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허비(遺墟碑)
선현의 자취가 있는 곳을 길이 후세에 알리거나, 이를 계기로 그를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비를 말한다.
유허란 유지(遺址)·유적(遺蹟)·구기(舊基)와 같이 ‘남긴 터(자취)’· ‘옛터’의 뜻으로 여기에서는 선현들이 태어났거나 살았거나 임시 머물렀던 곳, 또는 순절(殉節)하거나 귀양살이하였던 곳을 가리킨다.
고려시대까지는 유허비라는 명칭의 비는 보이지 않으나, 조선시대 에는 유허비를 비롯하여 유지비(遺址碑)·구기비(舊基碑)라는 명칭의 비가 적지 않게 조성된다.
경기도 개성에 ‘高麗忠臣鄭夢周之閭(고려충신정몽주지려)’라는 문구와 입비연대(1530년, 중종 25)만을 간단히 새긴 비는 유허비의 성격을 띤 초기의 예라고 하겠다. * 포은 정몽주 묘소 본문 하단부 소개함
충청남도 홍성군·논산시의 성삼문유허비, 경상북도 경주시의 김유신 유허비, 최치원 독서당(讀書堂)유허비, 신라효자 손순(孫順)유허비, 제주시의 송시열 적려(謫廬)유허비와 남제주군의 정온(鄭蘊)유허비 등은 선현들의 출생지·성장지·적거지와 관계하여 세운 비들이다.
▶ 성삼문 유허비(문화재자료 제164호) ▶ 성삼문 묘소(문화재자료 제81호) - 충남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 소재 - 충남 논산시 가야곡면 양촌리 소재 유명조선 단계하위지선생 유허비(有名朝鮮 丹溪河緯地先生 遺墟碑) 신라 석탈해왕 탄강 유허비
한편, 구기비의 예도 적지 않은데, 황해도 해주의 조선인조탄강구기비, 평양의 기자궁구기비, 함경남도 영흥군의 조선태조탄생구기비, 함흥군의 양성(兩聖)탄강구기비와 조선태조독서당구기비, 안변군의 신의왕후(神懿王后)탄강구기비, 황해도 곡산군의 신덕왕후사제구기비(神德王后私第舊基碑) 등은 왕이나 왕후의 탄생지 등에 관련하여 세운 비이다.
특히, 구기비라는 용어는 왕족들에게만 한정되어 사용되었던 점이 주목된다. 이와 같이, 유허비·유지비·구기비는 입비 장소가 중시된다는 점에서 지연적 성격이 강하지만, 이를 통하여 선현의 뜻을 기린다는 점에서 송덕의 성격도 강하다. * 철종 용흥궁 본문하단부 소개
[哲宗朝暫邸舊基碑閣(철종조잠저구기비각]
[哲宗朝暫邸舊基碑(철종조잠저구기비]
따라서, 공덕비(功德碑)·의열비(義烈碑)·정려비(旌閭碑) 등과 내용상 크게 구별되지 않으며, 넓은 의미에서는 사실의 내력을 적어 길이 후세에 남긴다는 뜻에서 기적비(紀績碑·紀蹟碑) 또는 사적비(事蹟碑)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朝鮮金石總覽 下
안산김씨 시조 안산현 개국후 김긍필 유허비 (위 사진은 실물이 아닌 모형임)
안산의 유래 신라 경덕왕이 장구군으로 고쳤고, 고려 초에 지금 이름 안산현으로 고쳤으며, 현종(顯宗) 9년에 내속(來屬)하였다.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고, 충렬왕(忠烈王) 34년에 문종(文宗)이 탄생한 곳이라 하여 군으로 승격시켰는데 조선에서 그대로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시흥군에 편입될 때까지 이 지역은 ‘안산’이란 지명으로 일관해 왔다.
그러던 중 유천형(柳天馨)·이승언(李承彦) 등의 ‘안산지명찾기’ 노력의 결과로 반월출장소에서 1986년 ‘안산시’(법률 제3798호)로 결정되었다.
안산은 고려조 덕종·정종·문종 등 왕세자가 탄생한 고장으로, 일제가 안산의 정기와 맥을 끊기 위하여 1914년 안산 지명을 의도적으로 말살하였다고 해석하였다.
고려시대에는 현종에게 딸을 셋이나 왕비로 보낸 김은부(金殷傅)가 있다. 고려사 열전에 보면 김은부는 안산현 사람으로 여러 높은 벼슬을 지내고 안산군개국후 (安山郡開國候)라는 작위를 받았다.
