 빠져 있는 브라질은 남미에서 가장 매력적인 투자국이라고 강조.
▶ 최근 부진한 모습이나 내년 이후에는 소비가 회복되어 소매와 소비재 기업이 성장할 것으로 보여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강조
○ 러시아, 크림반도 사태로 경기회복 지연 가능성 확대(블룸버그)
ㅇ 블룸버그 조사에 따르면, 서구 국가들이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를 완화할 가능성이 줄었다는 견해가 확산.
▶ 미국과 EU가 향후 1년 내 경제제재를 완화할 것으로 보는 응답자 비율은 각각 19%, 52%로
지난달 조사(19%, 69%)보다 하락
ㅇ 라이파이젠 은행의 Adreas Schwabe, 최근 EU의 러시아 제재 6개월 연장과 메르켈 총리의 러시아에 대한
단호한 입장으로 볼 때, 빠른 시일 내에 제재가 완화될 가능성은 희박
ㅇ 최근 유가하락에 따른 재정수지 적자 악화 등으로 내년 경제성장률이 1%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경제제재가 지속될 시 푸틴 대통령의 경제개혁이 추진력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확대
ㅇ Informa Global Markets의 Christopher Shiells,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긴장감 고조는 투자심리 위축과
경제재제 지속으로 이어져, 러시아의 자본유출을 심화시킬 것으로 분석
5. 미 Glass-Steagall 법안 재도입 가능성 점검
ㅁ [현황]
최근 미 대선과정에서 Glass-Steagall Act(GSA, 대공황 직후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을 분리했던 법안)의
부활이 양당의 정강으로 채택되며 대형은행 규제 강화 가능성에 대한 관심 증가
ㅇ Glass Steagall 법안은 대공황 직후인 1933년 상업-투자은행 분리를 위해 도입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규제가 점차 완화되어 1999년 금융서비스현대화법(Gramm-Leach-Bliley Act) 도입으로 정식 폐지
▶ 2008년 금융위기의 원인으로 과도하게 자유화된 영업환경 및 느슨한 감독 등이 지목되면서
대형은행 규제를 강화하기 위한 금융개혁법(Dodd-Frank Act)이 제정
ㅁ [해외시각]
이번 정강 채택에는 정치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평가되나 대선결과와 관계없이 향후 대형은행의
규제 강화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고 있는 상황
ㅇ 정치적 의도 상당 : 지난 7월말 공화당 및 민주당에서 발표한 2016년 정강에는 금융기관의 대형화로 인한
리스크 최소화를 위해Glass-Steagall Act의 재도입을 추진하겠다는 내용이 명시
▶ 대형은행 해체 필요성을 주장했던 민주당 Sanders의원 지지층 흡수를 위한 방안으로 평가(WSJ)
ㅇ 수익성 악화 전망 : 대선 결과와 관계없이 향후 소형ㆍ지방은행 규제가 완화되는 대신 대형은행들에 대한
규제는 강화될 것으로 예상
▶ 은행권 규제 강화는 수익성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며 여론에 편승하여 대형은행 해체가
현실화 될 가능성도 있어 투자자들의 우려 점증(Morgan Stanley)
ㅁ [시사점]
美 Glass-Steagall 법의 부활 움직임이 향후 글로벌 금융규제의 흐름을 바꾸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어
앞으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
ㅇ 과거에 서로 상반되는 정책을 내놓았던 공화당 및 민주당이 상업-투자은행 재분리 이슈에 있어서는
동일한 입장을 밝힌 만큼 내년부터 대형은행 규제 강화가 본격화 될 소지
6. 월가 시각에서 보는 글로벌 경제 동향
ㅁ [미국] 향후 경기침체시 QE 효과는 금융여건 정상화 정도에 좌우(Goldman Sachs)
ㅇ 잭슨홀 미팅에서 옐런 연준 의장이 밝힌 대로 금리인하 여력이 제한되는 상황에서도 양적완화와
선제적 가이던스를 통해 경기부양을 위한 금융환경 조성이 가능하다는 입장에 동의
ㅇ 그러나 금융시장이 정상화되지 않은 여건 하에서 경기침체가 나타나면 비전통적 통화정책 효과는
충분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
▶ 연준은 기준금리 3%, 10년물 국채수익률 4%의 균형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가정했으나,
현 금리 수준에서 경기가 재차 침체될 경우 양적완화와 선제적 가이던스의 효과가 제약
ㅇ 앞으로 비전통적 통화정책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가계 디레버리징 장기화 등은 회피 가능할 것이나
효과에 대한 낙관적 시각은 경계할 필요
ㅁ [유로존] 근원물가상승률은 계속 부진할 전망(JPMorgan)
ㅇ 최근 실업률과 인플레이션간 마이너스 상관관계(필립스곡선)가 크게 약화
▶ 유로존 국가들은 지난 3년간 실업률이 상당폭 하락하였으나, 핵심국을 중심으로 근원물가 상승폭이
부진하여 필립스곡선이 매우 완만
▶ 마이너스 GDP갭이 축소될수록 가격이 상승하는 품목들로 구성된 근원물가(super core inflation)도
지난 수 년간 오름폭이 제한
ㅇ ECB는 2018년까지 점진적 근원물가 상승을 예상하고 있지만 기대 인플레이션 하락,
유휴노동력 지속 등으로 어려울 가능성
ㅁ [글로벌 자본시장] 블록체인은 자본시장 인프라에 유용성이 클 전망(Credit Suisse)
ㅇ 자본시장은 거래 이전(데이터 수집, 밸류에이션 등)과 가격발견, 주문 체결 분야는 속도 및
효율성 경쟁이 활발한 반면, 거래 이후(청산, 결제, 갱신) 분야에서는 처리 절차가 상대적으로 완만
ㅇ 블록체인은 증권거래 체결 이후 처리(Post-trade) 분야에서 경쟁우위를 지니며, 자본시장 인프라 중
예탁(depositories) 및 위탁(custodians) 기능에 우선 적용될 전망
▶ 다만 블록체인 기술을 응용한 자본시장 인프라 구축에는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