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 올린 글 참고..
http://cafe.daum.net/push21/JAs0/829
지난 번에 많은 분들께서 댓글로 큰 도움을 주셨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그 때도 말씀 드렸듯이 피치못할 사정으로 용접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카페활동도 거의 눈팅도 못할 정도로 바쁘네요.
하는 일은 폐드럼통을 프라즈마로 잘라서 Co2용접기와 TIG용접기로 화덕이나 바베큐그릴, 소각로 등을 만듭니다.
(제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프라즈마와 Co2용접기 입니다.)
하루에 많을 때는 약 100여개의 폐드럼통을 프라즈마로 반을 자르는데 분진이 많이 발생하며, 많지는 않지만 약간의 잔류물이 남아 있기에 종종 시커먼 유독가스가 발생합니다.
추가로 폐드럼통에 표기된 내용들을 몇 개 사진으로 찍어서 올립니다. 물론 폐드럼통 안에 어떤 물질이 들어있는지는 마지막에 어떤 물질을 담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참고만 하고, 산업안전관리 공단에서 권고하는 방식인 물로 가득 채워서 세척 후에 재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나서 200L 폐드럼통을 프라즈마로 반으로 자른 후, 약 30cm 길이의 지름 16mm 철근을 잘라 낸 드럼통에 덧대어 다리를 달고, 아연파이프나 경첩 등을 CO2 용접기로 지져서 아래와 같은 다양한 제품들을 만듭니다.
일주일에 많을 때는 250개의 폐드럼통을 프라즈마로 잘라내서 많을 때는 약 500여개의 제품을 만든다고 보면 됩니다. 하루 평균 40-50여개를 자르고, 하루 평균 80-100여개를 용접하는 것이죠.
유사제품 샘플 사진(참고용)
http://shopping.naver.com/search/all_search.nhn?query=%EB%93%9C%EB%9F%BC%ED%86%B5+%ED%99%94%EB%8D%95&cat_id=&frm=NVSHSRC&nlu=true
용접과 관련하여 아는 지식이 전혀 없던지라, 관련하여 3* 6200 방독/방진 마스크를 구입하였는데 (이밖에도 가죽으로 된 용접복 상하의, 가죽 용접 앞치마, 가죽 각반, 가죽으로 된 용접장갑 및 용접전용 안전화, 시력 보호를 위해서 3*에서 나온 자동용접면도 구입해서 사용중입니다. 상당히 덮지만 안전이 최우선이기에 사실상 완전 무장...
야외의 그늘과 햇볕이 뜨거울 때는 공기가 잘 통하는 실내에서 작업장의 문을 활짝 열고 주로 작업을 합니다.
(용접 왕초보인지라 기술이 없다보니 불똥이 자동용접면 머리 위로 튀어서 용접면 앞쪽 이마 쪽으로 통통통 튀어서 들어와 이마를 살짝 데이기도 하였답니다.ㅋ)
제 가장 큰 고민은 유해가스 문제입니다.
용접시 발생하는 분진과 가스에 주로 어떤 성분이 들어 있는지 화학적인 전문지식이 전혀 없다보니,
어떤 마스크 필터를 구입해서 수시로 교체하며 주기적으로 사용해야하는지 알 길이 전혀 없다는 점입니다.
그냥 3* 홈페이지에 나온 전자카다로그를 보고 처음엔 마스크 필터로 2091K 도 구입해 보고, 활성탄이 들어있다고 하는 2097K 도 구입해 보고, 그래도 프라즈마로 폐드럼통을 가를 때는 유해가스가 더 발생하기에 오늘은 방독기능까지 있는 복합용 방독 정화통인 6006K 까지 구입했습니다.
전자카다로그 참고주소:(15-16페이지)
http://innovation.3m.co.kr/safety/catalog/index.jsp


그런데 각 제품 필터를 사용하면서 그냥 호흡을 들이킬 때 느낌으로만 어떤 제품이 냄새가 덜 난다 정도와 아무래도 보다 더안전하지 않을까 같은 막연함일 뿐 위의 필터들이 제가 일하는 작업장에서 어떤 유해가스를 막아내는지 알 길이 없네요.
6006K의 경우 설명서에 보면 염산,불산 등 산성가스에 대한 보호 및 다양한 화학성분에 대해서 설명은 나와는 있으나, 실제적으로 제가 일을 하고 있는 환경인 프라즈마 절단과 용접시 어떤 분진과 유해한 가스성분이 나오는지 확인할 길이 없기에 어떤 제품이 가장 만족스러운 마스크 필터인지 궁금하기도 하고 과연 이 마스크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 의혹도 생기는 것이 사실입니다.
혹시 3* 제품 외에도 저와 유사한 용접을 전문적으로 하시는 분들께서 추천하실만한 방독/방진 마스크와 마스크 필터가 있으시면 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가격은 크게 상관 없습니다.