안산이 현에서 군으로 승격된 것은 그의 작위를 받은 것이라 한다. 그의 아버지도 안산현개국후라는 높은 작위를 하사받았는데, 그를 안산김씨의 문중 조상이라고 받들고 있다. 안산군 개국후 김은부 유허비 (위 사진은 실물이 아닌 모형임)
안산이 지군사(知郡事)로 승격된 것은 1308년(충렬왕 34)의 일이었다. 문종 임금이 외가인 이곳에서 탄생한 때문이었다. 문종의 외조부는 안산김씨(安山金氏) 시조의 아들인 김은부(金殷傅 ; 945∼1017)인데, 그는 성종, 목종, 현종 3대를 섬긴 중신(重臣)이었다. 안산이 지군사로 승격됨과 동시에 김은부는 안산군개국후(安山郡開國候)로 추증되었다.
연성군 김정경(金定卿)을 모신 위정사
연성군 김정경 신도비 (위정사 소재)
안산김씨 시조는 김긍필(金兢弼)이며, 고려 초기 사람으로 대보공 김알지의 32세손이며, 문헌상 신라 태종무열왕의 17세 직계 후손으로 안산현개국후에 봉작되고 벼슬은 상서좌복야이다.(식읍 1500호)
안산김씨 족보에 전하는 시조 김긍필은 대보공 김알지의 후손이며, 선조로는 신라국 원성대왕의 후예로서 경순왕의 넷째아들인 대보공 은열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그의 아들 은부가 고려 성종의 장인으로 호부상서, 상호군이며 딸 3명이 고려 현종의 태후 및 왕후가 되어 국구(왕의 장인)로서 추충수절창국공신·개부의동삼사 수사공 상주국에 이르러 안산군개국후에 봉해졌다.(식읍 1000호)
김은부의 외손인 덕종, 정종, 문종이 왕에 오르면서 4대 50여년동안 고려시대의 최고 문벌귀족이 되었으며. 김태후 집안(안산김씨)은 대대로 왕실과 혼인하도록 정해져 고려시대 문벌귀족(재상지종) 가문의 지위를 계속 누리게 되었다. 안산김씨 김은부의 부인은 인주(인천)이씨 이허겸의 딸로서 인주이씨가 귀족반열에 오르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자연은 이허겸 손자다.
김은부의 큰아들 충찬은 병부상서 작은아들 난원은 문종의 왕사를 거쳐 경덕국사가 되었으며, 대각국사 의천(문종의 아들)의 스승이 되었다.
손자 원황은 공부상서, 병부상서 증손 경용(식읍1000호)은 평장사, 문하시중, 경용의 아들 인규는 이부상서, 후손 위는 문하시중, 그 후손들인 원상은 대제학, 성경은진주목사 등 대대로 큰벼슬을 지냈으며,
김은부의 11대 후손 김정경이 이조판서와, 좌명공신으로 안산군(연성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안산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인구수 1만 4975명 (2000년).
유허비(遺墟碑)
옛 현철(賢哲)들의 자취가 있는 곳을 후세에 길이 남기고, 이를 계기로 하여 그들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비를 말한다.
현재 우리 나라에 남아 전하는 유허비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경상남도 울산시 두서면 구량리에 있는 두서면 은행나무 옆의 죽은 이공(竹隱李公) 유허비,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에 있는 이정 · 이문열(李幀李文烈) 유허비,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에 있는 육선생(六先生) 유허비,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면에 있는 김종무 유허비(金宗武遺墟碑),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에 있는 여대로(呂大老) 유허비, 경상북도 봉화군 법전면에 있는 강흡(姜洽) 유허비,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에 있는 충효당(忠孝堂) 및 이장발(李長發) 유허비,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에 있는 이곡 · 이색(李穀李穡) 유허비,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에 있는 김도현(金道鉉) 유허비,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에 있는 신돌석(申乭石) 유허비, 경상북도 경주시 견곡면에 있는 손순(孫順) 유허비
충청남도 천안시 병천면 용두리(龍頭里) 및 탑원리(塔院里)에 유의사의 생가터에 있는 유관순(柳寬順) 유허비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에 있는 성삼문(成三問) 유허비(지방 문화재 자료81),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에 있는 권종 순절(權悰殉節) 유허비,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에 있는 태조 대왕 영전(太祖大王影殿) 유허비,
충청북도 보은군 삼승면에 있는 송시열(宋時烈) 유허비,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에 있는 이거경(李居敬) 유허비,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에 있는 옥천 송우암(宋尤庵) 유허비(지방유형문화재 54)와 충의공 김문기(忠毅公金文起) 유허비(지방유형문화재 53),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달성 공원에 있는 달성 서씨 유허비,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 있는 김성진(金聲振) 유허비, 대전광역시에 있는 박팽년(朴彭年) 유허비,
전라남도 장성군의 서삼면에 있는 변이중(邊以中) 유허비,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에 있는 정옥천(鄭玉川) 유허비,
강원시 양양군 양양읍에 있는 동명 서원(東溟書院) 유허비 등이 있다.
