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은 공산주의의 부패를 풍자한 정치 우화이다. 이 책은 동물들이 혁명을 통해 인간 농장주를 몰아내고 새로운 사회를 세우지만, 결국 또 다른 독재가 탄생하는 과정을 그린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작가가 전달하고자 한 메시지와, 책을 읽으며 내가 느낀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다.
<동물농장>과 <1984>의 저자 조지 오웰은 영국의 하급 귀족으로 태어났다. 성인이 되어 여러가지 일을 해보다가,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고 <동물농장>,<1984>와 같은 사회적 메세지를 던지는 책을 써냈다.
<동물농장>을 읽는 것은 꽤 재미있었다. 등장인물들이 동물인 점, 농장 주인과의 이야기, 그들 스스로 법을 만들어 생존하고 발전하는 부분들이 나에게 흥미롭고 신선하게 다가왔다. 특히 나폴레옹이 강아지를 몰래 길들여 자신의 친위대로 만들고, 경쟁자 스노볼을 쫓아낸 부분에서 각 등장인물들의 능력과 성격을 엿볼 수 있었다.
<동물농장>은 기본적으로 당시의 사회, 정치를 풍자한 소설이다. 그렇다면 작가는 왜 이런 책을 썼을까?
조지 오웰은 공산주의를 싫어하지만, 스스로 사회주의자라고 생각했다. 책을 읽으면 알 수 있듯이, 아주 강력한 공산주의 비판자였다. 그는 단지 노동자 계급이 평등한 대우를 받기를 원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했을때, <동물농장>을 한층 더 깊게 분석할 수 있다.
책에서는 노동자를 상징하는 여러 동물이 나온다. 대표적으로 말 복, 우유를 생산하는 젖소, 달걀을 생성하는 닭 등이 있다. 노동자 계급의 동물들은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라는 문구만 보며 스스로 평등하다 생각했겠지만, 지배자 계급의 돼지들에게 이용당할 뿐이었다.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 돼지와 인간을 구분할 수 없었다고 표현하는게, 마치 공산주의자들은 그들이 그토록 혐오하는 자본가들과 똑같다고 저자가 말하는 것만 같았다.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 이 책은 권력은 감시와 견제가 없으면 반드시 부패하며, 단순한 혁명만으로는 평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과거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적용되는 교훈이라고 생각한다. 동물농장은 단순한 풍자 우화가 아니라, 우리가 사회와 정부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만드는 저자의 경고이자 시대를 초월하는 조언임을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