3* 홈페이지에 문의해야 마땅할 할 일을 여기에 또 올리는 이유는, 3* 홈페이지에서 전혀 답변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곳에 여러 분야 고수님들이 많이 계시기 때문이랍니다. ㅠ.ㅠ
혹시라도 용접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혹은 저처럼 이런 분야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이런 왕초보의 질문 역시도 여러모로 다양한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 주책없이 또 비슷한 글을 올립니다. 이쁘게 봐 주이송... 굽신굽신)
혹시 또 몰라서 추가로 질문을 올리자면..용접시나 프라즈마 절단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성분을 알아낼 수 있는 장비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가격이 너무 비싸다면 곤란하겠지만 국내에 없다면 해외에서라도 관련제품이 있다면 한 번 구입해 보고 싶네요..어찌되었건 저와 같이 일하게 된 작업장의 동료분들도 건강에 신경을 쓰도록 권고해야만 할 상황이라 이 글을 올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첫댓글 드럼통들에 들어있던 내용물이 유독성 물질로 그냥 쉽게 취급해서는 안되는 것 같습니다.
어떤 가스가 발생되는지에 대해서는 뭐 저도 딱히 모릅니다만, 우선 실내 작업이라면
좋은 성능의 배기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하는 작업이 아니라면, 개별로 덕터와 환풍기를 사용해서라도
배기장치를 만드시기 바랍니다.
즈나님...언제나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문제는 너무많은 화학물질을 쓰고 계시는군요
석유류부터.유기용제,,에폭시계 실란트와 메틸렌 아미드인가요.??
따라서 일단 작업장은 특급으로 구분된 보호구를 쓰셔야 할거 같군요..
그것도 일급이급 방진마스크로는 안되고..
정화필터가 달려있는 방독마스크를 착용하셔야 하는데..
정화필터는 비쌉니다..레벨이 높고 가격이 비쌀수록 더 좋겠지만..매출과 균형을 맞추어야 하니 고민이 되시겠군요
저는 전문가는 절대로 아닙니다만..저라면 6006k를 쓰겠습니다. 60298k나 6099이 더 좋을듯한데..가격이 아마 차이가 날듯한데..가격이 큰차이없다면 60298 / 6099를 쓰고요..차이가 난다면 6006k를 쓰겠죠..
더 중요한건 작업장의 환기
시설이니..뭐..말씀안드려도 저보다 더 잘아실듯하니...
비전문가 입장에서 저라면..이라는 관점이므로 틀리더라도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저희 업종은 용접은 아닙니다..방진1급 사용장소입니다. 방진특급이나 방독면 쓸정도는 아니거든요..
그래서 그냥 참고만 하세요...
@뱃살난감(대구)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도 얼마전 식수저장용 200리터 드럼 수십개를 중고로 구입하려고 여기저기 돌아다녔는데..
가격은 괜찮았으나.. 도대체 그 전에 뭘 담았던 용기인지 판매자(산업용 중고물품 수거업자)가 전혀 모르더군요..
그래서 그냥 포기한 적이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론 폐쇄순환식 호흡장치(다이버/소방관용 에어탱크)나 열린공간에서 산업용 선풍기 켜놓고 작업하시는 게 가장 낫겠네요..
그래두 배움엔끝이없다님은 참 깨인 분입니다.. 무식한 인간들이 얼마나 많은데.. ㅡ.ㅡ;;
식품용 철제 드럼통을 사면 되긴 하는데, 중고는 좀 겁나긴하죠.
페일용기 드럼이나 오픈드럼은 또 가격이.... ㅎㅎ
말씀처럼 무지함과 자신의 일에 대한 일종의 오랜 경험에 대한 근거 없는 확신은 여러모로 설득이 힘든 것 같습니다. 자존심 때문에 초보자가 뭘 아느냐는 식의 응대가 아니니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 할런지...앞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이 너무 많은데 저 역시 산업안전에 관하여 아는 지식이 사실상 전무하다보니 차근차근 준비하고 알아가야 할 듯 합니다. 가끔 좋은 보호면이나 특급방진마스크 같은 물건을 가져가서 싸게 구입했다고 해야 좀 관심이 생기고 덩달아 구매를 하니 제가 해야할 일이 많은 것 같네요. 용접불에 데인 것이 자랑도 아니고 이게 과연 자랑거리인지 훈장인지...
아마 생존카페 아니었으면 저도 비슷했겠죠
@배움엔끝이없구나(경기) 정치인들과 공무원들이 제 할일만 잘 해도 우리가 생존카페에서 이러고 있을 필요도 없지요.. ㅜ.ㅜ
명백한 직무유기입니다..
@즈나(부산) 네. 새 제품 가격이 쌔지요.. 덜덜덜..
공기중에 특정화학물질/유해가스를 검출하는 기기는 주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방식인데 엄청비싸 전문연구기간에서나 사용가능하구요
특정가스에 반응하는 센서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휴대용가스측정기는 한두가지종류의가스 .. 염소나 황화가스 이산화질소 이산화 탄소등 만 반응하는 측정기이므로 실제도움이 안될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 방법은 작업환경측정을 의뢰하는건데 산업의학과가 있는 병원이나 기관에 의뢰하시면 됩니다 의뢰하시면서 유해가스에 대한 측정도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시면 될듯 합니다 안되면 다른 병원이나 기관을 알아보시는데 가장빠른방법은 관할구청 환경이나 안전관리 담당공무원에게 알아보시는게 났겠지만..
아마 일하시는곳사업주가 굉장히 싫어하실겁니다
공무원들에게 작업환경단속나오라고 알려바치는꼴이 될테니까요
제 개인 경험담이니 그냥 참고만...
@뱃살난감(대구) 늦게나마 확인했네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