==============================================================================================
세천비(世阡碑) 세천비는 선산입구 등 선산 근처에 세워 그 문중의 선산임을 나타내며 문중이나 문중 선조들의 치적을 기록하여 후세에 기록을 남기는 비석을 말합니다.
세천비에는 선산의 내력과 가문의 내력 그리고 비를 세우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상세내용을 기록합니다.
세천이란 세대(30년)를 천개나 지난다는 뜻이 숨겨져 있으며 여러대를 내려오며 선산에 조상의 산소를 모신다는 뜻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한자 해석으로만 본다면 여러대(세世)의 무덤길(천阡)이며, 선산(선영)의 묘소 안내 표지로 세장지지(世葬之地 : 대대로 묘를 쓰고 있는 땅)를 가르키는 용어입니다. 안산김씨 세천비 (실물이 아닌 모형사진임) 일부에서는 '세촌비'라고도 하는데 사용하는 예가 없는 것 같으며 "세천비" 표현이 올바른 것 같습니다. 신도비나 공덕비는 개인을 위한 비석이고 세천비는 문중(종중)을 위한 비석입니다.
안동 김씨 고가 터 안동 김씨 세천비 / 경기도 포천시 김해김씨 세천비 전주이씨 세천비 ========================================================= 비석 관련 용어 설명
묘지 관련 용어설명
설단(設壇)을 하는 경우는?
설단(設壇)은 묘제(墓祭:시제)를 지낼때 사용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입니다. 당초 중국의 당송 이전의 유학에는 묘제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주자와 정호 정이에 의해 묘제가 시작되면서 선세를 제사지내는데 설단의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당초 설단은 묘소를 실전한 경우에만 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퇴계선생문집에 의하면 사당에서 4대를 봉사하고 5대 이상은 묘제를 모시는데 지방을 써서 제사(祭舍:제실 제각)에서 모시고 제사(祭舍:제실 제각)가 없을 경우에는 설단하여 모신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우암 송시열도 같은 입장이었습니다.
유학의 입장에서 위폐를 봉안하지 못하는 것은 대단히 미안한 일인 까닭에 전쟁통에 전사한 수 많은 이들을 제사 지내기 위해서는 설단한 경우는 위의 경우와는 사뭇 다르지만 설단이 편리한 방법 가운데 하나였다고 인식하였던것 같습니다.
송시열의 문인이고 송강 정철의 후손인 정호가 쓴 부사윤공묘갈명에 의하면 하곡 윤부사는 선대의 묘소를 일부 실전하였는데 자취를 추적하여 그 묘소가 있었던 곳을 알게 되었는데 그곳은 이미 지역의 부유한 吉氏가 차지하고 있어 소송을 함과 아울러 설단을 쌓다가 길씨의 집단적인 저지로 실패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묘소 근처에 세웠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정조때의 학자인 창년조씨 조채신은 그의 문집에서 시조묘소를 추적하여 두기의 묘소가운데 하나인 것으로 보고 설단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로 가면서 설단은 실전한 시조를 제사 지내기 위해 사용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체로 설단은 묘역-그 가운데에서도 그곳에 있기는 하지만 정확히 모르는 경우-에 하는 것이 정상적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는 점점 강화되어 오늘날에는 저 멀리 시조부터 모두를 설단하는 가문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한 시비를 할 능력이 제게는 없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가문이 예법이 흡사하면서도 각기 그 특징이 있으므로 누군들 논할 수 있겠습니까?
설단의 유래와 변천을 아는 정도만을 알려 드렸으므로 참고하여 가문의 예법에 따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합제단 설단식 고유제 모습 : 선산(일선)김씨
선산김씨 시조 순충공 김선궁 유허비 장소 : 구미시 해평면 금호산리 28번지 시조 순충공묘원
선산김씨
각기 시조를 달리하는 김선궁계(金宣弓系)와 김추계(金錘系)로 구분된다.
