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한 해도 며칠 남지 않았다. 한 해 업무를 정리하랴, 여기저기 송년 모임에 참석하랴 다들 바쁠 때다. 한 해의 마지막인 이때를 ‘연말’과 함께 ‘세모’라고 많이 부른다. ‘세모(歲暮)’는 해(歲)가 저문다(暮)는 뜻으로, 해가 끝나갈 무렵이나 설을 앞둔 섣달그믐(음력 12월 30일)을 일컫는다.
‘세모’는 특히 일본에서 많이 쓰는 말이다. 일본에서는 우리와 달리 ‘오세보(お歲暮)’라고 해서 12월 15일을 전후해 주위 사람들에게 지난 1년간 신세를 진 데 대한 표시로 선물을 보내는 독특한 풍습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요즘 주로 크리스마스 선물을 주고받는 추세지만, 일본에서는 아직도 ‘오세보’라는 전통적인 선물 풍습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중앙일보]
===
한해가 다 끝나가는 시점을 뜻함.
요약 한 해의 마지막 때를 일컫는 말.
한 해가 거의 다 가서 얼마 남지 않은 때, 곧 한 해가 저물어갈 무렵을 가리킨다. 세모(歲暮)라고도 하는데,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일본식 한자라 하여 세밑으로 순화해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지은 연시조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의 제9곡 문산(文山)의 경치를 읊은 부분에 "구곡은 어드메오 문산에 세모(歲暮)커다"란 구절이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 조선시대에도 세모란 말이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음력으로는 섣달 그믐 무렵에 해당한다. 한 해의 마지막 때를 일컫는 말은 세밑 외에도 여럿 있다. 모세(暮歲)·설밑·세만(歲晩)·세말(歲末)·세저(歲底)·세종(歲終)·연말(年末)·세밑(歲-)·연종(年終) 등이 모두 세밑과 같은 뜻이다.
조선시대에는 해마다 세밑인 섣달 그믐이 되면 고관들이 왕에게 문안(問安)을 하고, 양반가에서는 가묘(家廟)에 절을 하는 풍습이 있었다. 또 집안마다 웃어른을 찾아 뵙고 묵은 세배를 올리는 한편, 친지들끼리 특산물을 주고받으면서 한 해의 끝을 뜻있게 마무리하였다.
|