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易兼義 下經 豐傳 卷第六
64. 未濟䷿ 坎下離上
<괘사卦辭>
未濟 亨 小狐汔濟 濡其尾 无攸利
(미제는 형하니 소호흘제니 유기미면 무유리하니라)
미제未濟는 형통하니, 작은(어린) 여우가 물이 말라야 건너가니, 그 꼬리를 적시면 이로운 바가 없다.
<효사爻辭>
初六 濡其尾 吝
(초육은 유기미니 린하리라)
初六은 여우가 꼬리를 적시니, 부끄럽다.
九二 曳其輪 貞 吉
(구이는 예기륜이나 정하여 길하니라)
구이九二는 수레바퀴를 끄나 정貞하여 길吉하다.
六三 未濟 征凶 利涉大川
(육삼은 미제에 정흉하나 이섭대천하니라)
육삼六三은 미제未濟에 가면 흉하나 대천大川을 건넘이 이롭다
九四 貞 吉 悔亡 震用伐鬼方 三年 有賞于大國
(구사는 정하면 길하여 회망하리니 진용벌귀방하여 삼년에 유상우대국이로다)
구사九四는 정貞하면 길吉해서 뉘우침이 없어질 것이니, 진동하여 귀방鬼方을 정벌해서 3년 만에 큰 나라로 상賞을 주도다.
六五 貞吉 无悔 君子之光 有孚 吉
(육오는 정길이라야 무회니 군자지광이 유부라 길하니라)
육오六五는 정貞하여 길吉하여야 뉘우침이 없으니, 군자君子의 광채가 믿음이 있어 길吉하다.
上九 有孚于飮酒 无咎 濡其首 有孚 失是
(상구는 유부우음주면 무구어니와 유기수하니 유부하여 실시로다)
상구上九는 믿음이 있어 술을 마시면 허물이 없으나, 머리를 적시니 믿음이 있어서 이것을 잃은 것이다.
첫댓글 전통 동양의학에서는 화수미제(火水未濟)는 여전히 따뜻한 불기운이 위에 있고 차거운 물기운이 아래에 있어 불기운을 아래로 내리고 물기운을 위로 올리는 수승화강(水升火降)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화수미제를 화수불교(火水不交)라고도 한다. 화수미제상태가 윤석열처럼 불같이 격노하며 위에서 군림할 때 아래의 민중들은 차겁게 움추려든다. 그래서 나라에 병고가 생긴 것이 윤석열 내란이다. 수화미제면 상열하한(上熱下寒)이 되는데 이때 신체 증상은 상열로 인한 화병(火病), 심계(가슴 두근거림), 불안초조, 건망, 현훈(어지러움), 불면, 심번(가슴이 화끈거리고 답답함), 다몽(꿈을 많이 꾸고 잠을 설침), 구순건조(입과 입술이 잘 마름), 이명(귀울림), 목적(안구충혈), 두통 등이고, 하한으로 인한 사지냉증(손발이 차고 특히 무릎이나 발이 시림), 월경부조(늦어지거나 월경통), 불임, 대하, 소복통(아랫배 통증이나 불쾌감), 소화불량, 식욕부진, 설사 등 비위허약증이 나타나는데 이와 관련된 서양의학의 병으로는 갱년기장애, 신경쇠약, 노이로제, 고혈압, 만성질환 등이다. 명상으로 몸과 마음을 충분히 이완시켜 수승화강해야 치유된다. 반신욕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