김선궁계의 시조 김선궁은 김알지(金閼智)의 30세손으로서 왕건(王建)을 도와 고려를 세우는 데 공을 세워 정난보국공신(靖難輔國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르고, 선주백(善州伯, 선주는 선산의 옛 이름)에 봉해졌다. 그의 아들 봉술이 문하시중을 습작하고 그 후손들이 개경(開京)에 계속 머물러 벼슬을 하면서 본관을 일선(一善, 선산의 옛 이름)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잇게 되었다. 예전에는 일선김씨라고 하였고, 지금도 일선을 사용하는 세족(世族)이 있다.
김선궁계의 선산(일선)김씨는 대장군파(大將軍派)·간의공파(諫議公派)·우윤공파(右尹公派)·정조공파(正朝公派)·화의군파(和義君派)·낭장공파(郞將公派)·백암파(白巖派)·농암파(籠巖派)·강호파(江湖派)·취수공파(醉睡公派)·양양공파(良襄公派)·과당공파(苽堂公派)·점필재파(?畢齋派)·문대공파(文戴公派)·성암파(省庵派)·소암파(素庵派)·곤육재파(困六齋派)·송천공파(松川公派) 등 18개 분파가 있다. 고려 말의 절신(節臣) 제(濟)·주(澍), 조선시대의 좌의정 응기(應箕), 동인(東人)의 영수 효원(孝元), 판서 이원(履元)·세렴(世廉), 거유(巨儒) 숙자(淑滋), 판서·학자 종직(宗直) 등을 배출하였다. 김추계의 시조 김추는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여덟째 아들이자 고려 태조의 외손자이다. 고려 때 명문사족(名門士族)으로 번성하여 후손들이 개경을 중심으로 세거하였다. 고려 말에 검교중랑장(檢校中郞將)을 지낸 문(文)의 네 아들 성원(成元)·성부(成富)·성룡(成龍)·성여(成呂)로부터 각각 중서령공파(中書令公派)·판서공파(判書公派)·좌의정공파(左議政公派)·별장공파(別將公派)의 4대 계파를 이루게 되었다. 고려 때 문하시중 숭(崧), 집현전 태학사 인선(印宣), 광주목사 기(起), 조선 때 절충장군 중곤(仲坤), 대사간·강원도관찰사 취문(就文), 유학자 취성(就成)·종유(宗儒), 일제강점기에 중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한 독립운동가 정묵(正默) 등을 배출하였다. 1985년 국세조사에서 김선궁계와 김추계를 합하여 12만 214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00년 조사에서는 3만 4422가구에 10만 9682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선산김씨 시조 김선궁(金宣弓)은 김알지(金閼智)의 30세손이며 문성왕(文聖王)의 8세손이며, 초명(初名)은 김선(金宣)이다. 어려서 아버지에게 상해를 입힌 자의 목을 베고 처벌을 자청하여 투옥되었으나 조정에서 효자라고 석방되어 표창까지 받았다.
왕건(王建)이 후백제를 정벌하기 위해 일선(一善, 선산 옛 지명)에 이르러 모병할 때 종군할 것을 희망하자 왕건이 기뻐하며 친히 활을 하사하고 선궁(宣弓)이라 사명(賜名)하였다. 그 후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워 정난보국공신(靖難輔國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으며, 선주백(善州伯, 善山)에 봉해졌다. 〈순충공신도비명(順忠公神道碑銘)〉에는 그는 처음으로 일선군에 적을 두어 일선김씨(一善金氏)의 시조가 되었는데, 처음에는 숭선부사(崇善府使)가 되어 명문이 높았다고 한다. 이 후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삼고 시조 발상지인 일선(一善)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일선이 조선 태종(太宗) 때 선산으로 개칭(改稱)됨에 따라 본관도 선산으로 고쳐 부르고 있다. 이 후 선산김씨는 김봉문 후손에서 5개파, 김봉술 후손에서 12개파로 나뉘어졌다. 분적종 및 분파선산김씨는 두 개의 본관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김선궁(金宣弓)의 일선김씨이고, 다른 하나는 김추(金錘)계의 선산김씨로 확실한 구분이 필요하다. 주요 세거지경기도 이천시 일원 인구분포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선산김씨는 34,422가구 총 109,682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 =========================================================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1337∼1392) 묘(墓) 지방문화재 제1호 의 본관은 영일(迎日). 초명은 몽란(夢蘭)·몽룡(夢龍).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 (圃隱). 인종 때 지주사(知奏事)를 지낸 습명(襲明)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성균관 복 응재생(服膺齋生) 정운관(鄭云瓘)이다. ▲ 정몽주선생 묘(입구이정표)
▲ 정몽주선생 묘(입구표지석) ▲ 정몽주선생 묘(안내도) 뜻을 같이했지만, 고려왕조를 부정하고 새로운 왕조를 개창하는 데는 반대했다. 그리하여 기회를 보아 역성혁명파(易姓革命派)를 제거하고자 했다. 이른바 역성혁명(易姓革命)이다.
▲ 정몽주선생 신도비(神道碑) ▲ 묘소 입구의 홍살문 ▲ 경모사(敬慕舍) ▲ 영모제(永慕齊) ▲ 포은 정몽주(안내문) ▲ 백로가(포은 정몽주선생 어머니 지음) 이성계가 시간적 공백을 이용하여 사냥을 하다가 말에서 떨어져 병석에 눕게 되는 일이 생겼다. 이야기 한국사(교양국사연구회 엮음)에서 요약한 내용임. 이성계가 낙상(落傷)하여 병환 중에 있으니 문병을 아니 할 수 없어, 이성계의 사저 로 문병을 가게 되었다.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李芳遠)은 문객 조영규(趙英珪)를 데리고 이성계 옆을 떠나지 않고 지키고 있었다. 조심하셔야합니다.」조영규가 이성계에게 들으라고 하는 말이다. 정몽주가 문병을 마치고 이방원과 대좌하게 되자. 「포은 선생 술이나 한잔 드시며 여러 가지 좋은 말씀을 해주시오.」 이방원이 하 는 말이다. 「내가 무슨 대학자라고 좋은 말이 있겠소」 「대감께서는 당대의 대학자이신데 성리학에 대해 좋은 말씀을 좀 해 주시오.」 중략 ∼ ▲ 단심가(丹心歌) 유려하게 뽑아내려갔다. 사이좋게 사는 것이 어떻겠는가? 하는 내용이다. 이니 내 노래도 들어보게 하였다.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다시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줄이 있으랴. 알고 헤어졌다.
▲ 정몽주선생 묘소(左)와 저헌 이석형묘소(右) - (이석형은 정몽주 증손녀 사위)
원래 이 다리의 이름은 선지교(善地橋)였으나 정몽주가 살해된 뒤 그의 피가 얼룩진 자리에 대나무가 솟아나서 선죽교(善竹橋)라고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내가 어렸을 때 선죽교 사진을 보고 궁금했던 점은 저런 다리로 어떻게 사람이 다녔 ▲ 정몽주선생 묘(墓) ▲ 다리건너에 정몽주선생과 이석형의 묘가 있다. ▲ 연지 연못과 묘소의 원경
===================================================================================================
용흥궁(龍興宮)
[답사일 : 2008년 7월5일]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20호 (강화군)
분 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생활유적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1995.03.01 소 재 지 인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44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강화군
[안내판 전문]조선 철종(哲宗 1849~1863)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거처하였던 잠저(潛邸)로 강화유수 정기세가 철종4년(1853)에 지금과 같은 건물을 짓고 『용흥궁』이라고 하였다. 좁은 골목안에 대문을 세우고 행낭채를 두고있어 창덕궁 낙선재와 같이 소박한 분위기를 풍긴다. 궁안에는 철종 잠저임을 기록한 비석과 비각이 있다. 지금 남아있는 건물은 내전1동, 외전1동, 별전1동 등이다.
대문 앞에는 상국(영의정) 정원용의 비와 유수 정기세의 비가 나란히 세워져 있다.
상국 정원용은 철종을 모시고(1850년) 올라간 분으로 정기세의 부친이다.
안채와 사랑채로 이어지는 문
철종은 등극하기 전4, 5년간 이집에 살았다 한다. 2005년 보수 공사를 하였다.
경내에는 강화도령 원범이 머물던 옛 집터임을 표시하는 철종잠저구기비가 들어있는 비각이 있다.
강화도령은 서울에서 태어나 당파싸움에 ?겨 아버지를 따라 강화로 유배되었고 부모와 함께 피신하여 숨어살았다.
아버지 전계군, 어머니를 천주교 탄압으로 잃은 후 나무꾼으로 홀로 19세 까지 살았다고 한다.
헌종이 승하하고 후사가 없어 전계군의 막내아들 원범이를 왕으로 정한 것이다. 영의정 정원용이 모시려고 찾아오자 자기를 잡으러 온 줄 알고 산 속으로 달아나 3일을 숨었다 한다. 해질 무렵 붙들려 내려 왔는데도 살려 달라고 애걸까지 하였다고 전한다.
사도세자의 4대손 원범이 강화도령은 잠저비각이 있는 초가단칸방에서 살았는데 그래도 택함을 입어 상감마마가 되었다. 14년간 재위하였으나 후사가 없어 다시 고종이 등극하게 된다. |
출처: 안 산 김 씨 원문보기 글쓴이: 희망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